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2/21 14:54:31
Name 놔라
Subject [질문] 연말정산 세액공제 문의
작년엔 연말정산으로 약 100만원 가량을 돌려받았는데
올해는 40만원 밖에 안되네요
연봉 및 소비금액도 훨씬 증가했는데 돌려받는 금액이 줄었는데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가장 큰 가능성으로 생각하는 것은 이직인데
작년 5월에 이직을 했습니다. 이직을 할 경우, 전 직장에서 퇴직금을 받으면서 그 때 세금 관련 처리가 이루어지나요?
그래서 한번 정산이 되기 때문에 다음년도 연말정산에서 그 금액만큼 빠진 걸로 계산이 되는게 맞나요?

예전에도 이직한 다음년도 연말정산 때는 굉장히 금액을 적게 받거나, 오히려 토해내는 경우도 있던 걸로 기억하는데
확실하진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2/21 15:08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에서 돌려 받을 수 있는 금액은
A. 매달 급여에서 공제한(=미리 징수한)세금 - B. 연말정산시기에 결정세액 = 13월의 보너스 입니다.

이 13월의 보너스가 생각 보다 적다면
A. 의 금액이 적던가 B의 금액이 많던가 둘중 하나 입니다.

제가 질문자 님의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을 볼수 없으니 확답은 못하겠지만....
아마 이직을 해서 A 금액이 적어서 아닌가 싶습니다
젤나가
23/02/21 15:08
수정 아이콘
보통은 이직하면 이직한 달까지 받은 소득을 한 해 전체의 소득으로 보고 퇴직자 정산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 때 매우 낮은 세율이 적용된 상태고 따라서 상당 부분의 세금을 환급 받으셨던 거죠. 그러니까 조삼모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3/02/21 15:19
수정 아이콘
보통 이직하면 퇴직할 때 납부했던 세금 일부분을 돌려 받습니다. 그걸 연말정산 때 토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3/02/21 15:22
수정 아이콘
원래 전년도 소득을 보고 국가에서 "아, 이 사람은 이 정도 버니까 대충 몇%를 미리 징수하면 되겠구나" 하고 정해둡니다.

그래서 예정에 없던 큰 소득이 들어오면 그 % 보다 적게 징수되면서 연말 정산 때 더 뺏어가죠. (이 경우는 퇴직금 정산)

%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소득 구간으로 구간이 바뀌어버리면 세금이 정말 급격하게 올라갑니다. 그나마 여기가 안바뀌면 소소하게 올라가죠

그리고 연봉이 증가하셨다고 했는데 그러면 세액공제도 왠만하면 불리해집니다. 7000만원 전후로 많이 줄어드니 확인해보셔요
23/02/21 16:13
수정 아이콘
조금 생각이 다른게 , 소득구간이 바뀌어도 .. 소득구간에서 +a 에 대항하는 돈만 세율이 바뀌는거에요

예를들어 연봉 ~5천까지 세율 20퍼, 5천 ~ 1억 세율 30퍼 라고 가정하고 , 연봉이 8천이라고 하면

5천까지는 세율 20퍼 적용, 5000~8000 (3천만원) 에 해당하는 돈만 세율이 30퍼가 적용 됩니다..

이렇게 안하면 역전 생기니 누가 연봉 올리겠나요 ..
23/02/21 17:46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연봉이 늘어나지만 실소득은 별로 안늘어나죠.. 그런 의미였습니다.

