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2/02 21:32:26
Name 감자돌돌이
Subject [질문] 어째서 유럽축구 5대 리그라고 하나요?
메시 골 넣는 경기만 가끔 보는 축알못입니다.
유럽 5대리그라는 말을 많이 하던데 챔스리그 출전권 티켓 기준도 그렇고, 챔스 우승 클럽 소속 국가를 봐도 그렇고,
각 팀별 이적료 중위값(10위팀)의 이적료를 보면 잉글랜드>스페인,독일,이탈리아>프랑스 이렇게 되더라고요.
프랑스는 PSG 전까지는 그렇게 강한 팀도 없었던 거 같고요.
한마디로 4대리그라고 하면 모르겠는데 잉글랜드와 프랑스 리그는 수준차이가 꽤 나는거 같은데도 어째서 같이 묶는걸까요?
여러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stVulture
23/02/02 21:39
수정 아이콘
일단 '프랑스'라는게 꽤 메리트가 있습니다. 국력을 무시할 수가 없죠...
+ 요새는 psg가 꽉 잡고 있었지만... 그 전에는 리옹, 마르세유, 모나코 등 유럽에서 나름 잘나가는 팀들이 있었습니다.
(챔스 16강에서... 레알은 리옹에게 져서, 아스날은 모나코에게 져서 떨어진 적이 있습니다...)
23/02/02 23:10
수정 아이콘
이게 제법 크다고 생각합니다. 축구선수들도 직업인이고 한 가족의 가장이거나 한참 놀고싶고 멋부리고 싶은 나이대의 젊은이들이죠. 이적할 때 교육, 치안, 소비생활 인프라 같은걸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당장 국내 직장인들의 지역 선호도를 생각해봐도 그렇죠.

리그의 축구 수준 + 생활환경을 합산해서 생각하면 5대리그라는게 딱히 어색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손금불산입
23/02/02 21:43
수정 아이콘
프랑스가 4대 리그와 묶이기 애매할만큼 한단계 아래 취급을 받아도 할 말이 없는건 맞는데, 그보다 더 확고하게 차이나는 것이 프랑스 리그와 다른 리그와의 수준 차이라서 그렇기도 합니다. 역사적으로 눈에 띄는 최상위권 클럽이 없었어서 티가 잘 안나기도 하고요. 몇몇 통계 사이트들이 기준을 4대 리그가 아닌 5대 리그로 잡는 것은 축구 외적 요인도 있겠지만요.
흉합체
23/02/02 21:44
수정 아이콘
4대리그가 맞죠 5대리그는 억지죠
23/02/02 21:50
수정 아이콘
솔직히 PSG빨로 저런 취급받고 있는거라고 생각하긴합니다
그냥 4대리그가 맞죠
마인드머슬커넥션
23/02/02 21:54
수정 아이콘
4대리그죠.
윤니에스타
23/02/02 21:56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것처럼 리그1이 그래도 5등은 하기 때문이죠. 몇대리그 이렇게 묶는 게 좀 그렇긴 하지만, 5대라는 게 틀린건 아니니까요.
에바 그린
23/02/02 22:04
수정 아이콘
이게 참 웃긴게 5대리그라는 표현은 이미 자리잡은지 최소 4-5년은 된 표현이거든요?
근데 오늘 메시가 호날두 5대리그 골 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는 글 댓글에서부터, 갑자기 이 표현이 논란이 되는게 재밌네요.

리그 elo 레이팅을 보면 5대리그라는 표현이 이상하지만도 않습니다.

