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30 13:41:06
Name 항정살
Subject [질문] 유럽 난방비 관련해서 질문합니다.
지금 우,러 전쟁으로 가스값이 폭동이라는 뉴스가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가정도 난방비 폭탄을 맞았죠. 또한 유럽도 가스값이 두 세배 올랐다는 얘기도 인터넷에 떠돌고요. 그런데 아침에 시사 프로그램을 보다가 유럽은 가스값이 올랐어도 정부에서 가스값을 가정에 현금으로 지원해줘서 부담이 없다던데 맞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겨울삼각형
23/01/30 14:20
수정 아이콘
유럽은 가스값이 올랐어도 정부에서 가스값을 가정에 현금으로 지원해줘서 부담이 없다던데

금시초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이번에 50퍼정도 오른거로 이렇게 난리인데..
유럽은 가스가격이 3배~5배 올랐습니다.
다행히도 이번겨울은 유럽이 평년보다 따뜻해서 다행이죠
23/01/30 14:38
수정 아이콘
위 대댓글보니 이미 독일과 프랑스 사례는 아시는 것 같고 영국에서도 Energy Bills Support Scheme라고 가계지원책을 시행중입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액 400파운드에 해당하고, 이 외에도 난방에 기름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별도 지원책 등등 이것저것 많이 시행중입니다. 뭐 정확히 말하면 현금을 지원한다기보단 전기료 가스료를 할인해주는 정책이긴 합니다만.

참고: https://www.citizensadvice.org.uk/consumer/energy/energy-supply/get-help-paying-your-bills/grants-and-benefits-to-help-you-pay-your-energy-bills/
덴드로븀
23/01/30 15:38
수정 아이콘
https://m.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11031647001
[독일 “국민들 12월 가스비 대납”…내년초엔 에너지 요금 상한제] 2022.11.03

독일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위기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오는 12월 한 달간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하는 가스요금을 대신 내주기로 했다. [이를 위해 총 90억유로(12조5581억원) 가량을 투입할 예정]이다. 로베르트 하벡 경제장관은 “민간 소비자와 기업들은 높은 (에너지) 가격 때문에 점점 더 고통받고 있고, 긴급히 구제가 필요하다”며 이번 결정을 에너지 위기 대응에 있어 중요한 첫걸음이라 평가했다.

어느정도 정부가 다 보조를 해주고 있긴 할겁니다.
그런데 해외 각국의 정확한 상황은 우리가 한눈에 쉽고 빠르게 분석하긴 힘드니 적당히 걸러서 생각해야겠죠.
타츠야
23/01/30 19:07
수정 아이콘
독일은 작년 연말에 300유로 긴급 지원이 있었고 올해는 요금 상한을 둬서 일정 사용량까지는 저렴하게 내고 그걸 넘는 사용량에 대해서만 많이 내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올해만이라 내년은 어떻게 될런지.
참고로 독일은 먼저 월별로 예상치를 내고 1년 후 정산해서 돌려 받는 시스템(월별 낸 금액보다 더 냈으면 돌려받고 아니면 더 내고)인데 저희 집만 해도 월 부담 금액이 250유로 가량 기존보다 늘어서 월별 가스와 전기로 510유로 정도 냅니다. (2층으로 된 단독주택이긴 합니다)
독일이 세금 및 각종 연금, 보험 부담이 큰 나라인데 저렇게 생활비가 오르고 물가도 오르니 부자들은 별 영향이 없지만 중간과 아래는 영향이 커서 빈부 격차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804 [질문] 한성 노트북 어떤가요? [7] 리클라이너9864 23/02/04 9864
168803 [질문] 퀴즈 좀 풀어주세요... [6] 버벌진트8097 23/02/04 8097
168802 [질문] 띄어쓰기 질문있습니다. [12] 영혼의 귀천9862 23/02/04 9862
168801 [질문] 삼성에서는 이제 울트라북만 만드는건가요? [5] wersdfhr11571 23/02/03 11571
168800 [질문] 알뜰폰 메이저 업체가 어떻게 되나요? [13] 별빛다넬9749 23/02/03 9749
168799 [질문] 비대면으로 만든 은행 계좌의 이체 한도를 올리려면 반드시 해당 은행에 직접 가야 되나요?? [6] 광개토태왕10972 23/02/03 10972
168798 [질문] 층간소음 녹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lynna9036 23/02/03 9036
168797 [질문] 삼성폰 보상판매(구매?) 해보신 분 질문 있습니다. [5] 쪼아저씨9085 23/02/03 9085
168795 [질문] BMW X5 vs X6 고민입니다 [14] 타코10683 23/02/03 10683
168794 [질문] 청약저축 통장 유지하는게 좋나요? [7] 탄야10147 23/02/03 10147
168793 [질문] 신차 구매 준비 사항 [5] 땅과자유12122 23/02/03 12122
168792 [질문] 중고차를 처음 사봅니다.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0] 해바라기11094 23/02/03 11094
168791 [질문] 인강용 무선헤드폰 추천 부탁합니다 [4] 술통10634 23/02/03 10634
168790 [질문] 구글 드라이브 공유 문서 인쇄 EagleRare8042 23/02/03 8042
168789 [질문] 엑셀 질문 입니다. [4] 엔지니어6942 23/02/03 6942
168788 [질문] 아파트 창문 옆에 까치가 집을 지었어요! [14] 일신10683 23/02/03 10683
168787 [질문] 아이한테 줄 스마트폰 공기계에 깔 위치추적(?) 어플 뭐가있을까요 [5] OneCircleEast8897 23/02/03 8897
168786 [질문] (육아템) 기차레일 장난감 추천 부탁드립니다 [5] BK_Zju6907 23/02/03 6907
168785 [질문] 집안 전기관련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2] 애플7508 23/02/03 7508
168784 [질문] 올림픽홀 운전관련 질문... [6] 하카세8858 23/02/03 8858
168783 [질문] 글쓰기, 지식, 영화를 다루는 외국 유튜브 채널 있을까요? [2] 무한도전의삶7051 23/02/03 7051
168782 [질문] [법률] 기프티콘에 관한 법률 질문입니다. [4] sereno10213 23/02/03 10213
168780 [질문] 칠순 되신 아버지 천룡팔부 극장에서 볼만 할까요? [13] 콩순이9447 23/02/02 94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