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26 15:26:49
Name 오렌지망고
Subject [질문] 암 치료법은 발달하고 있나요?
저도 나이를 먹으면서 병으로 사망하신 분들 부고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암 치료법이 정말 발달하고 있는 걸까요?

매번 기사만 보면 획기적인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가 끝도없이 나오는 것 같은데

노환으로 인한 자연사가 아니라면 대부분이 다 암으로 돌아가신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암 치료법은 정말 발달하고 있는게 맞을까요? 외삼촌께서 완치되시긴 하셨지만 위암 투병을 하셨어서

저희 어머니도 슬슬 걱정이 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똥진국
22/10/26 15:32
수정 아이콘
의학이 발달하니 당연히 좋은 약들은 나옵니다
다만 암이라는 병이 외부 전염으로 걸리는 병이 아니라 내 몸 속 내부의 문제라서 백신같은 간단한 해결책이 나올수가 없습니다
전반적인 생활습관을 좋은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노력해야할테고 포괄적으로 건강유지하기 좋은 환경에서 산다면 암에 걸릴 확률을 줄일수는 있을겁니다
SAS Tony Parker
22/10/26 15:34
수정 아이콘
사울 굿맨
22/10/26 17:40
수정 아이콘
SF 영화에서나 볼 법한 치료법 같은데, 수 천만원이면 암보험금으로 커버가 될 정도니 생각보다 싸네요.^^
정말 미래가 다가오고 있는듯...
22/10/26 15:43
수정 아이콘
암 치료법은 발전하고 있는게 맞고

암으로 죽는게 많을수밖에 없는게
'다른 병으로 안죽게 전부 살려버리니'
결국 암으로 죽게 되는거라서...
nm막장
22/10/26 15:45
수정 아이콘
기술도 발전했지만 그것과 더불어 암치료 경험이 쌓이면서, 점점 선생님들의 숙련도와 관리기법도 발전하는 것 같다는 생각은 했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식도암 4기셨는데 감사하게도 별탈없이 5년차 바라보고 계십니다.
기법 자체는 특별한것이 없었거든요.(항암제 + 방사선).
다만 진단 받기전과 그 후의 식습관/운동습관은 많이 바뀌긴 했습니다. 목구멍은 여전히 좁아져있어서 식사때 좀 불편해 하십니다.(스텐트 시술x)
22/10/26 15:49
수정 아이콘
문제는 암보다 코로나가 더 무섭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암 정복이 되는 미래에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가 우리를 괴롭히지 모르죠.
키작은나무
22/10/26 15:51
수정 아이콘
여러 약이 나오고 있지만 가야할 길이 아주 멀죠. 위치에 따른 암도 중요한데, 암종도 그 안에서 수십가지로 갈라지더라구요.
표적항암제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그 암종의 표적이 일치해야하는데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환자들도 많습니다. 또 약이 잘 맞았다 하더라도 보통 1년이면 내성이 생기는데, 암이 어떤 방향으로 돌연변이가 생겼냐에 따라서 내성이 생겼을 때 약을 사용할 수 있는 분들과 아닌 분들이 나뉘어 집니다.
면역항암제가 이런 암종과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나온 것인데, 잘 듣는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매우 좋지만 보통 10명 중 8명에게는 맞지 않고요.
유목민
22/10/26 16:07
수정 아이콘
노환으로 인한 자연사 와 암을 구분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지 싶은데요..
그 중에 가장 비중에 큰것이 이제는 암이지 싶네요..
22/10/26 16:17
수정 아이콘
[암 치료법은 정말 발달하고 있는게 맞을까요?]
정말 엄청나게 발달하고 있습니다. 과거 백금기반 항암제만 있을 때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전혀 다르다고 보시면 되고 저 질문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전혀 없는데...

다만 암이라는 게 우리는 그 증상에 대해서는 00암이라고 퉁치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수천수백수만 혹은 그 이상일 수가 있기 때문에, 치료법이 개발되고 널리 퍼진 대중적인(?) 암에 대한 치료법과 같은 기관에서 발생한 암이어도 그 원인 자체가 다른 희귀암에 대한 치료법이 완전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같은 폐암이어도 비소세포폐암에 대해서는 정말 다양한 표적치료제가 있고 키트루다, 옵디보 같은 면역치료제도 있고 언제나 최후의 보루인 백금기반 요법도 쓸 수 있는데, 소세포폐암에 대해서는 저 옵션 중에서 표적치료제는 전부 날아갑니다. 못 써요. 그래서 환자에게 주어진 치료옵션이 환자마다 많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료옵션이 적은 환자들은 암 치료법이 정말 발달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질 수는 있겠지요... 그렇게 신약이 많이 나왔다면서 나는 쓸 약이 없다고? 뭐 이런...

