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2/27 15:33:54
Name 젤렌스키
Subject [질문] 24평(25평) 아파트 거실 티비에 적정한 크기는 몇 인치 일까요.
며칠 전에 뜻하지 않게 65인치 티비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티비와 거리가 2.5m는 되는데 영 적응이 안 됩니다. 눈 피로하고 머리도 아픈 거 같습니다.


인터넷에서 거거익선이라고 25평인데 75, 85인치 사는 사람들도 있길래 65면 괜찮겠다 싶었는데 힘드네요.

(분명 매장에선 이렇게까지 크게 안 느껴졌는데 말입니다 ㅡ_ㅡ)


저도 곧 적응을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팔아야할까요(벽걸이라 팔 수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300만 원 주고 샀지만 200에 팔 용의도 있는데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23/02/27 15:36
수정 아이콘
25평형, 65인치 쓰는데 작습니다. 75샀어야 했어요...........
23/02/27 15:38
수정 아이콘
85도 보다보면 작게 느껴지실걸요
브랜트가마우지
23/02/27 15:39
수정 아이콘
75쓰는데 다시 사면 85 샀을듯요
화서역스타필드
23/02/27 15:40
수정 아이콘
85인치 사셔야죠
젤렌스키
23/02/27 15:42
수정 아이콘
다들 대단하시네요. 저는 눈이 핑핑 도는데;;;;
크로플
23/02/27 15:42
수정 아이콘
다들 큰거 추천하시니까 소수발언이랍시고 하나 달고 가겠습니다.
32인치 쓰고 있는데 조금 작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에 산다면 45에서 50정도에서 살것 같네요.
젤렌스키
23/02/27 15:49
수정 아이콘
저도 50정도가 적합한 거 아닌가 합니다. 바꾸기 전에는 정확히는 모르는데 40인치대였거든요.
강아랑
23/02/27 15:43
수정 아이콘
86 가세요.
23/02/27 15:43
수정 아이콘
65인치tv+120인치 프로젝터 같이 씁니다. 25평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2/27 15:45
수정 아이콘
나중에 작은걸로 바꾸면 역체감때문에 아...이렇구나 할겁...크크
23/02/27 15:50
수정 아이콘
화질과 색감 조정을 해보심이 어떨까요?
amoled든 qled든 선명한 색감이면 눈이 아프더군요 크크
젤렌스키
23/02/27 15:54
수정 아이콘
qled입니다. 일단 밝기를 줄이긴 했습니다. 좀 낫더군요. 선명도도 낮춰야할까요.
23/02/27 16:04
수정 아이콘
색상모드가 있을텐데 자연스러운 색상 선택하시는걸 권유드립니다.
저도 와이프가 TV 처음사고 너무 쨍하다 그래서 바꿨던 기억이...^^;
젤렌스키
23/02/27 16:13
수정 아이콘
네 그것도 했습니다. 화면 크기를 줄여버리는 걸 찾아봤는데 이런 기능은 없는 것 같아요.ㅠㅠ
하카세
23/02/27 15:52
수정 아이콘
65인치 바로 앞에 책상두고 게임도 했었는데... 24평 거실이면 저는 다시 사라면 80인치 이상입니다
23/02/27 15:53
수정 아이콘
저는 안방에 침대 머리맡 부터 해서 3.5 M 정도에 벽걸이로 82인치 걸었는데 티비를 잘 안봐서 그렇지 가끔 쓰면 좋더군요
젤렌스키
23/02/27 15:54
수정 아이콘
가끔 영화보는 용도면 좋은데. 저희집은 주구장창 틀어놓습니다......
닉바꾸기힘들다
23/02/27 15:55
수정 아이콘
티비는 거거익선이라는 말이 있죠. 아무리 큰걸 산들 후회한다는 분야가 TV...
젤렌스키
23/02/27 16:11
수정 아이콘
저도 그말 보고 샀는데 매우 당황스러워서요.....
유료도로당
23/02/27 16:03
수정 아이콘
보통 금방 적응되어서 좋다고들 한데 24평 거실에 75인치 85인치는 비율상 많이 큰게 맞습니다. (저는 70인치 쓰는데 이미 적응완료..)
사실 55인치만 돼도 딱 맞는 사이즈이긴 하죠.
Lainworks
23/02/27 17:06
수정 아이콘
유튜버 중 컬러스케일이었나 하는 곳의 영상 중에, 각 영상표준업체마다 권장하는 시청거리별 화면크기 추천 영상이 있을겁니다
돌비비전이 막 말도안되게 아이맥스를 추천했던가 그랬던것 같은데
여튼 그 영상 참고하시면 괜찮습니다.
겨울삼각형
23/02/27 17:19
수정 아이콘
75인데 작습니다(?)
23/02/27 17:23
수정 아이콘
거거익선일 수 있지만, 경험 상 거실크기 대비 티비 크기 체감이 엄청 차이 많이나서 거실 작으면 56인치 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원펀맨
23/02/27 17:26
수정 아이콘
저도 오히려 큰거 샀다가 후회하고 65 쓰는 중입니다. 자기 편한게 최고입니다.
젤렌스키
23/02/27 19:09
수정 아이콘
25평 이신가요?
페로몬아돌
23/02/27 17:44
수정 아이콘
84 25평? 인데 100 씁니다 크크크 게임 하려고 샀습니다
에베레스트
23/02/27 23:43
수정 아이콘
저희 집이 비슷한 평수에 티비거리도 그정도인데 65쓰고 있습니다.