ENG England
Level 1 (20 teams) ⌀1786
GER Germany
Level 1 (18 teams) ⌀1717
ESP Spain
Level 1 (20 teams) ⌀1691
ITA Italy
Level 1 (20 teams) ⌀1647
FRA France
Level 1 (20 teams) ⌀1620

POR Portugal
Level 1 (18 teams) ⌀1531


다른곳에서는

1 England 2143
2 Spain 2086
3 Germany 2079
4 Italy 2055
5 France 2001
6 Portugal 1874

이걸 4대리그로 자르는게 합리적일까요? 오히려 더 디테일하게 나누는거면 모를까
4대로 자르고 5대는 안된다고 하는게 더 억지스럽죠.
Navigator
23/02/02 22:05
수정 아이콘
어지간하면 5등이 변동이 없기 때문에 5대라고 하면 보통 프랑스까지를 끼워넣게 되지만.. 보통 같은급일때나 묶는거 아닌가요 크크...
그래서 4대리그죠. 1~4끼린 서로 으르렁 대며 순위 바꿔대고 하지만, 5등은 거기에 낀적이 없습니다.
김하성MLB20홈런
23/02/02 22:09
수정 아이콘
5대 리그는 리옹이 리그앙 패왕이던 시절에도 이미 같이 묶여서 불리고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23/02/02 22:24
수정 아이콘
뭔가 롤에서 lcs느낌이네요 크크크크
교대가즈아
23/02/02 22:39
수정 아이콘
메시 때문에 리그앙 억지로 보고 있는데요. 리그앙 팀들 수준 진짜 높아졌습니다. 예전에 그 네네랑 박주영이 뛰던 그 리그앙이 아니더군요.

중위권부터 상위권까지 피지컬 탄탄한 선수들이 잘 뛰더군요. 이번에 마르세유랑 파리가 챔스에서 허덕이고 유로파에서도 주춤하고 있지만

앞으로 기대되는 팀들이 많습니다.
interconnect
23/02/02 23:22
수정 아이콘
유럽축구가 처음 대중화되었던 2000년대 초반에는 무조건 4대 리그였죠. 최근 포인트가 많이 떨어진 세리아는 빛나던 시절이라도 있었지
20년 넘는 시간동안 리그앙이 단 한번도 리그 랭킹 4위도 한 적 없는데 오히려 갑자기 5대 리그가 된 건 좀 이상하긴 합니다.

아무래도 PSG에 스타들이 많이 모이고 인지도가 높아져서 그런 것 같습니다.
승률대폭상승!
23/02/03 00:22
수정 아이콘
옛날 리옹이 날아다녀도 5대리그 취급은 안해줫는데 psg가 베컴 영입하고 투자계속하니 psg때문에 5대로 묶는듯

사실 4대 아니면 7대인데 크크
알빠노
23/02/03 01:12
수정 아이콘
저도 지금까지의 프랑스리그의 수준은 분데스나 세리에보다 차라리 에레디비지에나 포르투갈 리그에 더 가까워 보입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3/02/03 01:18
수정 아이콘
역사적으로 보나 현 시점 기준으로 보나 프랑스가 5대 리그의 한 축으로 꼽히기에는 여러모로 무리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스페인, 잉글랜드, 이탈리아, 독일의 4강 체제가 매우 두드러지며, 역사적 측면에서는 오히려 네덜란드가 5순위로서 확고한 위상을 자랑합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이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분류되며 확고한 5순위를 꼽기가 어렵고요. 역사적 측면에서 이 셋을 비교하자면 프랑스는 포르투갈 상대로도 앞선다고 장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고, 현 시점 기준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보다 한 단계 아래로 분류가 되며 벨기에, 오스트리아와 하나로 묶이는 스코틀랜드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단, 시장 규모 측면에서는 프랑스가 여타 리그와는 차별성을 띠며 4대 리그와 견줄 만하고,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5대 리그라는 말도 가능해지는 것인데 일반적으로는 성적이나 실력을 기반으로 위상을 논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시장성만을 바탕으로 5대 리그라 칭하는 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기는, 적어도 축구 팬들 사이에서는, 쉽지 않죠.
구밀복검
23/02/03 01:24
수정 아이콘
https://football-observatory.com/IMG/pdf/wp2011en.pdf
https://bleacherreport.com/articles/1435331-league-races-outside-of-the-big-five-that-deserve-attention
한국이 4대리그 3대리그 편향이 강했지만 유럽은 Big 5가 예전부터 보편적으로 사용되곤 했습니다.
그리고 편견과는 달리 프랑스리그가 정말 수준 높았던 건 90년대 말-00년대 중반까지고 지금은 그때에 비해 떨어진 편.
https://redtea.kr/free/8538
23/02/03 02:31
수정 아이콘
21세기에도 솔직히 3대리그로 불러야 하지 않나..? 라고 생각하던 시절도 있었죠 크크
문어게임
23/02/03 10:49
수정 아이콘
삼국지로 치면 황충이죠
관우 : 아니 황층이 왜 오호대장군임?
비시 : 아니 5명 실력이 비슷하다는게 아니고 일 편하게 할라
고 행정적으로 그냥 묶는거야. 니가 서열로 치면 넘버원
이지
관우 : 아 오키
앨마봄미뽕와
23/02/03 16:40
수정 아이콘
뜬금 없는데 이 글 보니 갑자기 삼국지가 다시 읽고 싶어졌네요. 크크.
율리우스 카이사르
23/02/03 12:55
수정 아이콘
왜 5 대냐 라고 물으면 뭐 사실 4대리그가 더 정확하다 라고 말하는게 맞겠지만...

