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4/01 22:50:07
Name 여의
Subject [질문] (대출,금리) 원리금균등상환 vs 체증식 (중급자용(?) 질문)

안녕하세요.

금융 꼬꼬마, 대출 꼬꼬마 대출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얼마 전, 전세에서 자가로 주택을 구매하면서 2.5억원 대출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기존 대출에서 특례보금자리론을 통하여 대환 대출로 넘어가고자 하는데,

아래 두가지 방법 중 어떤 대출을 받는 게 저에게 더 이득이 되는지 판단이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조건 포함)


[1. 원리금균등, 50년, 4.35%, 2.5억]
[2. 체증식, 40년, 4.3% 2.5억]

조건1) 대출 중도상환 및 일부상환할 계획 없음
조건2) 5~10년 안으로 더 나은 집으로 이사할 계획 (이때 대출 갱신 해야하는 거 맞죠?)
조건3) 매월 대출상환 금액이 생활에 큰 지장을 주진 않음 (당장 매월 한 푼이라도 조금내는 것보다 나에게 이득인 방법을 찾고싶음)



부동산계산기로 제가 계산해본 바로는 

원리금균등 50년 대출 시
총납부금액: 61,375,200 (5년기준), 122,750,400 (10년기준)
원금상환액: 7,804,069 (5년기준), 17,500,444 (10년기준)


체증식 40년 대출 시
총납부금액: 55,722,900 (5년기준), 152,494,120(10년기준)
원금상환액: 2,141,044 (5년기준), 9,313,495 (10년기준)
   


결국 매월 얼마를 내는지, 그 중 실제 원금을 갚아나가는 금액이 얼마인지가 중요한 것 같은데...

어떤 대출이 저에게 더 이득일지 판단이 어렵네요. 고수님들의 조언 새겨듣겠습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oGainNoPain
23/04/01 23:26
수정 아이콘
65세 정년 생각해도 앞으로 일할 기간은 근속 30년 정도이기 때문에 40년 50년 만기까지 대출을 끌고 간다는 것은 무리이구요.
만기 전에 중도상환 하는것을 필히 고려하셔야 됩니다. 그럼 대출이자가 작은게 아무래도 좋죠.
30년 고정금리라면 몰라도 그런 대출은 아닐거라 생각됩니다. 그럼 중간중간에 대출이자가 바뀌는 변수도 고려해야 하니까요.
23/04/02 07:33
수정 아이콘
특례보금자리 대출을 생각하고 있어서
(고정금리, 중도상황수수료 없음, 갈아탈 때 수수료 없음) 이긴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3/04/02 0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체증식 하세요. 지금 만원과 20년뒤 만원이 같을까요? 이자가 많아보이지만 이자 내는 시기를 보면 체증식이 결과적으로 봤을때 더 유리합니다.
은행에서 체증식 취급하는곳 본적 있나요? 총 이자는 더 커서 은행이 이득인데 왜 취급안할까요? 생각해보시면 답이 나올꺼라고 생각합니다.
23/04/02 07:35
수정 아이콘
역시 체증식이 나은거겠죠???
5년이나 10년정도 이따가 다시 대환하다고 생각하면,
조금이라도 원금상환액이 높은게 유리한 거 아닌가??? 싶다가도
그때랑 지금이랑 화폐가치가 다른데... 하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답변 감사합니다^^
하우두유두
23/04/02 09:05
수정 아이콘
저도 체증식했습니다. 당장 나가는돈을 줄이고 그돈을 다른데 쓰는게 아니고 따로 모아뒀습니다.
원리금상환에 비해 체증식이 당장 현금흐름이 좋아져서요. 원리금 상환에비해서 덜나가는 돈을 따로 모아둬도 될겁니다
하아아아암
23/04/02 09:21
수정 아이콘
이자만 생각하면 균등이 적게나가긴 해요.
화서역스타필드
23/04/02 10:06
수정 아이콘
체증식이 조건이 훨 좋습니다.
앙몬드
23/04/02 10:45
수정 아이콘
아묻따 체증식 해야되는 이유 : 디딤돌에서 체증식은 근로사업자만, 나이 40세 미만만 가능, 1금융권 대출에서는 체증식이 아예 없음
사막의새벽
23/04/02 12:19
수정 아이콘
저는 10년안에는 이사갈 것 같아서 체증식으로 했습니다
대출 끝까지 끌고갈 것 아니면 체증식이 좋은거 같아요
23/04/02 22:08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체증식으로 하면 될 것 같네요.
확신이 없었는데, 답변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967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258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213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518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993
180702 [질문] 방금 피싱 전화를 받았습니다. 개인정보 삭제 관련 [1] 파이어폭스65 25/05/28 65
180701 [질문] [컴퓨터]cpu와 글카 오버클럭/언더볼팅 필수인가요? [2] LeNTE174 25/05/28 174
180700 [질문]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 대해 궁금합니다 [2] 만두1379 25/05/27 1379
180699 [질문] 서 있는 자전거를 넘어뜨렸는데요. 법적 조언 구합니다 [17] 아이러브스타2713 25/05/27 2713
180698 [질문] 마크노플러가 연주하는 금속재질 기타 정보가 궁금합니다 [2] 커티삭1622 25/05/27 1622
180697 [질문] 배우자 명의 주택 신축 계약시 저의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한가요? [9] Sebastian Vettel2498 25/05/27 2498
180696 [질문] 김해공항 근처에 하룻밤 묵을 곳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8] 한종화2212 25/05/27 2212
180695 [질문] 진득하게 즐길 수 있는 무과금(가챠x) 모바일게임 있을까요? [20] 다시마두장1504 25/05/27 1504
180694 [질문] 대선 끝나면 부동산 가격 변동이 있을까요? [29] 정 주지 마!2519 25/05/27 2519
180693 [질문] 서바이벌류를 좋아하는데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21] 짭뇨띠2209 25/05/27 2209
180692 [질문] 스연게의 고대 입실렌티 게시글이 안열려요 [3] 싸우지마세요1898 25/05/26 1898
180691 [질문] 현황도 발급 프린트 질문이요 [4] 레드드레곤~2318 25/05/26 2318
180690 [질문] 진동하는 빗의 효과성이 궁금합니다 [8] 다크드래곤2902 25/05/26 2902
180689 [질문] LTE유심 들어가는 가성비 태블릿 추천부탁드립니다. [8] 요하네스버그2467 25/05/26 2467
180688 [질문] 노트북 비교부탁드립니다. [3] 보급보급1593 25/05/26 1593
180687 [질문] 플립5 맥세이프 케이스 + 차량용 거치대 [3] 기무라탈리야1312 25/05/26 1312
180686 [질문] 왜 서구권은 한국에 비해 연예인들이 유튜버하는 경우가 잘 없을까요? [16] 독서상품권2480 25/05/26 2480
180685 [질문] 집 매매하고 인테리어 후 이사할 때 잔금 질문입니다 [12] immune1165 25/05/26 11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