그리고 애초에 너무 늦게 발견하여 전이가 심하게 된 상태라면 역시 방법이 없다고 느낄 것이고, 또한 아직까지 암에 대해 가장 취약한 부분인 뇌, 척수 등 신경계에 전이된 상태라면 역시 치료가 좀 힘들기는 할 겁니다. 대신 사망률이 엄청 높은 췌장암이라 하더라도 1~2기에 발견만 한다면 수술 후 보조항암 등을 통해서 거의 완전관해에 가깝게 생존하실 수 있겠지요. 또한 킴리아 같은 게임체인저도 있고 신약 연구는 엄청 활발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여튼 결론은 암 치료법은 일반인들은 평소에 느끼지 못하겠지만 정말 엄청나게 발달하고 있고, 우리는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만 하면 됩니다. 규칙적인 생활, 주기적인 건강검진 말고는 할 수 있는 것도 없지만요. 우리 모두 스트레스 안 받고 행복하게 건강히 잘 살아 봅시다...
사울 굿맨
22/10/26 17:45
수정 아이콘
췌장암이 조기에 발견하기 정말 어렵다고 하던데, 검진기술은 발달하고 있을까요?
매년 꽤 비싼 건강검진을 받고 있지만 그게 걱정되네요.
키작은나무
22/10/26 18:38
수정 아이콘
mri가 가장 좋은 방법이고, 초음파로는 꼬리 부분이 안보이긴 한다더라구요.
사울 굿맨
22/10/26 19:47
수정 아이콘
헐 며칠전 손목인대 다쳐서 MRI 찍는데, 비용도 비용이지만 20분동안 음파공격(?) 당하느라 정신병 걸릴거 같던데...ㅠ
타츠야
22/10/26 21:45
수정 아이콘
암은 조기 진단이 제일 중요한데 조기 진단 기술이 조금씩이지만 발전하고 있습니다. 위에 나온 췌장암 같은 경우가 발견이 힘든데 이런 경우 바이오마커라고 해서 암 발생시 배출되는 특정 단백질 검출과 같은 기법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Dreamlike
22/10/26 21:47
수정 아이콘
일단 중입자 가속기를 조만간 세브란스와 서울대에서 도입 예정인데 그동안 좀 치료가 어려웠던 암들에 대해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는 옵션이 될 수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카바라스
22/10/27 12:02
수정 아이콘
뭐 거칠게보면 그렇게 기대수명이 대폭 늘어난게 증거라면 증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936 [질문] 피지알 게시글 특정 키워드 포함한 글 숨김은 안 되나요? [1] 무한도전의삶7909 22/10/31 7909
166934 [질문] 페르소나 입문 질문(3의 pc 발매에 관하여) [16] 터드프10428 22/10/30 10428
166933 [질문] 스포츠게임을 하나 시작하려고 하는데 더쇼 vs NBA2K 어떤 게 더 쉽나요? (마이커리어모드) [14] bifrost11750 22/10/30 11750
166932 [질문] 좀 짧으면서 내정이 재미있는 게임이 있을까요 [19] 리테14724 22/10/30 14724
166931 [질문] 곧 인사시즌인데 앞서 면담은 괜찮을까요 [4] 연애잘합니다10585 22/10/30 10585
166930 [질문] 윈도우 탐색기 드라이브에 느낌표 표시 그냥 둬도 되나요? [4] VictoryFood10465 22/10/30 10465
166929 [질문] 로스트아크 스토리 질문입니다. [4] 냥냥펀치9048 22/10/30 9048
166928 [질문] 혹시 이 부품 이름이나 구할 수 있는 곳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2] 초탈9724 22/10/30 9724
166927 [질문] 서울에서 일반 사설구급차는 없는건가요? [1] 바람의바람8904 22/10/30 8904
166926 [질문] 필터 들어가는 미니 가습기 쓰시는 분들 계신가요? [2] 오렌지망고10400 22/10/30 10400
166925 [질문] 여호와의 증인 교리에 대해서 잘 하시는분들께 여쭙니다 [16] 쭈니9945 22/10/30 9945
166924 [질문] 증여세 질문입니다. [15] 연휘가람10257 22/10/30 10257
166922 [질문] 마우스 스크롤? 방식이 갑자기 변경되었습니다. [2] 넙이아니7659 22/10/30 7659
166921 [질문] 카타리나 아이템 질문 (균열/피흡템) [1] 삭제됨10499 22/10/30 10499
166920 [질문] 사진, 동영상을 데스크톱에서 이름 바꿔주는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2] 9463 22/10/30 9463
166919 [질문] 아버지 휴대폰이 멀웨어에 감염된 것 같습니다 [7] 살려야한다9608 22/10/30 9608
166918 [삭제예정] [사회생활] 잘났다라는 이유로 집단에서 견제당하는 거 본 적 있으신가요? [9] 삭제됨10936 22/10/30 10936
166917 [질문] 주말(일요일)에는 코로나 pcr 검사를 마땅히 받을데가 없죠? [4] 보로미어10392 22/10/30 10392
166916 [질문] 스마트폰 파일의 읽기전용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드려요 코시엔10800 22/10/30 10800
166915 [삭제예정] FTX 사용법 질문드립니다. [3] 삭제됨10707 22/10/29 10707
166914 [질문]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보고 견적 맞추려고 합니다.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5] 김보노13463 22/10/29 13463
166913 [질문] 일본의 현 경제정책에 대해서 [4] JP-pride10118 22/10/29 10118
166912 [질문] 정치에 대한 관심은 의무일까요, 교양일까요? [10] 상록일기8914 22/10/29 89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