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03 23:05:55
Name No.99 AaronJudge
Subject [질문] 역사교육과 대학원은 어떤 식으로 준비해야할까요..? (수정됨)
안녕하세요 역사를 좋아하는 교대생입니다
임고 붙고 초등교사로 임용된 후에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대학원
또는 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대학원(석사)를 준비해보고 싶었습니다
제가 2022수능 당시 사학과 또는 역사교육과를 진학하고 싶었지만 수능을 시원하게 말아먹는 바람에…못 가게 되었거든요
특히 교원대는 국가에서 시스템적으로 정비를 잘 해 두었다고 들어서 끌리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걱정되는것은
’초등교육학전공‘인 저로서는 ’역사교육학‘쪽에는 사실 교직과목 제외하고는 문외한이라는 점입니다
교육학 부문에서야 도메인 지식이 있지만, 역사학쪽 지식은 아무래도 대학교에서 배울 수가 없었습니다
교대 특성상 여러 과목들 두루두루 배우고 실습하고…그러느라 벅차니까요

그래서 이러한 역사학적 도메인 지식들, 그러니까 ’대학원 입학시험에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쌓고 싶은데, 막막하더라고요
학부에서는 어떤 책들을 쓰는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등…

그리하여 PGR 유저분들의 고견을 여쭙게 되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더미짱
23/01/03 23:22
수정 아이콘
대학원 가서 '역사교육학'을 전공하고 싶으신 건가요? '(특정시대) 역사학'을 전공하고 싶으신 건가요?
글만 읽었을때는 전자 같은데, 확실치가 않아서...

저는 조선시대사 전공인데, 대학원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다른거 할거 없이 무조건 외국어를 하나라도 더 익히라고 이야기 합니다.
전근대사 전공의 경우 한문을 베이스로 영어+일어+중국어를 독해 가능한 수준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근대사의 경우 일어 베이스, 현대사의 경우 영어 베이스로 최대한 다양한 언어를 습득해놓는게 중요하다고요.

아마 역사교육학도 결국은 원서를 많이 보게 될 것이기 때문에 영어 능력을 틈틈이 길러놓는게 좋습니다.

'대학원 입학시험에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은 원하시는 대학원 모집 공고 보시고 거기에 맞춰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 외의 전공 지식들은, 갖추고 있다면 당연히 좋겠지만 필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개론적 수준의 지식은 별 도움이 안되고, 전문적 수준의 지식은 입학하고 교수/선배들 조언 듣고 방향 잘 설정해서 출발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해서요.
No.99 AaronJudge
23/01/03 23:23
수정 아이콘
전자입니다! 교육학 쪽에도 교대입학 이후 나름대로 관심이 생겨서요..
아이고 제가 글을 좀 헷갈리게 적었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일단 영어는 기본이고
추가로 한문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등 제2외가 중요하군요..
더미짱
23/01/03 23:29
수정 아이콘
역사교육학에서 영어가 중요한건 확실한데, 제2외국어가 어느 정도 중요한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최근 젊은 교수 중에 역사교육학 교수들이 몇 있을 텐데,
이 분들 박사학위논문 구해 읽으면서 참고문헌 참고하시면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335 [질문] 어디 대학교일까요? ELESIS9655 23/01/09 9655
168334 [질문] 윈10 -> 윈11 어떤가요? [17] 스물다섯대째뺨11358 23/01/09 11358
168333 [질문] 슬램덩크안본 사람도 영화볼만한가요? [14] 한국에어비앤비11241 23/01/09 11241
168332 [질문] 자전거 감가 정도가 궁금합니다 [7] 탐 켄 치9522 23/01/09 9522
168330 [질문] 코딩대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지그를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4] 어센틱10497 23/01/09 10497
168329 [질문] 혼자 동호회 처음 나가봅니다. [4] 리처드 파인만9603 23/01/09 9603
168328 [질문] 슬램덩크 영화 더빙과 자막 중 뭘 봐야할까요? [17] galax8807 23/01/09 8807
168327 [질문] 일러스트, 포토샵용도 견적 질문드립니다. [8] 누구세요7341 23/01/09 7341
168326 [질문] 질문이 세 가지 있어요, (장충체육관, 노트북, 재벌집막내아들 관련) [9] 이혜리8975 23/01/09 8975
168325 [삭제예정] 일적으로 보는 여자분이 종이를 주고 갔는데 [26] 삭제됨11125 23/01/09 11125
168324 [질문] TV용도로 비즈니스TV(사이니지) vs 모니터겸용TV [2] Payment Required8185 23/01/09 8185
168323 [질문] 품질 좋은 무지티셔츠 브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아이언맨9474 23/01/09 9474
168322 [질문] 몇일전에 올라왔던 스파 잘하는 법에 대한 글을 찾을 수가 없네요 [2] 노블7464 23/01/09 7464
168321 [질문] 제주여행 카멜리아힐or동백포레스트 딱 한곳만 가야한다면? [8] 회전목마7339 23/01/09 7339
168320 [질문] 더 퍼스트 슬램덩크 작화 수준 [11] 크림샴푸10762 23/01/09 10762
168319 [질문] 유치원 아이와 제주 여행지 질문입니다, 그냥 뛰어놀 잔디밭을 찾습니다 [10] ComeAgain9716 23/01/08 9716
168318 [질문] 일본여행 전문가님들께 여쭙니다 [7] 리얼월드7661 23/01/08 7661
168317 [질문] 아내가 늦은 나이에 바이올린을 배우려고 합니다. [14] 오하이오9792 23/01/08 9792
168316 [질문] 넷플릭스 화질 이슈 겪어보신 분 계실까요? [4] The Normal One12858 23/01/08 12858
168315 [질문] 미국의 벙커족?들의 이름 아시는 분 [8] 오하이오8152 23/01/08 8152
168314 [질문] 아이폰 시간이 자꾸 어긋납니다 듣는사람8269 23/01/08 8269
168313 [질문] 중고차 구입하려 합니다 [9] 능숙한문제해결사8620 23/01/08 8620
168312 [질문] 방문세치? 마트나 백화점에 있는 내부세차장? 어디가 좋을까요? [1] 카푸스틴8027 23/01/08 80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