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2/12 12:36:34
Name 졸업
File #1 images.jpeg_2.jpg (10.2 KB), Download : 254
File #2 다운로드.png (3.6 KB), Download : 235
Subject [질문] 한국인의 유전자가 음식을 먹는데 어떤 장점이있을까요




유투브에서 서양인이 의료보험이 있는것처럼 아찔한 디저트를 먹는 영상을 보다 댓글을 봤습니다. 서양인들이 당뇨를 더 안걸린다는 얘기가있더라고요.

실제로 찾아보니 서양인들이 더 췌장이 크고 당뇨에 걸릴 확률이 낮다고하도라고요. 부럽네요.

이런걸보면 우리나라에서 디저트에대한 칭찬이 '너무 달지않아 좋다' 인게 이해가가기도 하는 한편으론 우리가 더 잘먹는것도 있지않을까 싶어서 질문해봅니다.

일단 단점으론 단걸많이 못먹고, 고수를 못먹고... 유당불내증있고..
장점은 채소를 더 소화잘하고.. 김치를 잘 소화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3/02/12 12:46
수정 아이콘
일단 나열하신 내용들이 팩트인가요?
서양인이 당뇨에 걸릴 확률이 낮다?
일단 단점으론 단걸많이 못먹고, 고수를 못먹고... 유당불내증있고.. --> 이건 혹시 본인? ...
동굴곰
23/02/12 12:52
수정 아이콘
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180727127900017
한국인이 췌장이 작아 당뇨병이 잘 걸린단 기사
https://mobile.hidoc.co.kr/healthstory/news/C0000539221
한국인 75퍼가 유당불내증이라는 기사
23/02/12 12:52
수정 아이콘
췌장크기 당뇨
http://m.whosaeng.com/103310

동양인 유당불내증
https://www.mkhealth.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523

고수 (출처 인사이트라 부정확)
https://m.insight.co.kr/news/234695
닉네임을바꾸다
23/02/12 14:02
수정 아이콘
사실 유당불내증은 아닌 사람이 지구적으로 드문...크크
23/02/12 12:50
수정 아이콘
당연하지만 서양이 아니라 국가별로 다른데 미국이랑 비교하면 큰 차이도 안 납니다.

그리고 미국 평균 수명이 한국 평균 수명보다도 짧아요.동양 서양 차이의 문제는 아니죠.
머나먼조상
23/02/12 12:52
수정 아이콘
죽음까지 가는 알러지가 거의 없죠
그래서 더 무신경하지만요
23/02/12 12:54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알러지에관한 문제는 서양인들이 더 심하네요 특히 땅콩같은경우 우리나라는 0.35%인데 서양인은 5.5%라고..
닉네임을바꾸다
23/02/12 14:00
수정 아이콘
산에서 바다에서 온갖 풀(?)때기를 뜯어먹다보니...과한 알러지 있던 사람은 진작에 도태된걸까요? 크크
Lord Be Goja
23/02/12 15:02
수정 아이콘
의료보험이 있는거처럼 먹는 미국인들은 심질환으로 잘 죽어요 (04년기준 연 65만명)
https://www.stroke.or.kr/bbs/index.html?code=news&category=&gubun=&page=87&number=533&mode=view&order=&sort=&keyfield=&key=&page_type=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927_0002027674

