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2/24 12:33:36
Name 먼산바라기
Subject [질문] 플스 VS 엑박 VS 컴퓨터. 여러분의 선택은?
얼마전에 호그와트 레거시 플레이 하는 영상을 보고 급 뽐뿌가 와버렸습니다..

그동안 닌텐도 스위치로 젤다 야숨 하면서 근근히 버티고 있었는데... 호그와트 레거시 플레이 영상이 저를 무너뜨리네요.

갑자기 이런 저런 게임들이 하고 싶어서 시장조사 중인데요.

호그와트 레거시라든지 엘든링이라든지 위처라든지.. 게임을 하려면 어떤 플랫폼이 좋을까요?

플스? 엑박? PC?

여러분의 추천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23/02/24 12:40
수정 아이콘
요즘에 컴터 앞에 앉는 게 귀찮아서 플스가 젤 편하더라구요.
23/02/24 12:41
수정 아이콘
호그와트 레거시에 플스 독점 컨텐츠 있지 않나요?
잠수족
23/02/24 14:50
수정 아이콘
그건 모드로 pc로도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덴드로븀
23/02/24 12:41
수정 아이콘
야숨하고 호그와트가 끌린다면 당연히 플스입니다. PS+ 구독서비스까지 곁들이면 당분간 매우 행복해지실겁니다 크크
23/02/24 12:41
수정 아이콘
저는 PC 한 표요. 게임 외 활용도도 높고 웬만한 게임은 좀 기다리면 다 PC로 나오니 이중지출 안해도 되는 점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덴드로븀
23/02/24 12:55
수정 아이콘
문제는 플스급 그래픽으로 게임을 즐기려면 플스는 55~65만원이지만 PC로는 200만원이 가뿐히 넘어야한다는점...?
23/02/24 12:50
수정 아이콘
싼건 플스입니다.
마구스
23/02/24 12:50
수정 아이콘
PC : 게임 말고도 다용도로 쓸 수 있음. 나중에 작업용으로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면 유일한 선택. 다만 그래픽 카드 가격이 미쳐돌아가는 요즘 게임 머신으로 보기엔 가성비가 제일 떨어지는 취미(스팀 게임할 거면 차라리 스팀덱이...)
엑박 : 게임패스가 알파이자 오메가. 넷플릭스처럼 구독으로 수많은 게임을 즐길 수 있음. 다만 내가 원하는 게임이 게임패스에 들어있다는 보장은 없고, 엑박에서 할 수 있는 게임은 전부 PC에서도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적당한 사양의 PC가 있는 사람은 굳이 기기를 구매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 수 있음
플스 : 플스 전용 독점작을 하고 싶으면 유일한 선택지. 갓오브워, 라스트 오브 어스 등 오직 플스에서만 가능한 수많은 명작들. 파이널 판타지7 리메이크처럼 다른 회사 게임도 1~2년간의 독점을 유치하기도 함. 다만 몇 년의 시차를 두고 독점작들이 PC에도 발매되는 추세임은 감안해야 됨.

이런 장단점이 있는데 게임만 할 거면 한국에서는 플스로 가는 게 보통이긴 합니다.
에바 그린
23/02/24 12:53
수정 아이콘
컴퓨터 아예 없는거 아니시라면 플스가 맞는거 같습니다. 땡기는 게임 목록을 보면 콘솔 대작들쪽이 땡기시는거같은데 아직은 엑박보단 플스인듯
자발개보초
23/02/24 12:54
수정 아이콘
예산 제한없으면 PC가 좋습니다
23/02/24 12:59
수정 아이콘
게임이 주용도인 것에 200가까이 태울수있으면 피시 아니면 플스
요슈아
23/02/24 13:38
수정 아이콘
플스5 디스크 본체 가격 << 3070TI 가격

이렇게 생각하시고 알아보시는게 좋습니다.
23/02/24 13:52
수정 아이콘
PC를 구매하셔서 업무에도 쓰고(오피스 가벼운파일 이런 업무같은거 말고 업무에서 그래픽작업이나 빅데이터 혹은 영상편집 또는 오피스도 막 수백mb이상급 되는 엑셀파일 자주 다루는 업무 같은거 한다고 칠때)
게임도 겸사겸사 같이 하는 용도라면야 PC가 좋은 선택이겠습니다만

그냥 게임 용도로만 보신다면 가성비 측면에서 PC가 플스를 이길수가 없습니다.
닉바꾸기힘들다
23/02/24 13: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게임기는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것도 좋더라구요.
pc는 데탑도 비교적 크고 모니터 키보드 둘 자리고 있어야하고 말이죠..
작업은 노트북으로하고 그냥 게임은 게임기로 하면 정말 좋은것 같아요.
pc는 아무리 좋은 pc를 사도 게임의 옵션창에서 옵션 조절을 대충이라도 해야해서 게임기는 옵션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도 좋은거같아요.
Blooming
23/02/24 14:05
수정 아이콘
추천은 플스구요.
장점: 설정이 없다. 최적화가 알아서 잘 되어있다. 값이 싸다.
단점: 모드가 없다. 최고의 그래픽을 즐길 수 없다.
예산에 여유가 있으면 플스+고사양 PC 조합이 최강인데, 합리적인 예산으로 게임만 하는게 목표면 플스입니다.
먼산바라기
23/02/24 15:09
수정 아이콘
답변 달아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적당한 중저가 PC +플스가 답인것 같네요 크크크크

