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09 10:48:39
Name wish buRn
Subject [질문] 포스트시즌때 날라다니면 먹튀 아닐까요?
디그롬급 연봉을 받고, (3년 130m)
정규리그에선 50이닝이하 던지다가,

포스트시즌에서 매드범급으로 날라다니면,
(최동원선수 코시 4승은 너무 초월적이라 제외..;;)
선발5승+ 구원 알바로 시리즈 마무리 세이브까지 한다면
돈값 무조건한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2/11/09 10:54
수정 아이콘
네, 우리는 그런 성과를 거둔 사람을 말할 때 이렇게 부르죠 [빅게임 헌터]
김하성MLB20홈런
22/11/09 10:54
수정 아이콘
결국
1.팀이 우승했고, 2.그 과정에서 본문 수준의 기여를 했으면
먹튀 아니라고 봅니다.
정규시즌 200이닝에 WAR10 찍히는 성적에 우와 하는게 다 결말에서 우승하려고 하는거라..
22/11/09 10:56
수정 아이콘
먹튀논란은 결과가 없을때나 할 수 있는거죠. 결과가 있으면 공신입니다.
고오스
22/11/09 10:59
수정 아이콘
혼자서 모든걸 다 하는 스포츠가 아닌 팀 스포츠라면 오히려 막판에 잘한 선수들의 평가가 더 후하죠 그게 더 실속 있으니까요

이번 월즈의 킹겐, 제카, 베릴이 딱 그 케이스고, 그 반대 케이스로는 피넛과 메이저리그의 커쇼가 떠오르는군요

평소에 참 잘하지만 큰 무대만 나가면 못하면 안먹을 욕 까지 먹게 되고 그게 악순환의 사이클로 접어들게 됩니다

윗분 말대로 빅게임 헌터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그리고 지켜보는 입장에서도 가을 피넛, 가을 커쇼는 볼 때마다 불안해지고 성적도 매번 안좋으면 응원할 맛이 안나기도 합니다
양념반자르반
22/11/09 11:00
수정 아이콘
결국 우승을 위해 그 선수를 큰 돈 주고 데려오니까요 크크
알빠노
22/11/09 11:02
수정 아이콘
빅게임에서 잘했고 팀도 우승했다면 먹튀는 전혀 아니죠
반대로 평소에 잘하다가 토너먼트나 포시에서 부진하는 유형의 선수가 있는 팀은 상위권은 되어도 우승 방점은 못찍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생겼어요
22/11/09 11:23
수정 아이콘
닉네임이 정답이십니다. 프로스포츠라는게 결국 정점을 찍어야 되는건데 찍었으면 정규시즌 성적 알빠노죠 크크
손금불산입
22/11/09 11:04
수정 아이콘
먹튀는 아니지만 저는 그런 선수들이 캐리라는둥 지나치게 고평가받는걸 꽤 싫어합니다. 그 선수가 없었을 때 적절히 메꿔주는 선수들이 없었으면 그 무대에 서지도 못했을 선수들이죠.
고오스
22/11/09 12:09
수정 아이콘
저도 빅게임 헌터를지나치게 고평가 하는건 지양해야 한다고 봅니다

초중반에 잘 받쳐준 팀원도, 빅게임 헌터도 모두 한 팀이니까요

다만 주목받기 쉬운건 부정할 수 없죠 @_@
리얼월드
22/11/09 11:20
수정 아이콘
팀 따라 다르죠
우승하려고 데려온 팀에서 결국 활약해서 우승했으면 성공이죠
Chandler
22/11/09 11:21
수정 아이콘
커쇼 피넛 류 선수보다 더 위대한 선수냐?하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선수평가에 있어서는 누적이 훨씬 중요하죠

"돈 값"의 관점이라면 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프로스포츠는 우승을 위한 거니 저런 포스트 시즌 대활약 덕에 우승을 먹었다면

"돈 값"은 더 잘 한거라고 볼 수도 있겠죠.
고오스
22/11/09 12:06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돈 값 관점에서 얘기한거긴 합니다 크크크
콘칩콘치즈
22/11/09 11:33
수정 아이콘
본문글에 대한 답변이라면 YES입니다. 돈값한거죠.
대단하다대단해
22/11/09 11:45
수정 아이콘
결국 모든게 우승을 위한 밑거름인데
그걸 저렇게 해낸다 ?
영웅이죠 크크크
하루빨리
22/11/09 11:49
수정 아이콘
스프링 성적 5위, 섬머 성적 6위의 DRX앞에서 크크크 월즈 원툴 해봤자 이 발언 한 사람이 오히러 롤알못 소리 듣죠.
고오스
22/11/09 12:06
수정 아이콘
킹겐 : 너 월즈 우승 해봄?
22/11/09 11:5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올해 세체탑 누구? 물으면 대부분 킹겐을 선택하죠.
스토리북
22/11/09 12:05
수정 아이콘
충분히 돈값한 거죠.