한국인은 3만명정도 심질환으로 죽으니까 인구대비로 봐도 꽤 유의미한 차이죠

당뇨와 심질환중에 어떤게 더 대응할시간없이 사람을 죽이나 생각해보면 몸이 이상하다는걸 느끼기쉬운 당뇨로 브레이크 걸리는게 그나마 나을지도..
문어게임
23/02/12 15:37
수정 아이콘
한국인 유전자 아니면 한국에서 살아남기 힘듭니다
요즘이야 먹기 싫으면 거르면 되지만
예전엔 생존의 문제라
산나물 안먹으면 굶어 죽습니다.
근데 서양인은 먹어도 독옮아 죽겠죠 크크..
23/02/12 19:10
수정 아이콘
췌장차이 나는 거 첨 알았는데 개부럽네요
평온한 냐옹이
23/02/13 09:10
수정 아이콘
장단점이 있습니다. 둘다단것을 많이 먹을 경우 한국인은 당뇨에 걸릴확율이높고 서양인은 비만이 될확율이 높아요.
외모지상주의가 심한 한국에서 당뇨가 비만보다 훨씬 나은 결과일수도 있어요.
단비아빠
23/02/13 13:26
수정 아이콘
서양인들이 우리보다 침을 훨씬 더 많이 흘린다는건 어디서 본거 같습니다만...
그래서 서양 식사빵이 훨씬 더 퍽퍽하다고...
23/02/13 13:39
수정 아이콘
근데 고수는 이제 좋아하는 사람 많죠
더존비즈온
23/02/14 07:54
수정 아이콘
고수는 익숙해짐의 영역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035 [질문] 마블 영화 질문드립니다 [8] 헛스윙어9342 23/02/15 9342
169034 [삭제예정] ................. [19] 삭제됨7365 23/02/15 7365
169033 [질문] 모바일에서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졌습니다. [2] 대단하다대단해7432 23/02/15 7432
169032 [삭제예정] 검찰/경찰 등의 출석 요구서나, 연락을 의도치 않게 받지 못한 경우에는 어떻게 되나요? [9] 삭제됨8583 23/02/15 8583
169031 [질문] 일본 내 꼼데가르송 의류 구매 질문(도쿄) [5] 8120 23/02/15 8120
169030 [질문] 이번에 통신사 데이터 제공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4] 두지모6329 23/02/15 6329
169029 [질문] 닌텐도도 ps플러스같은 구독섭수가 있나요? [6] 의문의남자10244 23/02/15 10244
169028 [질문] 중고차 선택 승부존입니다 [17] 시한부잉여10848 23/02/15 10848
169027 [질문] 제가 할수 있는 스위치게임 추천해주세요. (feat.3D멀미) [21] 연애잘합니다8854 23/02/15 8854
169026 [질문] 아마도 마지막일 가족여행을 여수로 떠납니다. [19] 시지프스11483 23/02/15 11483
169025 [질문] 카카오택시 외국인 [7] 밀물썰물9944 23/02/15 9944
169024 [질문] PDF 필기 앱에서 다음의.기능이 구현가능한가요?(안드로이드) [2] stayclever8699 23/02/15 8699
169023 [질문] 딸기 케이크 잘 하는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9] 쿨럭7470 23/02/15 7470
169022 [질문] NVMe SSD 설치 질문이요 [2] Mikopap8608 23/02/15 8608
169021 [질문] 외장 그래픽 카드가 인식은 되는데 부팅이 안되는 경우 질문입니다~ [8] 캔디미라클10353 23/02/15 10353
169020 [질문] 넷플릭스 4K 질문입니다. Nothing Phone(1)6502 23/02/15 6502
169019 [질문] 웹사이트 관련 종사자 분들 제발 도움 부탁드립니다 [1] 아몬6953 23/02/15 6953
169018 [삭제예정] (회사생활) 신입사원 관련 고민입니다 [36] 바이든10134 23/02/15 10134
169017 [질문] PC 전력 제한 해제를 할 수가 없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원스9931 23/02/15 9931
169016 [질문] USB C타입 이어폰. [6] 진산월(陳山月)7878 23/02/14 7878
169015 [질문] 엑셀로 가능한 자동화 영역인지 궁금합니다. [8] 영소이6704 23/02/14 6704
169014 [질문] 갤북3 샀는데 윈도우설치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2] Real8247 23/02/14 8247
169013 [질문] 이연걸 vs 견자단 누가 더 우위일까요?? [23] HesBlUe9019 23/02/14 90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