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09 10:29:48
Name LG의심장박용택
Subject [질문] 스타1 막판을 못 봐서 그런데.. 박성준 선수는 끝까지 강했나요?
요새 옛날 선수들 영상을 종종 보는 맛이 있는데요..

확실히 요즘 잘하는 선수들보다는 조금 경기가 루즈함이나 허접도 있는 반면..

대신에 선수들 색깔도 확실해서 낭만도 있고... 한 느낌인데...

박성준 선수가 도재욱 선수 결승전에서 때려잡는거를 비롯하여..

토스랑 하는 것을 보면.. 어떻게 이기나 싶은데..

스타1 끝까지 잘했나요?

혹시 아니라면, 어떠한 시점을 계기로.. 좀 약해지기 시작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손금불산입
22/11/09 10:36
수정 아이콘
제 기억이 맞다면 도재욱 꺾고 우승할 때도 프로리그나 다른 대회들에서 안정적인 기량을 선보이지는 않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22/11/09 10:39
수정 아이콘
마지막 대회에서 중간에 테란 만났으면 우승은 결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긴 했죠.
대진빨 꽤 받은편이긴 하지만, 그것도 실력이니까요.
천혜향
22/11/09 10:39
수정 아이콘
도재욱 잡을때는 이미 전성기가 한참 지난걸로 기억합니다.
아직도 기억나요 드론으로 비벼서 초반에 링으로 털고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워낙오래된일이라..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Be Quiet n Drive
22/11/09 10:41
수정 아이콘
그 때 우승하던 순간에도 이미 '강하다'고 할 만한 시점은 아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우승을 폄하하는 게 아니라, 테란전은 무뎌졌고 테란전에 비해 주목도가 낮았을 뿐 동족전은 꽤 무너진 상태였어요. 정작 4저그조를 뚫긴 했지만...
05년에 최연성한테 결승 삼대떡 나온 이후 0607년은 개인리그에서는 충분한 성과는 없었고, SKT 이적 시절은 거의 기억도 안 나고요. 그 사이 05년까지는 비교가 안되는 커리어 수준이었던 삼성준에게 패배, 박태민에게 삼대떡 등이 제겐 상징적인 장면이었습니다. 김근백 상대로 역전하고 같은 박태민 상대로 프리미어리그 우승하던 거 기억하면 많이 내려갔었죠.
22/11/09 10:48
수정 아이콘
마지막 개인리그 우승때는 대진운을 좀 받기는 했죠. 토스전은 강하지만 테란전은 무너져있던 시기라서요.
대략 04~05 프리미어리그와 삼신전 시기가 최전성기였고 그 이후로 최연성이 다시 부활하고 마재윤의 시대가 오고 나서는 크게 눈에 띄는 활약은 하지 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도재욱과의 결승전에서 우승은 예상못했는데 약간 갑툭튀한 그런 느낌이 있긴 했어요.
22/11/09 10:49
수정 아이콘
뉴웨이브라고 할 수 있는 3.3혁명 이후 세대 말고 그 전에 전성기였던 선수들 중에 끝까지 강했다고 볼 선수는 한 명도 떠오르지 않네요.
기량이 떨어진 와중에 노련미와 의지를 보여주며 반짝하는 식으로 활약했던 것 같아요.
톤업선크림
22/11/09 10:53
수정 아이콘
06부터 테란전은 무너졌고 토스전이랑 저그전은 그래도 강했는데, 07부터는 저그전도 약해졌고 토스전만 강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도 은퇴 때까지 토스전은 꽤 강했었던 것 같아요
LG의심장박용택
22/11/09 10: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무한도전의삶
22/11/09 11:31
수정 아이콘
아뇨 전성기 지나고서는 약했고 골든마우스도 토스만 잡고 우승한 거라 폄하도 많이 당했어요
승률대폭상승!
22/11/09 12:06
수정 아이콘
전성기이후로는 명성에비해 프로리그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선수...
22/11/09 14:00
수정 아이콘
최연성 시대의 선수에 피지컬이 매우 중요한 저그라.. 테란전 쇼부 운영이 잘 안먹히는 이후로 끝까지 강할 수는 없었죠.