프랑스가 5번째인건 맞는거 같은데요.. 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856 [질문] 호그와트 레거시 즐기는 법 관련 질문입니다… [8] 유미8778 23/02/07 8778
168855 [질문] 해외여행에서 귀국시 술 갯수? [7] 양송합니다9699 23/02/06 9699
168854 [질문] 중고 데탑 구하고 싶은데 적당한곳이 있을까요? (조건있음) [9] WhiteBerry8609 23/02/06 8609
168853 [질문] 병원 개원시 돈이 가장 많이 드는 과? [11] 화호7596 23/02/06 7596
168851 [질문] 노래 가사인데 무슨 뜻일까요 해석문제 두억시니8707 23/02/06 8707
168850 [질문] 삼성TV에 트위치 다시 없어진건가요? [6] 김유라7474 23/02/06 7474
168849 [질문] 이 노트북 어떤가요? [3] 리클라이너9885 23/02/06 9885
168848 [질문] 식당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6] 좋은마음9091 23/02/06 9091
168847 [질문] 갤럭시 폴드시리즈 쓰다가 바닥에 떨어뜨려보신분 있으신가요? [10] 유료도로당9254 23/02/06 9254
168846 [질문] 렌즈 삽입술 자세하게 궁금합니다 [15] SAS Tony Parker 9968 23/02/06 9968
168845 [질문] 첫 해외여행(뉴욕)하려는데 준비해야 할게 뭐가 있을까요? [13] BlueSKY--11936 23/02/06 11936
168844 [질문] 혹시 종로 5가쪽 추천 맛집 있을까요? [18] 봐도봐도모르겠다9718 23/02/06 9718
168843 [질문] 괌 가성비 호텔은 예산을 얼마정도 잡아야할까요?? [10] 원스10780 23/02/06 10780
168840 [질문] 기가라이트 지원 8포트 허브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밸런스8950 23/02/06 8950
168839 [질문] 갤럭시 S23 23 ultra 자급제? 통신사? [16] 당근병아리11269 23/02/06 11269
168838 [질문] 무선청소기 추천 좀 해주세요 [1] 이르8669 23/02/06 8669
168837 [질문] 차량 선팅 농도 잘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34] 사상지평15212 23/02/06 15212
168836 [질문] 3월 해외여행지 추천 부탁 드립니다. [8] 대출 30년9719 23/02/06 9719
168835 [질문] TV 고민중입니다. 거거익선이 답인가요? [8] 양념반자르반11261 23/02/06 11261
168834 [질문] 색깔별로 픽셀 수를 세주는 프로그램 같은게 있을까요? [4] 及時雨10892 23/02/06 10892
168833 [질문] 백신 추가접종 문의드립니다. [2] 학교를 계속 짓자9677 23/02/06 9677
168832 [질문] 사무실 방한대책 아이디어 질문드립니다 [11] 루체른9755 23/02/06 9755
168831 [질문] 인터넷 가입 사은품은 갈아타야만 받을 수 있나요? [6] 더존비즈온9490 23/02/06 94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