의외로 엑박은 추천하지 않으셔서 많이 놀랍네요~!
Stoncold
23/02/24 15:13
수정 아이콘
엑박도 괜찮은데 pc가 있다면 포지션이 많이 겹치죠. 플스 독점작에 관심없는 저 같은 사람은 엑박도 좋습니다
다시마두장
23/02/24 15:10
수정 아이콘
호그와트 레거시의 플스 독점 컨텐츠, 앞으로 나올 PS5 독점 게임들, 게임에 최적화된 환경, 상대적으로 부담없는 가격 등을 고려해 플스 추천드립니다.
PC의 장점은 돈을 들인 만큼의 퍼포먼스를 뽑아낼 수 있다는 점, 키보드 마우스 사용, 자유로운 패치/모드, 강력한 레거시 지원이라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매력을 느끼시는 게 아니라면 심플하게 플스를 쓰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푸르미르
23/02/24 16:19
수정 아이콘
전 다 갖고 있지만 고퀄로 즐기시고 싶으면 PC가 답이고,
저렴하게 즐기시고 한대만 더 사고 싶다고 하시면 한국에선 플스 진영 선택하는게 호불호가 적다고 생각합니다.
앙몬드
23/02/24 17: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돈 최대한 아끼고 싶고 가성비 타협하겠다 하시면 엑시스로 가세요 20만원이면 한대 삽니다
23/02/24 21:41
수정 아이콘
금액을 어느정도 투자할 수 있으면 애초에 콘솔은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금액이 한정적인데 aaa급 게임을 즐기고 싶다 or 콘솔 독점작을 즐기고싶다 일 경우에나 콘솔이지, 그외엔 PC가 모든 환경에서 압살합니다. 막말로 컴퓨터에 패드 물리면 콘솔이랑 같죠.
아이폰12PRO
23/02/25 02:10
수정 아이콘
대형 티비로 한다는 가정하에 좀 다르긴합니다.

물론 컴퓨터를 HDMI로 대형티비에 물릴수는 있겠으나 그렇게 하는 사람은 그거에 맞는 공간이 꼭 필요하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262 [질문] 24평(25평) 아파트 거실 티비에 적정한 크기는 몇 인치 일까요. [36] 젤렌스키16605 23/02/27 16605
169261 [질문] ㅏㅏ [29] 선플러10930 23/02/27 10930
169260 [질문] 차량구매예정인데 가솔린 디젤 고민이됩니다 [27] 천우희9355 23/02/27 9355
169259 [질문] 믿을 만한 기부 단체 추천 부탁 드립니다. [16] 타츠야12257 23/02/27 12257
169258 [질문] 광교쪽 소개팅 장소 문의 드립니다. [11] 포커페쑤8894 23/02/27 8894
169257 [질문] 컴퓨터(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7] 민간인9441 23/02/27 9441
169256 [삭제예정] 대학병원에서의 출산(노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0] 건투를 빈다7901 23/02/27 7901
169255 [질문] 배송일이 정말 어느정도로 힘든가요??? [7] 레너블7349 23/02/27 7349
169254 [질문] 일자목 교정에 이런 베개가 괜찮을까요? [9] 알렉스터너9853 23/02/27 9853
169253 [질문] 자동차 배터리 질문입니다 [4] 여유를갖자7472 23/02/27 7472
169252 [질문] 파란통 다이어트 약 복용 후 화장실 큰일의 변화 무슨 이유일까요?? 애기찌와8472 23/02/27 8472
169251 [질문] 컴퓨터 견적관련 질문드립니다.(CPU관련) [6] 둥니10000 23/02/27 10000
169250 [질문] 위스키 페어링 음식 추천 받습니다 [4] 은빛사막6958 23/02/27 6958
169249 [질문]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보면 사이버펑크 게임이 재미없어질까요? [13] 코시엔9217 23/02/27 9217
169248 [질문] 초등학교 저학년 조카들 생일 선물 얼마씩 쓰세요? [19] 콩순이11556 23/02/26 11556
169247 [질문] 영화 제목 찾습니다. 일본영화 [1] 기술적트레이더6610 23/02/26 6610
169246 [질문] 저탄고지 식단 질문드립니다(초보입니다 ㅠ) [15] 민서9022 23/02/26 9022
169245 [질문] [kbl] 외국인선수중 입단당시 커리어나 이름값 높은 선수들 누가 있었을까요? [8] backtoback8752 23/02/26 8752
169244 [질문] 디아2 우버 헬프좀...(완료) [6] 교자만두7951 23/02/26 7951
169243 [삭제예정] 자유게시판 64시간 표 관련 질문 [2] 삭제됨7929 23/02/26 7929
169242 [질문] 아버지님를 모시고 도쿄에 간다면 볼만한 관광지? [10] 8578 23/02/26 8578
169241 [질문] 방 구석에 박혀 있던 컴퓨터 써보려 합니다. [4] 하카세8923 23/02/26 8923
169239 [질문] 갤럭시 S23 자급제는 어떤가요? ​ ​ [8] 그때가언제라도10468 23/02/26 104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