결과를 알고 선택한다 칩시다. 계약하겠습니까?
저라면 무조건 합니다.
유료도로당
22/11/09 12:08
수정 아이콘
야구라는 스포츠의 본질은 페넌트레이스에 더 가깝고 사실 플레이오프는 이벤트에 가까운건데 (선수들의 통산기록 데이터도 플레이오프기록은 합산하지않죠) 실제로 '우승팀'은 플레이오프 우승팀을 우승으로 쳐주기때문에.. 우승에 직접적으로 기여했다면 어느정도 돈값 했다고 볼수있죠.
웰빙소고기
22/11/09 12:37
수정 아이콘
2015년 두산 니퍼트가 생각나네요. 어깨 부상으로 페넌트레이스에서 거의 활약하지 못하다가 포스트시즌에 엄청난 활약으로 우승시켰죠.
플레이오프 엔씨전이 진짜 고비였는데 혼자 2승해서 한국시리즈 갔다고 생각합니다.
우주소녀 보나
22/11/09 12:42
수정 아이콘
전 돈값 못한거같은데, 정규시즌 50이닝도 못던지고 최동원급 캐리도 아니면.. 롤드컵이랑은 얘기가 좀 다르지 않나
언행불일치
22/11/09 12:43
수정 아이콘
축구를 제외하면 대부분 프로 구기 스포츠는 시즌보다 포스트 시즌의 중요성이 월등히 높았고 최근에는 그 차이가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MLB의 어떤 구단이 리그 유명 선수를 10년 계약으로 4억 달러로 계약을 했는데 2~3년쯤 잘하다가 부상으로 드러누워도 2~3년 동안 월드시리즈 우승 한 번 정도만 해도 구단에서는 돈 날렸다고까지 생각하지 않을 거에요.
류지나
22/11/09 12:59
수정 아이콘
축구조차도 챔스 위상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죠. 한 해 최강팀을 챔스 우승팀이라고 할 정도니까.
인생은서른부터
22/11/09 13:07
수정 아이콘
워워, 진정해. 이건 [스몰게임]이라구
OneCircleEast
22/11/09 13:09
수정 아이콘
과정이야 어떻든간에 우승하려고 데려온거니까.... 우승하면 다 용서됨
Stoncold
22/11/09 14:09
수정 아이콘
먹튀는 아니죠. 근데 고평가하는 것도 잘못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244 [삭제예정] 연애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27] 삭제됨13466 22/11/14 13466
167242 [질문] 100만원대 조카용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5] Ahri8514 22/11/14 8514
167241 [질문] 스텐팬 질문 드립니다. [2] 시시포스8628 22/11/14 8628
167240 [질문] 유치원 모집방법 질문 [1] 김리프7580 22/11/14 7580
167239 [질문] 피의게임 재미있나요? [21] 세연12559 22/11/14 12559
167238 [질문] 4차접종 관련하여 노바백스 맞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9] 워라밸8317 22/11/14 8317
167237 [질문] 구글 플레이 게임즈 베타 삭제 방법 알려주세요. [3] 이민들레10808 22/11/14 10808
167236 [질문] 겨울 런닝용 복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이리세8621 22/11/14 8621
167235 [질문] 철 가공할 때 도넛모양으로 만드는 이유? 구미나8347 22/11/14 8347
167234 [질문] 스팀게임 it takes two 한글이 안됩니다. [1] 본좌10801 22/11/13 10801
167233 [질문]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용 PC추천 부탁드립니다. [1] monkeyD11119 22/11/13 11119
167232 [질문] 아이패드 모델 및 구매처 추천부탁드립니다 [4] LeNTE11690 22/11/13 11690
167231 [질문] 음파칫솔은 칫솔모 교체시기를 어떻게 인식하는것일까요 [9] 옥동이9755 22/11/13 9755
167230 [질문] 심리상담을 잘해주는 기관 또는 병원이 있을까요? [4] 클레멘티아10052 22/11/13 10052
167229 [질문] 카타르가 월드컵을 유치해서 얻는 이점이 뭔가요? [8] 디군8339 22/11/13 8339
167228 [질문] 코로나 자가격리 팁 구합니다 [25] 일신9431 22/11/13 9431
167227 [질문] OGN 시절 LCK와 롤드컵 하이라이트 영상 볼수있나요? [1] Winter_SkaDi7452 22/11/13 7452
167226 [질문] 대한항공 모닝캄 마일리지 300점 부족, 가족마일리지 합산 질문드립니다 [11] 걱정말아요그대14944 22/11/13 14944
167225 [질문] [명일방주] 복귀유저 질문입니다. [5] Lapierre8308 22/11/13 8308
167224 [삭제예정] 인도에서 킥보드 뺑소니 당한 경우 질문입니다. [6] 삭제됨7862 22/11/13 7862
167223 [질문] 노인분들 입이 쓰셔서 식사를 못하실 때 어떤 병원으로 가야 하나요? [5] VictoryFood11283 22/11/13 11283
167222 [질문] 대학교에서 2시간 특강을 하게 됐는데 처음이라 떨리네요. [9] 아이폰1211722 22/11/13 11722
167221 [질문] 강남역 근처 파스타,피자 괜찮은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리얼리스트가7342 22/11/13 73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