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30 22:26:58
Name wersdfhr
Subject [질문] 연말정산은 무조건 하나라도 빠짐없이 등록하는게 금전적으로 더 도움이 되나요?
제가 작년에 모바일게임에 쓴 걸 연말정산 현금영수증 등록하려고 보니까

구글 기프트 카드로 구매한 금액만 연말정산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액수가 소액결제인데다가 결제 방식도 뒤죽박죽이라

귀찮은데 이걸 다 찾아내서 등록하려니까 너무 귀찮아져서

그냥 잊어버려도 되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경규
23/01/30 22:42
수정 아이콘
wersdfhr
23/01/30 23:00
수정 아이콘
일단은 최대한 찾아봐야겠네요
23/01/30 23:42
수정 아이콘
무용지물인 경우도 있긴 있습니다.
1. 이미 결정세액.. 그러니까 내야할 소득세가 0원이 찍혀있는 경우
2.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공제 한도가 있는데 이 한도에 이미 도달한 경우
1은 중~저소득에 부양가족 있거나 소비 충분히 하는 경우에 걸릴 수 있고 2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사용액 1.5천만~2천만 정도부터 한도에 걸리기 시작합니다. 간소화 사이트에서 예상 세액 계산으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wersdfhr
23/01/30 23:58
수정 아이콘
오늘 직장에서 예상 계산 하니까 20만원 환급이라고 뜨기는 했는데

일단 다 찾아서 등록해봐야겠네요
23/01/31 08:09
수정 아이콘
소액이 어느수준인지는 모르겠는데 카드를 연봉의 절반넘게 쓴 게 아니라면
걍 천원짜리 지폐찾는 느낌으로 하시면 됩니다 크크
젤나가
23/01/31 08:2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웬만한 경우엔 더 이득이긴 한데요.
현금영수증은 쓴 금액의 30%를 소득공제 해주는 거라 거기에 구간별 세율 적용(보통은 15% 혹은 24%선)하면 10만원 더 쓰면 한 5천원 받는 수준이긴 합니다.
몽키매직
23/01/31 09:37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 현금영수증은 정말 많이 써야 공제가 되고, 기준선을 넘은 금액 * 공제비율 만큼 공제되는데 공제되는 금액에서 세율 구율 구간을 또 곱해야 되서... 대부분의 사람은 0 이고, 여러가지 이유로 지출이 정말 많은 해에 몇 만원 돌려받는 수준입니다.
23/01/31 10:32
수정 아이콘
총연봉이 7천이 안된다면 카드+현영 공제한도 300에 대중교통 100, 도서공연 100, 전통시장 100까지 해서 600까지 소득공제 받을 수 있으니..
도서공연, 대중교통, 전통시장은 공제율도 높아서 한도 채우기도 쉽고
대충 400정도만 채워도 세율구간 15% 가정 60만원의 세액절감 효과가 있지 않을까요..?
몽키매직
23/01/31 10: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봉 7천에 카드/현금영수증 공제 300만원 맥스로 받으려면 카드/현금영수증을 대략 3천 이상 써야 되고,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 것 같은데 가능하다면 해서 나쁠 건 없죠... 공제 받으려고 이것저것 넣어보면 해당 안되는 것도 많고, 자동차 같이 지출이 큰 건 아예 적용도 안되고...
23/01/31 12:50
수정 아이콘
맞벌이인데 생활비를 한명에게 몰아서 쓰고 나머지 한명의 수입을 저축한 경우 연봉의 절반이 훨씬 넘게도 지출이 가능합니다.. (우리집)
23/01/31 13:40
수정 아이콘
외벌이인데 생활비 카드값만 연봉 원천 만큼 나왔네요... (의료비, 주담대원리금 제외) 어떻게 사냐고 묻는다면 웃지요 허허
23/01/31 14:45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저도 한때 와이프 4년 정도 일 쉬었을때 적자만 겨우 면하는 수준으로 산적이 있죠 ㅠ
TWICE NC
23/01/31 09:41
수정 아이콘
각 공제 항목 별로 공제 받을 수 있는 최소금액이 설정되어 있는게 카드 및 영수증의 소비 항목입니다.
소득의 25% 이상 사용하지 않았다면 정리할 필요 없고, 25% 넘기셨다면 최대한 끌어 모아서 작성하셔야 합니다.
wersdfhr
23/01/31 09:45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다 긁어 모으니까 자괴감 들정도로 많네요 ㅠㅠ

새해는 현질 줄이는걸로;;
인생은서른부터
23/01/31 11:24
수정 아이콘
원래 정산할 때쯤 되면 드는 생각이
"아니 이렇게 많이 썼다고?" 아임니까 크크크크크
연봉 7천 이하 월세 항목도 있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767 [질문] 컴알못 컴퓨터 구매 질문 드립니다. [14] 먼산바라기9068 23/02/02 9068
168766 [질문] 진짜 얇은 스마트워치는 없겠죠?? [13] 커피소년9567 23/02/02 9567
168765 [질문] [원신]이나즈마를 못가는데..라이덴은요? [9] 카오루7599 23/02/02 7599
168764 [질문] 블루아카이브 초보 질문 입니다 [6] 플스59438 23/02/02 9438
168763 [질문] 네스프레소 -> 일리로 갈아탈만 할까요? [19] Ahri9534 23/02/02 9534
168762 [질문] 실내에서 집을 방음/보온하는 방법이 있을지요...? [6] nexon8599 23/02/01 8599
168761 [질문] 크롬캐스트 질문이요 [4] 메롱약오르징까꿍7996 23/02/01 7996
168760 [질문] 특정 사이트 느려짐 [2] 아린어린이7725 23/02/01 7725
168759 [질문] 차량 접촉 사고가 났습니다. 상대측이 조건부를 걸어왔는데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9] 삭제됨9233 23/02/01 9233
168758 [삭제예정] 게임 PGA Tour 2K23 플레이 하시는 분 계세요? Love.of.Tears.8595 23/02/01 8595
168757 [질문] 토지 보상 감정평가사 선임시 토지주인 사망인 상황 질문입니다. 건이강이별이6683 23/02/01 6683
168756 [삭제예정] 권고사직 이후 프리랜서 계약 [17] 삭제됨8094 23/02/01 8094
168755 [질문] 첫 해외여행 준비물+팁 부탁 드립니다. [19] 마인드머슬커넥션8571 23/02/01 8571
168754 [질문] 동대문구 답십리역 근처에 교수님들 모시고 회식할만한 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아카데미8967 23/02/01 8967
168753 [질문] 게임용 PC 견적 검토 부탁드려요 [11] Blank Space12761 23/02/01 12761
168752 [질문] 혹시 워스피어온라인 하시는 분 계신가요 (warspear online) [2] 무명헌터8312 23/02/01 8312
168751 [질문] PC조립견적 추천부탁드립니다 [8] 오늘9568 23/02/01 9568
168749 [질문] 결혼식 날짜 질문입니다. [28] 대출 30년9247 23/02/01 9247
168748 [질문] 아이패드6 미니 장난감으로 어떤가요? [13] 키모이맨9616 23/02/01 9616
168747 [질문] 논문읽기용 태블릿 (아이패드 vs 갤럭시탭) [19] 스토너18420 23/01/31 18420
168746 [질문] 원신 조합질문 [12] 카오루8488 23/01/31 8488
168745 [질문] 스벅 1+1 쿠폰 가져가실분있나요? [4] 핸드레이크8739 23/01/31 8739
168744 [질문] 인디게임이나 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0] 제드14407 23/01/31 144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