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06 23:10:27
Name 푸끆이
Subject [질문] 지하철 에스컬레이터는 개선이 될수 있을까요?


어느 지하철을 가든 에스컬레이터 근처에는 안전문구가 있습니다.

'뛰지마시오, 걷지마시오' 등등..

하지만 수도권 지하철러들은 이미 에스컬레이터가 '왼쪽은 걸어올라가거나 걸어내려가는사람, 오른쪽은 가만히 있는사람'

이게 국룰입니다.

이태원 참사 이후, 광역버스도 입석금지가 되면서 안전에 신경을 쓰는 분위기가 되었는데요.

지하철 에스컬레이터도 변할수 있을까요?

솔직히 에스컬레이터도 뛰어내려가다가 뒤엉키면 큰사고로 이어질수있는곳이기도 하고

그래서 롯데월드 갔을때 에스컬레이터 있는곳은 뛰어내려가지말라고 안내하는 직원이 한명 있는곳도 있었습니다.(혜성특급)

저희집앞 롯데몰에도 에스컬레이터는 안전요원이 한명 있습니다.

근데 지하철은 또 서로 급한분들 많고 하다보니 현실적으로 어렵지않나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사실 버스 입석금지 하는것도 별 다를게 있나 생각도 드네요.

만약 지하철 에스컬레이터에서 사고가 나서 공론화가 된다해도, 이게 개선이 될수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2/06 23:13
수정 아이콘
전 세계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가 수천만대는 될 텐데, 그게 매일 돌아가고 있고 사고도 날 겁니다.

끼임사고, 넘어짐사고, 낙상사고 등등... 그러나 저는 웬만한 곳 아니면 에스컬레이터에 안내원 붙어 있는 경우는 못 봤습니다. 심지어 해외 나가서 엄청 사람 많이 지나다니는 곳(박물관, 행사장 등)에서도 그냥 알아서 잘 걸어다녔습니다.

작성자분이 지나치게 오버리액팅하시는 게 아닌지, 뛰어내리다가 뒤엉키면 에스컬레이터 아니고 계단이여도 사고는 납니다.
푸끆이
22/12/06 23:27
수정 아이콘
오버리액팅의 의도는 아닙니다. 오히려 저는 규제의 반대입장입니다.
다만 어디까지가 정부가 개입해야할 정도인지가 궁금했습니다.
개인의 의견으로 보기에는 광역버스 입석금지나, 에스컬레이터에서 걷는거 금지나 비슷한 위험도인데
광역버스는 입석금지하고 에스컬레이터는 냅두는게 뭔가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올렸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2/06 23:51
수정 아이콘
개인의 의견 말고 통계나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생각하야죠.

광역버스 입석금지가 에스컬레이터에서 걷는 것과 비슷한 위험도라고 생각하지 않는 분들이 더 많을 것 같은데요.
키모이맨
22/12/07 0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정확하게는 이미 한국 포함 전세계에서 수없이 사고가 일어나고있죠
대대적으로 보도가 안 되서 평소에 인식을 못할 뿐이죠
현실적으로 모든 사고위험이 있는걸 방지하는건 불가능하죠
예를들어서 보행자 교통사고 막자고 전국 모든 도로에 펜스를 설치한다던가
모든 횡단보도에 경찰을 배치하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잖아요?
안전사고라는게 그렇죠 현실적으로 사고발생가능성으로 치면 확률이 그리 높지
않더라고 사고발생이 날 수 있는 부분은 온세상에 너무나도 많은데
그 모든걸 방지하는건 불가능하고
그러다가 이태원처럼 한 분야에서 크게 사고가 나서 대대적으로 보도되면
뭐라도 액션이 필요하니 관련된거 조금이라도 손질하고
그렇게 조금이라도 손질하면 차후에 사고가능성이 조금이라도 낮아지고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라는건 언제든 날수있고
이렇게 사회가 흘러가는거죠
사고가능성이 있는 분야를 미리 방지하자식으로 접근하면 온 세상에 손 안 댈 곳이 없을겁니다
당장 질문자분의 눈에 띈 게 지하철 에스컬레이터일뿐인거죠
허클베리핀
22/12/07 00:31
수정 아이콘
저는 충분히 의견을 던져볼만한 문제제기 라고 생각합니다.
글쓴분의 의도가 에스컬레이터마다 안내원을 붙이자! 도 아닐 테고요.

실제로 긴 에스컬레이터에서 규모가 큰 사고로 연결되는 경우가 뉴스 등을 통해 종종 보도된 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만, 그럼에도 에스컬레이터는 두줄서기가 맞느냐 한줄서기가 맞느냐/ 두줄다 서있는건 길막인가 아닌가 등등
시민들의 의견이 아직 합일되지 않는 것으로 압니다.