주로 부모님이 보시는데 32 쓰다가 바꾼거라 처음 며칠간은 커서 부담스럽다고 그러시더니 한 일주일쯤 지나니까 괜찮다고 하시더군요.
한화이글스
23/02/28 10:01
수정 아이콘
55쓰는데 75 쓰고 싶습니다.
모텔에서 겪은 큰 화면의 압도감은 75는 되야 경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젤렌스키
23/02/28 11:34
수정 아이콘
압도감은 있는데 계속계속 압도하니까 너무 힘듭니다 ㅠㅠ
23/02/28 10:07
수정 아이콘
저도 몇년전에 딱 24평/65인치로 샀다가 처음에 적응안돼서 고생 좀 했어요
거실 끝에 딱 붙어서 봐야 눈이 피로하지 않더라구요 크크
하지만 지금은.. 더 큰거 살걸...
젤렌스키
23/02/28 11:35
수정 아이콘
이제는 눈이 안 피로 하신 건가요? 완전 적응?
23/02/28 11:48
수정 아이콘
네 1년 정도 지나니 아무문제없더라구요
젤렌스키
23/02/28 15:07
수정 아이콘
헉 1년 입니까.........
Alcohol bear
23/02/28 11:12
수정 아이콘
이제 곧 75살걸 하시게 됩니당
Dummy9th
23/02/28 11:53
수정 아이콘
티비 크기는 안경 도수랑 똑같습니다
사고 난 직후에는 이렇게 커도 되나, 잘 보여도 되나 싶은데, 금방 적응돼요
그러다 전에 쓰던 거 보면 역체감 느끼고 깨달음을 얻게 되죠 지금 이게 맞는 거구나 하고요 크크
꿈트리
23/02/28 15:28
수정 아이콘
너무 밝게 보면 눈이 아파서 그럴겁니다.
밝기만 줄여도 눈의 피로도가 확 줄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339 [질문] 도서정가제 기준보다 더 높은 할인을 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2] 크림샴푸7669 23/03/03 7669
169338 [질문] 오늘의집 사이트 관련해서 여러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2] SaNa6770 23/03/03 6770
169337 [질문] 핫워터디스펜서 써보신 분 계실까요? 행운아6938 23/03/03 6938
169336 [질문] 파베 생초콜릿 실온에 6시간 정도는 둬도 괜찮나요? [2] 한입7226 23/03/03 7226
169335 [질문] 해운대 부모님과 함께 갈 호캉스 호텔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6] 콩순이10153 23/03/03 10153
169334 [질문] 플라스틱 제품 속을 꽉채울 재질이 뭐가 있을까요? [3] 설탕가루인형형9551 23/03/03 9551
169333 [질문] 애플워치 차고 있을 때 아이폰 알림 문의드립니다 [2] vi20nq7953 23/03/03 7953
169332 [질문] HDD/SSD 관련 질문입니다. [10] Winter_SkaDi7373 23/03/03 7373
169331 [질문] RAM 16GB가 충분할까요? [12] 어센틱9391 23/03/03 9391
169330 [질문] 유료 VPN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하얀사신11292 23/03/03 11292
169329 [질문] 강남역-삼성역 인근 외국인 접대할 고기집 있을까요? [13] 만수르11584 23/03/03 11584
169328 [질문] 웹 동작 애니메이션 별도 저장하는 법 [1] Rukius9122 23/03/03 9122
169327 [삭제예정] 무계획적인 소비가 남한테 피해를 주는거라 생각하시나요? [36] 삭제됨10670 23/03/02 10670
169326 [질문] 친구 결혼식에 가방돌이를 하게 되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푸끆이14378 23/03/02 14378
169325 [질문] 제로 음료 추천 좀 해주세요 [30] 밥과글10136 23/03/02 10136
169324 [질문] 캘리그라피 잘 아시는 분 있나요? [3] will7459 23/03/02 7459
169322 [질문] 헬린이가 고수분들을 기다립니다. (2) [9] 먼산바라기11750 23/03/02 11750
169321 [질문] 광명역 도심터미널 및 인천공항 도착 시간 문의 [2] 서쪽으로가자9332 23/03/02 9332
169320 [질문] 플스 입문 라스트 오브 어스 등 질문이요 [14] 기차놀이10182 23/03/02 10182
169319 [삭제예정] 그만 만나고 싶은 사람은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19] 무한도전의삶11125 23/03/02 11125
169318 [질문] 삼성노트 어플을 삼성 갤럭시가 아닌 타 제조사 안드로이드 탭에 설치 가능한가요? [4] 나혼자만레벨업9121 23/03/02 9121
169317 [질문] 5살 아이 광고없는 게임 추천해주세요 [8] 오타니13164 23/03/02 13164
169316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8] 하임9508 23/03/02 95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