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17 13:40:20
Name 모나크모나크
Subject [질문] 볼륨키가 없는 키보드에 볼륨 조절 단축기를 할당하는 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모나크모나크입니다.
스피커가 구석탱이에 있다보니.. 스피커 볼륨은 그대로 두고 시스템 볼륨을 조절해서 쓰고 있습니다. (드라마 볼때만 볼륨을 키웁니다)
제가 쓰는 키보드는 볼륨 조절 버튼이 없는 레오폴드 갈축이라 볼륨 단축기 할당이 가능한가 싶어서요.

핫키 할당하는 프로그램을 깔면 된다는데 이런 걸 좀 안 좋아해서;; 가능하면 윈도우 순정으로 해결하고 싶은데요.
레지스트리 변경하는 법은 나오는데;; 잘 알지도 못하는 레지스트리 건드리고 싶지는 않아서 다른 방법이 있나 해서 여쭤봅니다.
키보드는 10년 넘게 쓰고 있는 애정하는 녀석이라 이것 때문에 교체하고 싶진 않네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사네
23/03/17 1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powertoys 쓰세요. 마소 프로그램이기도하고, 오토핫키류랑 다르게 게임에서도 괜찮습니다
사실 레지스트 건드는게 젤 나아요, 그것도 프로그램으로 간단하게 하는법도 있고, powertoys는 작업표시줄에 틀어놓아야하는게 단점인데
그런것도 없고 건드시고 바로 지우면 그만이라 훨씬 나아요
카사네
23/03/17 13:47
수정 아이콘
모나크모나크
23/03/17 14:3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일단 레지스트리 한 번 바꿔봐야겠습니다. 힘이 나네요.
23/03/17 13:54
수정 아이콘
서드 파티툴이지만 volume2와 Volume Master를 씁니다.

volume2의 기능

1.작업표시줄 트레이 아이콘에 "숫자 표시"로 볼륨 상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2.단축키 외에 작업표시줄에서 휠 스크롤을 통해 볼륨 조절이 가능합니다.

3.단축키로 단계별로 감소/증가 외 "특정 수치"로 볼륨 조절도 가능합니다.

4.단축키로 프로그램 실행 및 시스템 명령(재부팅,컴퓨터 종료등)도 가능합니다.

Volume Master의 기능

1.웹사이트 탭별로 볼륨 조절할 수 있습니다.100% 이상 증폭도 가능합니다.
23/03/17 13:56
수정 아이콘
기존 키보드는 그대로 쓰고 스트림 덱이나 볼륨 조절 전용 컨트롤러를 따로 사는 방법도 있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3/03/17 14:38
수정 아이콘
알려 주신 프로그램은 사실 굉장히 마음에 드네요. 넷플 볼 때만 볼륨이 작아서 잘 안 들리거든요. 세팅해두면 아예 손 안 대도 될 것 같기도 하고.. 한 번 찾아봐야겠습니다.
karlstyner
23/03/17 14:21
수정 아이콘
레오폴드키보드는 fn키 + f10~f12키가 뮤트, 볼륨 업다운입니다. 그런데 펑션키가 usb연결하면 작동하지 않고 ps/2포트로 연결해야만 직동합니다...
모나크모나크
23/03/17 14:35
수정 아이콘
일단 지금 보니 오래 돼서 그런지 팡션키가 없네용... 게다가 USB라.. 제가 가장 원하는 방식의 답이었는데 아깝습니다 감사합니다.
karlstyner
23/03/17 15:06
수정 아이콘
우하단에 fn키만 있으면 작동할겁니다. 레오폴드는 f1~f12키에는 원래 단축키 표시가 안되있거든요.. 메인보드에 ps/2단자가 있으면 그냥 젠더를 사서 구매하셔도 됩니다.
모나크모나크
23/03/17 15:56
수정 아이콘
흑흑 없어요 팡션 ㅠ.ㅠ 웬지 그 자리에 우측 윈도우키가 떡하니 있군요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700 [질문] 슬더슬 진엔딩 에메랄드 열쇠는 몇 층에서 먹는 게 보통인가요? [33] 일신9408 23/03/22 9408
169699 [질문] 토미 엠마뉴엘 연주영상을 찾습니다. [2] 새침한 고양이8471 23/03/22 8471
169698 [질문] 제약회사에서 QA업무를 보고 있는데 QC를 해보면 도움이 될까요? [2] 플래쉬7795 23/03/22 7795
169697 [질문] 슈카는 믿을 만한 유튜버인가요? [58] 안경9647 23/03/22 9647
169696 [질문] 더 글로리 파트2 한가지 궁금한 점 [8] 새침한 고양이7509 23/03/22 7509
169695 [질문] 엘든링 난이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16] The Greatest Hits8830 23/03/22 8830
169694 [질문] 리조트에서 분양회원을 회원제에서 공유제로 유도하는 이유? [2] 미네랄은행7142 23/03/22 7142
169693 [질문] 여동생 문제로 머리가 좀 아픈데.. [38] 황제의마린11426 23/03/22 11426
169692 [질문] 가성비 PC 스피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카즈하8964 23/03/22 8964
169691 [질문] 전자소송 지급명령 신청 관련 질문 드립니다. [4] 요망한피망7185 23/03/22 7185
169690 [질문] pc 조립 견적 질문드립니다. [18] 조따아파11056 23/03/22 11056
169689 [질문] 인쇄 잘 아시는 분 형압 단가가 보통 얼마하나요? [2] 몽키.D.루피7865 23/03/21 7865
169688 [질문]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질문드립니다 [5] 추억9426 23/03/21 9426
169687 [질문] 태블릿pc 질문입니다. [10] AquaMarine7977 23/03/21 7977
169686 [질문] 에어프레미아 탈만 한지요? [7] 성야무인8953 23/03/21 8953
169685 [질문] 가디언테일즈 해보려하는데 리세계질문입니다 [4] 키모이맨7184 23/03/21 7184
169684 [질문] 전세자금 관련 질문입니다. [2] 모든사이즈에도전7777 23/03/21 7777
169683 [질문] 전세 연장 관련 질문 드립니다. [9] 빅픽쳐7053 23/03/21 7053
169682 [질문] 갤 23 플러스 써보신 분들 어떠신가요? [13] 빠독이8399 23/03/21 8399
169680 [질문] 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모니터 고민 [19] 모챠렐라8633 23/03/21 8633
169679 [질문] NAS 랜섬웨어 감염 관련...; _ ; [10] 달달한고양이7998 23/03/21 7998
169678 [질문] 힐링 할 수 있는 여행지를 찾고있는데 이런 비슷한곳도 있을까요?? [14] 레너블6775 23/03/21 6775
169677 [질문] 3D 어드벤쳐 게임 알려주세요~ [8] 나혼자만레벨업7387 23/03/21 73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