에스컬레이터를 더 좁게 만들 것도 아니고(;;), 신고등을 통해 범칙금을 매길 만한 일도 아니라면( ...뛴다면 매겨야할까요?)
공론화를 통해 의견이 모아질 수 있는가 부터가 첫단추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타카이
22/12/07 08:50
수정 아이콘
달랑 한 줄만 있는 에스컬레이터가 있긴하죠
종종 있는 곳이 있습니다 입구 내기 애매해서 그런 곳인지 계단은 없는 경우가 많던
22/12/07 00:45
수정 아이콘
변할 수 있죠. 큰 사고 벌어져서 커다란 에스컬레이터 하나가 피로 흥건해지고 난 후라면 말입니다.
완전범죄
22/12/07 01:40
수정 아이콘
e/s 사고 발생시 최초 원인제공자가
인명피해에 대한 모든 보상을 한다라고 공지한다면
좀 덜 뛸라나요

결국은 금융치료가 답이라 봅네다
海納百川
22/12/07 09:28
수정 아이콘
일본사는데 좀 전에 뉴스 특집 코너에서 일본의 어느 지자체가 하고있는 에스컬레이터 두줄타기 캠페인 성과를 보도하더군요.
한쪽에만 타고 반대편을 비워두는건 사고의 원인이 되고 에스컬레이터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주고 근본적으로 빨리 간다는 효과도 없다.
두줄로 다 서서 타는게 전체적으로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다.
그래서 무슨 펭긴이 마스코드인 캠페인을 하던데 역무원들도 나와서 시범을 하고 하면서 거기는 거의 두줄타기가 정착됐다고 일본 전역으로 넓혀가야 된다고 그러더군요.
https://www.nhk.jp/p/ts/QM853J35JW/blog/bl/p4A2pYOxmE/bp/pPQqX6WjKP/
봄바람은살랑살랑
22/12/07 10:46
수정 아이콘
출퇴근 시간 등 바쁘게 움직이며 살아가는 분들이 있기에 개선되기 쉽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별개로 한 줄 에스컬레이터는 걷든 서있든 개인 선택이라 별 생각 없는데 두 줄 에스컽레이터는 꼭 일부러인지 혼자 튀어나와 한 줄 막는 사람들 종종 있던데 왜그러나 싶긴 해요.
머나먼조상
22/12/07 13:52
수정 아이콘
정말 위험하다면 누군가의 피를 먹고 바뀌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752 [질문] 작업표시줄에 도구 모음 쓰시나요? [2] nmcpvwe9052 22/12/11 9052
167751 [질문] 스팸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되나요? [21] 대출 30년10948 22/12/11 10948
167750 [질문] 아들과 영화제목 스무고개중입니다. [13] 외쳐2210609 22/12/11 10609
167749 [질문] 슈로대 V,X,T 원작 몰라도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까요? [18] amalur8608 22/12/11 8608
167748 [삭제예정] 노래 제목 능력자 소환 질문 [2] 비뢰신8020 22/12/11 8020
167746 [질문] 재벌집 막내아들 10화 문의 드립니다.(댓글에 스포 있을 예정) [16] 수타군9685 22/12/11 9685
167745 [질문] 스팀 계정 생성 문제들 [1] FKJ9732 22/12/10 9732
167744 [삭제예정] (19) 임신한 아내와 성관계 그리고 탈모 [5] 나무자전거15979 22/12/10 15979
167743 [질문] 듀얼 모니터 쓰려 하는데 HDMI 포트만 있는데... [2] 블랙리스트8073 22/12/10 8073
167742 [질문] 모니터 중고로 팔고 새로 살까요? 업글은 좀 나중에 할려고요. [5] 그때가언제라도12500 22/12/10 12500
167741 [질문] 아바타2 볼려는데 아이맥스 3d vs 2d [3] 그때가언제라도9487 22/12/10 9487
167740 [질문] 중고 컴퓨터 구매 문의 [3] 19888248 22/12/10 8248
167739 [질문] 운동으로 키운 근육은 운동 안 하면 소멸(?)하는지요...? [7] nexon10243 22/12/10 10243
167738 [질문] 램인식이 상태가이상합니다 [2] 능숙한문제해결사6888 22/12/10 6888
167737 [질문] 천년혈전 보기 전 블리치 애니 정주행 질문입니다. [4] 샨티10169 22/12/10 10169
167736 [질문]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유튜브 프리미엄으로 구입한 영화가 재생되지 않습니다. [2] 제가LA에있을때7625 22/12/10 7625
167735 [질문] 자동차 지점, 대리점, 온라인딜러 중 어디가 좋을까요? [9] 스토리북8172 22/12/10 8172
167734 [질문] 유튜브 계정 같이쓰기 [7] 김리프9071 22/12/10 9071
167733 [질문] 사우디가 원유를 일부 위안화 결제한다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4] 씨드레곤10011 22/12/10 10011
167732 [질문] [로아] 10일차 모코코입니다. [11] TheLoveBug9908 22/12/10 9908
167731 [질문] 서울 일본라멘 최고(?) 의 집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EY9736 22/12/10 9736
167730 [질문] 조선시대 역사를 즐길 수 있는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7] 유니꽃7876 22/12/09 7876
167729 [질문] 교통사고 민사소송 문의드립니다. [5] 유니꽃8125 22/12/09 81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