그리고 세액공제가 줄어들면서 모든 것을 똑같이 다해도 세금이 늘어나구요.
젤나가
23/02/21 16:27
수정 아이콘
원천징수 금액은 작년 소득 보고 걷어가는 거 아니에요. 애초에 원천징수 자체를 국가에서 하는 게 아니라 회사에서 대신 징수한 다음에 국가에 납부하는 건데 회사 입장에서 근로자의 직전 연도 소득을 정확하게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걷어갈 수가 없어요. 원천징수 금액은 국세청에서 매년 배부하는 간이세액표를 베이스로 해서 성과급 시스템 등 생각해서 조금씩 조정해서 적용하는 겁니다.
23/02/21 17:47
수정 아이콘
아 그게 회사에서 알아서 조정 하는 거였군요.
국가에서 그렇게 조정하는거라 생각했는데 틀렸네요.
23/02/21 16:14
수정 아이콘
5월에 이직하셨으면 1~4월에 받은 토탈 금액가지고 세율 측정해서 그때 아마 돌려받으셨을겁니다.
23/02/21 16: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각하신게 맞습니다.
계산하기 쉽게 연봉 6000이라하면 4월까지 월 500씩 총 2000만원 받았다 치고 비과세 월10만원씩 부양가족 없을때 소득세+지방소득세가 월37만 정도씩 나갔을텐 148만원 정도 세금 내셨을거에요.
그럼 퇴직할때 연소득 2000기준으로 연말정산처럼 한번 처리가 되는데 연소득 2000기준에 세금을 148만원 낸걸로 되어 있으니 아마 꽤 많이 돌려 받으셨을겁니다. 자세한 금액은 이전직장에서 받은 원천징수 영수증 보면 맨 아래 나와있어요. 이직한 회사에서 연말 정산하면 저때 받은건 제외하고 줍니다. 그래서 오히려 내야하는 경우도 있어요. (재작년 5월 퇴사시 제가 140 돌려 받았고 이직한 회사에서 연말 정산때 추가로 70정도 받았습니다)
겨울삼각형
23/02/21 16:47
수정 아이콘
조삼모사입니다..
마술사
23/02/21 16:53
수정 아이콘
연봉이 증가해서 그렇습니다
미리 세금을 떼는게 작년 기준으로 세금을 떼고
연말에 실제로 받은금액으로 정산하는건데
작년대비 연봉이 올라가면 작년보다 받을게 줄어드는게 당연하죠
츠라빈스카야
23/02/21 22:23
수정 아이콘
작년기준으로 떼는 건 건강보험 아니던가요..?
마술사
23/02/21 22:27
수정 아이콘
미리 세금을 떼는 원천징수를 작년연봉기준으로 하고나서
실제 올해연봉 및 세액공제된걸 계산해서 조정하는작업이 연말정산입니다.
FreeMySky
23/02/22 13:48
수정 아이콘
원천징수는 당월 소득 기준입니다.
당월 소득을 기준으로 간이세액표에 해당하는 소득세를 원천징수 합니다.
마술사
23/02/23 00:25
수정 아이콘
간이세액표에 들어가는 총금액이 전년도 총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마인부우
23/02/21 17:01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때 가장 많은 질문이 왜 환급이 이거밖에 안되나? 인데
결론은 아무리 많이 돈을 써도 기납부세액, 즉 원천징수 한 세액 이상으로는 환급이 안된다능..ㅠㅠ
민간인
23/02/21 17:13
수정 아이콘
세액공제 위 종합 소득 과세 표준을 보시면 됩니다.
세액 공제는 그대로인데, 과세 표준이 더 늘어나 있으면 세금이 더 나오는 것이고,
혹여 4,600 이하와 초과는 적용세율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금을 많이 산출세액이 많아 환급이 작을 수도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220 [질문] 갑자기 글자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4] The Unknown A6860 23/02/25 6860
169219 [질문] 옥토패스 트래블러 2 [5] 평화왕7473 23/02/25 7473
169218 [질문] 작업용 런닝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6] seotaiji11138 23/02/25 11138
169217 [질문] 요리할 때 소주는 왜 쓰는 걸까요? [15] 토마스에요9512 23/02/25 9512
169216 [질문] 필기용 태블릿 고민입니다. (탭S8, 에어5, 프로11인치 3세대) [15] 사람되고싶다7450 23/02/24 7450
169215 [질문] 이거 노래 가사 뭐라는 건가요? [1] Euthanasia9306 23/02/24 9306
169214 [삭제예정] 난방비 캐시백 안되는건가요? Janzisuka8553 23/02/24 8553
169213 [질문] 30대가 되면 원래 이유없이 아픈가요? [37] 상록일기9404 23/02/24 9404
169212 [질문] 디아블로3 결제안해도 PC방에서 할 수 있나요? [5] 분당선7896 23/02/24 7896
169211 [질문] 안양/군포 사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6] 아케르나르7697 23/02/24 7697
169210 [질문] [lol] 후반까지도 쓸만한 탱커 정글챔 추천부탁드립니다 [19] 더치커피9667 23/02/24 9667
169209 [삭제예정] 답변 감사합니다. [14] 삭제됨9548 23/02/24 9548
169208 [질문] 노래 제목을 찾습니다. 능력자님들에 도움이 필요합니다. [6] 돈백7959 23/02/24 7959
169207 [질문] [LOL] 대회에서 선수들끼리 라인 스왑을 하려면 미리 공지해야하나요? [11] nekorean9123 23/02/24 9123
169206 [질문] 플스 VS 엑박 VS 컴퓨터. 여러분의 선택은? [22] 먼산바라기10334 23/02/24 10334
169205 [질문] 매월 마지막 근무일에 알람을 받을 수 있는 방법 [5] 중상주의8899 23/02/24 8899
169204 [질문] 단어가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9] 포코포코6842 23/02/24 6842
169203 [질문] PC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핏빛9468 23/02/24 9468
169202 [질문] 요즘은 핸드폰 어디서 구매하나요? [6] 슬래셔7848 23/02/24 7848
169201 [질문] 이번주 슈카월드에서 출산율 얘기할까요 [8] 거북왕10895 23/02/23 10895
169200 [질문] 차량 리모컨 키 인터넷 구매(기판제외 껍질만)문제가 있을까요? [4] 카오루5565 23/02/23 5565
169199 [질문] 호주에 워킹홀리데이가는 친한동생 선물추천 부탁드립니다. [7] 루카와10295 23/02/23 10295
169198 [질문] 시계 추천 부탁 드립니다. [31] Lewis14760 23/02/23 147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