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4/07 16:25:26
Name 기술적트레이더
Subject [질문] 정신과약 부작용 좀 지나면 없어지나요?
제가 정신과약에 민감해서 그런지 아주 약하게 먹는데도 머리도 아프고 어지럽고 많이 졸리네요.

매번 이래서 조금 먹다가 안먹곤 했는데 이젠 안되겠다싶어서 제대로 먹으려 하는데 부작용 너무 심하네요.
참고로 되게 약한 양을 먹고 있습니다.

이거 계속 먹으면 좀 괜찮아지나요?
많이 어지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4/07 16:33
수정 아이콘
아뇨 정신과 약은 '나에게 맞는 약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보통 치료 초기에는 병원 내원 주기가 짧고 어느정도 궤도에 오르면 그때부터는 내원 주기가 늘어납니다. 담당 선생님께 말씀드리세요. 저같은 경우는 한번은 카페인 과다섭취처럼 심장이 벌렁벌렁거려서 말씀드려서 약을 바꿨고, 가족들에게(밖에나가서는 안 그럽니다 또)급발진해서 자꾸 싸우는 증상이 있어서 말씀드렸더니 약을 바꿔주셨고 약을 바꾸니 사라지더라구요. 적극적으로 말씀하셔야 합니다.
This-Plus
23/04/07 16:56
수정 아이콘
아는 분 보니 딱 맞을때까지(최소 부작용과 최대 효과가 만나는 지점) 오랜시간 계속 다니면서 용량 조절 하더군요.
덴드로븀
23/04/07 17:34
수정 아이콘
[매번 이래서 조금 먹다가 안먹곤 했는데] -> 이게 원인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비인후과나 내과에서 받아먹는 약과는 다르게 정신과약들은 내맘대로 판단해서 먹으라고 주는 약들이 아닙니다.

스스로 기분에 따라 결정하지 마시고 무조건!!! 주치의와 상의하고 결정하세요. 당장 전화해서 상담부터 잡으시길...

의사에게 현재 증상을 싹 다 이야기하고, 이런 증상을 완화시킬 방법을 같이 찾아나가야합니다.
23/04/07 18:20
수정 아이콘
사실 이비인후과나 내과 약도 나은 거 같다고 끊지 말고 끝까지 먹으라고 하시던데...
23/04/08 06:56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약은 의사 권고대로 처방 받은 양 다 먹는게 맞긴 합니다.
'약에 내성 생길까봐' 일부러 덜 먹으려는 분들 종종 있는데, 먹다 마는게 되려 내성 키우는 경우도 많다더군요.
비유를 하자면... 약 끝까지 먹어서 병의 숨통을 끊어야 되는데, 애매하게 살려두니 죽다 살아난 사이어인마냥 강해지는 그런것.
기술적트레이더
23/04/07 17:40
수정 아이콘
쉽지않군요 2주치 받아왔는데 ㅜ
그동안 많은 약을 먹었는데 다들 졸렸어요 미치겠군요
차라리꽉눌러붙을
23/04/07 17:46
수정 아이콘
계속 먹다보면 적응될 때가 올 수도 있고...
근대 어? 이 약은 도저히 안 맞나보내? 다른 약으로 바꿉시다. 하면 이제 다시 고생 시작을...ㅠㅜㅠ
-안군-
23/04/07 18:45
수정 아이콘
의사선생님께 자세히 말씀드리고 약을 바꿔보세요.
우울증 or 불안증 약이라도 성분이 약간씩 다른게 여러가지라서, 자기한테 맞는 약을 찾아야 합니다.
저도 거의 1년 가까이 약 바꿔가면서 겨우 맞는 약을 찾았습니다.
23/04/07 19:00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처방대로 먹으면서 부작용을 조절해 나가는 거라 제대로 먹고 상담해야 합니다.
제가 먹을 땐 어떤 약이어도 나른하고 졸린 건 피할 수 없었는데 최근엔 안 졸린 약들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무한도전의삶
23/04/08 11:07
수정 아이콘
정신과약 = 소개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075 [삭제예정] 노동시간 관련 신고 채널 및 도움 채널 문의 [1] Requiem8246 23/04/12 8246
170074 [질문] PC 견적 질문입니다. [6] estrolls9945 23/04/12 9945
170072 [질문] B450 보드에 라이젠 5600 으로 업글하려고합니다 [6] aespa8786 23/04/12 8786
170071 [질문] 미국과 유럽의 문화에서도 결혼유무를 묻는 건 무례한 건가요? [11] 상록일기11150 23/04/12 11150
170070 [질문] 2인가족 주류 면세 기준 문의드립니다. [18] 이신아11056 23/04/12 11056
170069 [질문] 네이버페이 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똥쟁이9362 23/04/12 9362
170068 [질문] 전기이상이 없는 콘센트에 연결한 pc 전원이 안들어온다면 [4] 옥동이7488 23/04/12 7488
170067 [질문] 리디페이퍼 사용하시는 분들께 몇가지 질문 [3] 짱구9032 23/04/12 9032
170066 [질문] 나트랑vs푸꾸옥 여러분들의 선택은? [12] Not0nHerb12749 23/04/12 12749
170065 [질문] 여자친구 생일 선물 추천 조언 부탁드립니다 [7] 제지감8676 23/04/12 8676
170064 [질문] 9급 공무원중에 사람 상대하는게 가장 덜한 직렬이 뭘까요?? [16] 레너블11624 23/04/12 11624
170063 [질문] 플스5 구매 질문 [4] Emiyasiro7133 23/04/12 7133
170062 [질문] 보조배터리 종결은 어떤제품인가요? [4] 양념반자르반9294 23/04/12 9294
170061 [질문] 삼성휴대폰(폴드나 플립) 수리 시 어느정도까지 교체해 주나요? [9] 이혜리10232 23/04/12 10232
170060 [질문] 직구할때 배송대행지 주소를 줄여서 적어도 되나요? [3] wersdfhr7904 23/04/12 7904
170059 [질문] 욕실 바닥 배수관 냄새 업체가 도움되나요? [4] 똥진국8194 23/04/11 8194
170058 [삭제예정] 평범한 직장인의 사소한(?) 신세 한탄 글입니다. [28] 클레멘티아12673 23/04/11 12673
170057 [질문] M2 맥미니 옵션 선택이 너무 힘들어서... [12] 삭제됨8739 23/04/11 8739
170056 [질문] 다주택 양도세 문의드립니다. [5] 8억빠7960 23/04/11 7960
170055 [질문] 사진속의 사운드바 모델명 문의 [2] 이순신8669 23/04/11 8669
170054 [질문] 모바일 크롬에서 유튜브 실행 시 녹색화면 로켓11192 23/04/11 11192
170052 [질문] 업무용 컴퓨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TheZone10226 23/04/11 10226
170051 [질문] 스타BJ 분들의 실력 질문입니다 [23] 인생은아름다워12733 23/04/11 127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