그래도 라이드오브발키리인가 2인용 맵에서 안기효 상대로 보여준 미니맵 관광?으로 불리는 경기처럼 토스전 포스 임팩트는 엄청 났던 것 같습니다.
Stoncold
22/11/09 14:11
수정 아이콘
그때는 2005년이라 아직 전성기였죠. 물론 테란전은 이미 하락세였긴 한데
청운지몽
22/11/10 10:11
수정 아이콘
낭만 그 자체였지만 거기까지였죠
초반러쉬를 드론포함해서 역으로 러쉬가서
그 게임 잡은게 인상적이었는데
힘과 변칙은 있지만 그게 막히면 좀 갑갑했어요
짱짱걸제시카
22/11/10 21:58
수정 아이콘
말년에 김대엽한테 연달아지고 탈락했던거 같은데... 그때 이제 토스전도 안되는구나 생각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227 [질문] OGN 시절 LCK와 롤드컵 하이라이트 영상 볼수있나요? [1] Winter_SkaDi7444 22/11/13 7444
167226 [질문] 대한항공 모닝캄 마일리지 300점 부족, 가족마일리지 합산 질문드립니다 [11] 걱정말아요그대14918 22/11/13 14918
167225 [질문] [명일방주] 복귀유저 질문입니다. [5] Lapierre8301 22/11/13 8301
167224 [삭제예정] 인도에서 킥보드 뺑소니 당한 경우 질문입니다. [6] 삭제됨7855 22/11/13 7855
167223 [질문] 노인분들 입이 쓰셔서 식사를 못하실 때 어떤 병원으로 가야 하나요? [5] VictoryFood11265 22/11/13 11265
167222 [질문] 대학교에서 2시간 특강을 하게 됐는데 처음이라 떨리네요. [9] 아이폰1211715 22/11/13 11715
167221 [질문] 강남역 근처 파스타,피자 괜찮은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리얼리스트가7337 22/11/13 7337
167220 [질문] [원신]나히다 뽑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10] 속보7971 22/11/13 7971
167219 [질문] 그래픽카드 및 램 업그레이드에 관한 건 (컴퓨터 사양 질문..) [4] 어류도감8750 22/11/13 8750
167218 [질문] 삼각함수 질문드립니다. [4] whoknows8806 22/11/13 8806
167217 [질문] LOL 명예 5레벨 질문입니다. [1] 오하영7355 22/11/13 7355
167215 [질문] 4세 어린이집(사립 vs 국공립) 선택 문제 [24] 스벅8458 22/11/13 8458
167213 [질문] 회사생활과 워라밸의 괴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17] 푸끆이8019 22/11/13 8019
167212 [질문] 33큐브하는데 이런경우 어째야하나요. [7] 희원토끼7693 22/11/13 7693
167211 [질문] 갓오브워 크레토스가 웃은 적이 있나요? [4] EY10922 22/11/12 10922
167210 [질문] 축협이 손흥민 선수 못 뛰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있는 건가요? [11] 우주전쟁9430 22/11/12 9430
167209 [질문] [뻘질문] 음악 감상 하면서 안 자는 방법 있나요? [14] 니체7707 22/11/12 7707
167208 [질문] 확률문제 질문이 있습니다. [8] 모라토리움9834 22/11/12 9834
167207 [질문] 월드컵 예상 질문드립니다. [3] 우유속에모카치노8196 22/11/12 8196
167206 [질문] &$hA(94 이상한 파일들이 생성되었는데 혹시 바이러스일까요? [10] O6117 22/11/12 6117
167205 [질문] 독감 백신 부작용 어느 병원을 가봐야 할까요?? 원스9198 22/11/12 9198
167203 [질문] 양조주 내 메탄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5] 회색사과8504 22/11/12 8504
167202 [질문] 축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8] 레너블9893 22/11/12 98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