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4/06 18:27:14
Name 묵리이장
Subject [질문] 체성이명은 의사들이 증상만으로 아나요?
https://pgr21.com/qna/162673?divpage=68&sn=on&ss=on&sc=on&keyword=%EB%AC%B5%EB%A6%AC

1년전에 올린 글인데 그 후로 이비인후과를 2곳 갔는데

둘 다 정밀검사까지 했는데 모르더라고요. 정상이라고.

증상은 계속 되고 구냥 살다가 제가 체성이명이라는 걸 드디어 알았는데

억울하가도 하지만 치료를 받아볼까하는데

이비인후과에서 치료를 받으면 되나요?

구글링해보면 죄다 한의원이라 질문드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3/04/06 18:54
수정 아이콘
"체성이명" 이라는 용어가 한방용어 같습니다.
스토리북
23/04/06 19:54
수정 아이콘
정식명칭입니다.
리얼월드
23/04/06 20:15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왜 첨 들어보는것 같지
영어로 혹시 어떻게 되나요?
스토리북
23/04/06 20:19
수정 아이콘
mechanical tinnitus 혹은 somatosound 라고 하네요.
마스쿼레이드
23/04/06 19:24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들어보는 용어네요
스토리북
23/04/06 20: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존 국내보고에 의하면 전체 이명환자 중 체성 이명으로 진단된 빈도는 17.1%였고 이들 중 약 1/4은 근육기원으로 보고된 바 있다.19)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명 환자의 분류 기준에 체성 이명을 포함시키는 병원의 빈도가 83.3%로 대부분의 병원에서 체성 이명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이에 비해 체성 이명의 관련 질환인 악관절 장애나 두·경부 근육의 문제에 대해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병원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으로 생각된다. 20%의 병원에서 악관절 장애에 대해 선택적으로 치료하고 있고 두경부 근육에 대한 물리치료를 실시하는 병원은 16.7%였다.

약물 치료로써 대부분의 병원에서 항불안제와 혈관확장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근육 및 악관절 질환에 관련된 체성 이명의 치료를 위해 소염제, 근이완제 등을 처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또한 체성 이명의 치료를 대부분 구강외과나 마취통증의학과로 의뢰하고 있으므로 이비인후과에서는 그 치료 결과를 확인할 수 없어 치료의 유효성을 알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대부분의 병원에서 체성 이명을 분류하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에는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체성 이명의 분류에 대한 인식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체성 이명의 특이적 치료법이 개발되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체성 이명의 치료로써 이개와 두개의 전기자극치료, 경부 근육의 물리치료, 악관절의 치료와 근막 통증 유발점의 치료, 근이완제-소염제 투여, 보톡스 주사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17) 이미 체성 이명에 대한 관심을 가진 병원이 많으므로 향후 체성 이명의 특이적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우리나라(한국) 대학병원의 주관적 이명 치료 현황 (2013년)
------------------------------------------------------------------------------------------------------
특히 체성 이명은 각각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원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

잘 모르는 분야인데, 혹시 도움이 될까 해서 댓글 남겨봅니다.
더 나은 정보를 남겨주시는 분이 계시면 좋겠네요.
묵리이장
23/04/06 21:47
수정 아이콘
와 감사한 댓글이네요..
병원 잘 알아보겠습니다.
23/04/07 11:15
수정 아이콘
제가 이명이 있는지 5년 넘었는데 이걸 체성이명이라고 부르는 군요... 구강외과 가서 악관절 치료하고 소염제 근이완제 다 먹어봤는데 별 소용이 없어서 지금은 그냥 포기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038 [질문] 윈도우11 기본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동영상 플레이할때 매번 DVD롬을 읽는 이유? 단비아빠7585 23/04/10 7585
170037 [질문] 피파23 온라인 coop 질문 드립니다. 독주7276 23/04/10 7276
170036 [질문] 중학 영어 인강 추천 부탁드립니다. Sith Lorder7492 23/04/10 7492
170035 [질문] 초등1학년정도가 볼만한 게임 유튜브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뢰디9777 23/04/10 9777
170034 [질문] Lan to usb cable 기기는 타블렛/스마트폰에서는 사용이 어려운지요...? [2] nexon6880 23/04/10 6880
170033 [질문] 회사에 와이프 임신 사실을 언제쯤 알리나요? [8] 제로스9642 23/04/10 9642
170032 [질문] 맥북으로 맥북 충전이 가능할까요? [2] 한쿡8110 23/04/10 8110
170031 [질문] gpd4와 같은 UMPC 기기 추천해주세요 [2] 뒹구르르7101 23/04/10 7101
170030 [질문] 교직원분 계신가요? 육아시간 쓰시는분 있나요? [16] 하우두유두9878 23/04/10 9878
170029 [질문] 배달 우삼겹처럼은 어떻게 해야 구울 수 있나요? [11] 리테7963 23/04/10 7963
170028 [질문] 타임킬링하며 볼만한 거 뭐가 있을까요? [11] 이치죠 호타루10225 23/04/10 10225
170027 [질문] 건강검진 개별 비용 어느정도 드나요? [4] 나른한오후10354 23/04/10 10354
170026 [질문] 데이즈곤 같은 게임 있을까요? [9] 황신강림11478 23/04/10 11478
170025 [질문] 어린이 상해보험 추천 부탁드려요 늘새로워13334 23/04/10 13334
170024 [질문] 일본의 20대~30대들도 주식 코인투자 한국만큼 많이 하나요? [12] 보리야밥먹자9642 23/04/10 9642
170023 [질문]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질문합니다! [2] 보아남편7381 23/04/10 7381
170022 [질문] 닌텐도 스위치 조이콘 관련 질문 드릴게요. [20] 대왕세종9943 23/04/10 9943
170021 [질문] 하이패스 설치 후 주행 시 소음관련 [10] 루체른10101 23/04/10 10101
170020 [질문] 사운드바 벽걸이 거치대 호환 여부 [1] 커트의가디건7475 23/04/10 7475
170019 [질문] 윈도우 기타사용자 계정 간 이동 문의 합니다. 미친여자친구8748 23/04/09 8748
170018 [질문] 영종도 여행 질문드립니다 [8] 아야나미레이7950 23/04/09 7950
170017 [질문] 완전 쌩초보 공시공부하려는데 도움좀 주세요 [12] 김밥먹고얌얌7774 23/04/09 7774
170016 [질문] 오랜만에 뵙는 고등학교 선생님 선물 뭐가있을까요.. [3] 스핔스핔7900 23/04/09 79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