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21 11:08:19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적금 관련 질문이있습니다.
한달에 100만원 아래로
적금 하나 들으려고하는데
제가 주로 쓰는 은행 적금들을 살펴보니
보통 4% 5%던데...

우연히 제가 쓰는 은행중에 10%짜리 적금을 발견했거든요..
그래서 왜캐높지?하고 알아봤는데

이 상품에 대해서 이런 댓글이있어서요.

지금 예금이 8프로까지 나온시점에서
적금 10프로는 이제 넘는다는건데 굳이 70까지 출자름 넣어서 배당금도 얼마없고 메리트 없다고 봅니다.

제가 이런쪽으론 잘 몰라서 그런데 무슨말인가요?
그래도 지금 4~5%가 대부분이던데 10%짜리면 더 좋은거 아닌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술사
22/11/21 11:10
수정 아이콘
레너블님이 지금 당장 목돈이 있으시면 예금에 넣는게 낫고
월별로 돈이 들어올 예정이라면 적금이 낫습니다.

저 이야기는 목돈이 있는경우, 굳이 적금으로 나눠넣는것보다 예금이 낫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위 적금은 평범한 적금이 아니고 출자?형식의 적금인것같은데 그건 세부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레너블
22/11/21 11: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십쇼.
타카이
22/11/21 11:12
수정 아이콘
적금과 예금을 비교할 때는 보통 이자율 2배로 봅니다
예금리가 8퍼면 적금은 16퍼 상품과 또이또이한 것으로 봅니다
StayAway
22/11/21 11:25
수정 아이콘
조합에 최소 출자를 해야되는거 같은데..
큰 돈 넣을거 아니면 메리트가 없다는거겠죠. 문제는 저런 종류의 상품은 대부분 상한이 있거든요.
예를 들면 50만원 출자를 해야되는데 정기예금 상한이 천만원이다 그러면
어차피 돈 50만원 묶이는거 생각하면 이자 몇 프로는 큰 메리트가 없다는거죠.
저런 종류의 출자금은 돌려받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1년 중 정해진 기간이 아니면 중간인출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조합의 조합장 선거에 참여할수 있다거나
액수에 따라서 명절에 선물이 날아온다거나 소정의 배당금이 나오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의미있는 메리트는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488 [삭제예정] 유튜브 비공개 업로드된 영상은 저작권 신고가 가능한가요? [4] 삭제됨10268 22/11/27 10268
167487 [질문] 홍대 근처에 늦게까지 하는 카페 있을까요? 무한도전의삶7196 22/11/27 7196
167486 [질문] 은퇴하는데 필요한 금액 [13] 키작은나무10726 22/11/26 10726
167485 [질문] 11/27 일요일 오후에 광주송정 -> 서울역/수서역 기차표 구할수 있을까요..? [6] Alcohol bear6668 22/11/26 6668
167484 [질문] 미국 시민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20] 로스8618 22/11/26 8618
167483 [삭제예정] 데프트는 도인비의 어떤걸 오해해서 저격했던건가요???? [3] 삭제됨9015 22/11/26 9015
167482 [질문] 대식가 먹방 Bj들 평소 식사량 어느 정도일까요? [2] 우주소녀 보나8927 22/11/26 8927
167481 [질문] 홍삼 선물이 쌓였는데 어떻게 처리할 수 있을까요? [10] 선플러11522 22/11/26 11522
167480 [질문] wwe) 세스 롤린스는 푸쉬가 애매할까요 [8] seotaiji8300 22/11/26 8300
167479 [질문] 단체로 축의금을 낼 때 적당한 금액 질문드립니다. [6] kafka8980 22/11/26 8980
167478 [질문] 아이폰 맥북 중고거래는 어디가 제일 활발한가요? [4] 한이연8813 22/11/26 8813
167477 [질문] 강의녹화용 기기 질문입니다 갤탭 아이패드 [4] 기술적트레이더6886 22/11/26 6886
167476 [질문] 부산에 중국 현지식 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사람되고싶다8868 22/11/26 8868
167475 [질문] 제주도 로스터리 카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4] 12seconds8437 22/11/26 8437
167474 [질문] 이전시즌의 프리시즌/일반 게임은 op.gg/롤 클라이언트 전적으로 기록되지 않나요? [1] 삭제됨10932 22/11/25 10932
167473 [질문] 중고차를 사야할까요 렌트를 해야할까요..? [13] 까만고양이11313 22/11/25 11313
167472 [질문] 혹시 유전자 조작을 했다면 그걸 알아낼 방법이 있을까요? [7] 모르골12568 22/11/25 12568
167471 [질문] 컴퓨터 다운 해결방법 [7] 베요네타11784 22/11/25 11784
167470 [질문] 이직 준비는 언제쯤 해야할까요? [4] OcularImplants8253 22/11/25 8253
167469 [질문] 과거 PC로 하던 경마 게임을 찾습니다. [4] 라투니10521 22/11/25 10521
167468 [질문] 롤 선수들의 병역 문제 질문 [6] endand9660 22/11/25 9660
167467 [질문] 아버지가 홈쇼핑에서 가구를 사셨는데요... [21] 아케르나르13197 22/11/25 13197
167466 [질문] 이사를 가게 되었는데 랜선을 보통 어디에 까나요? [8] 아이폰12PRO9288 22/11/25 92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