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23 11:20:48
Name 프로 약쟁이
Subject [질문] 요리 - 상온 보관 우동 사리 식초 맛 뺄 방법이 있을까요?
요린이입니다.
상온 보관 가능한 우동 사리 60개 팩을 샀는데
뜨거운 물에 데쳐도 보고 찬 물에 몇 번 헹궈 봐도 식초 맛이 강하게 남아 있습니다.
라면에 넣어 넣어 봐도 데리야끼 소스에 볶아 봐도 식초 맛이 강해서 맛이 없네요.
버리기 전에 마지막으로 여쭤 봅니다. 식초 맛을 뺄 수 있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배고픈유학생
23/01/23 11:35
수정 아이콘
보통 주정처리 된 상품일텐데.. 알콜이라서 끓이면 날라가는게 정상이긴한데요...
23/01/23 11:39
수정 아이콘
물에 한번 씻어도 그런가요? 전에 떡볶이떡 먹을때 신맛이 나서 한번 찬물에 씻고 하니까 괜찮던데요
프로 약쟁이
23/01/23 11:45
수정 아이콘
산도 조절제를 얼마나 넣은 건지
헹구지 않고 라면에 넣으면 신맛이 다른 맛을 그냥 압샇합니다.
끓는 물에 조금 삶았다 찬물에 2~3번 헹궈서 넣어도 신맛이 꽤 강하게 남아 있고요.
제가 산 제품만 이런가 보네요. 산도 조절제 들어 간 냉장은 거르고 냉동으로 사야겠습니다.
23/01/23 19:20
수정 아이콘
음 어떤제품인지 모르겠어서 확답은 못드리겠는데,
데칠때 맨물말고 설탕물에 한번 데쳐서
신맛을 날리면서 면에 단맛을 추가해 면 자체의 신맛을 조금 중화시켜 보는것도 방법일꺼 같습니다.
보통 신맛에 단맛을 추가하면 신맛이 덜느껴집니다.
그래서 중화시킨 면에 소스의 맛으로 먹으면 괜찮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신맛이 정도 이상으로 지나치다면 단맛으로 커버하는것도 한계가 있긴 합니다.

그 외의 방법이라면 그 신맛을 살려 새콤달콤한 면요리쪽으로 가는 방법이 있긴합니다.
프로 약쟁이
23/01/23 19:32
수정 아이콘
그런 방법이 있군요. 한 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이 방법도 통하지 않으면 당근 나눔이나 버려야겠네요...
고맙습니다.
크림샴푸
23/01/24 00:31
수정 아이콘
찬물에 (냉장보관물, 정수기찬물) 얼음 몇개 띄우고 5분 담갔다가 다시 찬물에 한두번 헹군다 가
공식적인 산도조절제 희석&제거 방법인데
편하자고 산 생면을 저렇게까지 귀찮게 해야하는 현타가 오실 수 있으니 팔고 냉동면 쓰세요

신맛에 민감하신 거라서 답이 없을 듯 해요

개인적으로 저도 생생우동이나 컵우동 류 먹을 때 찬물에 2회 행굼을 하면서 먹긴 하는데
저는 이 정도면 괜찮다여서
프로 약쟁이
23/01/24 01:46
수정 아이콘
전 생생우동에서 신맛을 느껴본 적이 없는데, 음식의 신맛을 그다지 좋아하진 않습니다.
알려 주신 공식적인 방법으로도 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3/01/24 10:30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경험 있어서, 신맛이니까 산성이고 염기성 성분을 더해서 중화시킬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으로 베이킹소다 넣고 살짝 끓여서 해보니 확실하게 잡히긴 했습니다. 주정식초가 들어간 제품이였는데, 저와 비슷한 상황이시면 물 500ml 에 베이킹소다 3g정도 넣어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프로 약쟁이
23/01/24 17:11
수정 아이콘
여러 가지 방법이 있네요.
아마 앞으로 산도 조절제 들어 간 제품은 구매하지 않을 거 같지만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지 궁금해 시동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626 [질문] 5~6년은 사용할 사무용 컴퓨터 사양 좀 봐주세요! [15] phoe菲9884 23/01/26 9884
168625 [질문] 해외 장기간 나갈에 로밍은 어떻게 하시나요??? [9] 리얼월드7046 23/01/26 7046
168624 [질문] 내일 식사 가능한 서울 10만원선 호텔뷔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7] 킹크랩무한리필9709 23/01/26 9709
168623 [질문] 가정용 혈압계 손목형은 비추인가요? [3] 바람의바람9663 23/01/25 9663
168622 [질문] 핸드폰 테더링으로 컴퓨터 연결해서 사용시 지연시간 줄일 방법이 있을까요 [2] 이민들레7466 23/01/25 7466
168621 [질문] 동영상 파일 용량을 줄이고 싶은데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5] 키모이맨9027 23/01/25 9027
168620 [질문] G70 vs 스팅어 중에 고민입니다.. [16] 방탄노년단8362 23/01/25 8362
168618 [질문] 지하철역을 영어로 표기할때 의문나는 사항이 있는데요... [14] 잘가라장동건8506 23/01/25 8506
168617 [질문] 바빴던 명절 하루. 집에 오는 길에 차에서 깊게 잠든 아기들. 아침까지 푹 자는 경우의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17] 모나크모나크9121 23/01/25 9121
168616 [삭제예정] [종교,연애상담]기독교이신 분들만 봐주세요 (혼전순결관련) [22] 삭제됨9703 23/01/25 9703
168615 [삭제예정] 회사 직원들간의 연봉 문제 [28] 삭제됨10782 23/01/25 10782
168614 [질문] 아파트 경비원 선임절차?? [5] 김리프8858 23/01/25 8858
168613 [질문] 점심 먹다가 생선가시가 걸렸는데요.. [13] 인왕7759 23/01/25 7759
168612 [질문] 동화패러디 게시물 질문입니다 [2] Violin7836 23/01/25 7836
168611 [질문] PC가 콘솔 게임기기 그래픽 넘어선 시점이 언제인가요? [17] 샤르미에티미8531 23/01/25 8531
168610 [질문] 노이즈캔슬링 괜찮은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바랍니다 [4] RENTON6642 23/01/25 6642
168609 [질문] 올해 추석쯤에 일본가족여행을 가고자 하는데요 [13] 시린비8680 23/01/25 8680
168608 [질문] 다들 돈관리(예금, 적금, 투자 등등) 어떻게 하시나요? [28] 한국에어비앤비12850 23/01/25 12850
168607 [질문] 산림조합 면접에서 2분만에 나왔습니다. [10] 프락치9876 23/01/25 9876
168606 [질문] 축구공 추천 부탁드립니다. [7] 학교를 계속 짓자10542 23/01/25 10542
168605 [질문] 카드 캐시백 이벤트 관련 [8] 잉차잉차7842 23/01/25 7842
168604 [질문] 전세 묵시적 갱신 해지 통보 기한 [5] phoe菲8664 23/01/25 8664
168603 [질문] 셀프세차입문 해볼까 합니다 [14] 난키군9224 23/01/25 92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