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25 12:17:28
Name Lord Be Goja
Subject [질문] 신용카드, 어느정도 상품을 고르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배경 : 만40세 , 월수입 200+150 ,월 고정 송금  120 (저축성 아님) ,3년간 평균 월소비성 지출 210
으로, 불나방같은 삶 RTS의 미덕인 자원회전을 지나치게 잘하는 편입니다.

원래는 자제력이 부족하니 신용카드는 안만들어야겠다 라고 생각해서 여태 체크카드로만 살았었는데,어짜피 현금도 자제력 없이 쓰니 뭔의미인가..  신용카드를 만들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내년에 갤럭시에서 아이폰으로 바꿀 확률이 약 83.745%정도는 되는거 같아 현대카드로 가서 보니까
연회비가 다양하더군요 만원부터 10만원 등등 여러가지고 혜택도 분명 다 적혀있는데
흡사 외국어를 보는거 같이 이해도 잘 안되고...이게 나한테 필요한건가 상상도 잘 안되고, 이 혜택받으려고 목표치 채운다고 돈을 더 쓰는건 아닐까? 이런  생각도 들어서

3년간 월소비패턴을 보니까 마트에서 식료품이나 생활용품 사는데에 60정도,온라인쇼핑몰에서(11번가와 옥션,네이버만 씁니다) 잡다한 제품을 사는데 60-70정도,해외직구로 부품이나 옷을 사는데 60정도,병원비로(절반은 치과) 매년 200정도 쓰는거같네요

이러면 연회비 어느정도하는 신용카드 상품을  쓰는게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프-물범
22/10/25 12:30
수정 아이콘
뱅크샐러드 등록하셔서 맞는 카드 추천받는 건 어떨까요?
22/10/25 12:32
수정 아이콘
카드에 바라는 부분이 뭔지에 따라 다르니까요.
예를들어 마일리지 모으겠다 vs 포인트로 현금화 하겠다. vs 자주가는데서 할인을 받겠다. vs 라운지가 필요하다. 등등요.
덴드로븀
22/10/25 12:49
수정 아이콘
https://www.card-gorilla.com/

https://www.banksalad.com/

이런 카드 추천 서비스들을 이용해서 몇일 열심히 검색/공부 해보세요.
나의 패턴과 카드별 실적이랑 혜택별 제한 등등 파악해야 될게 많고 이걸 다 잘 맞춰야 최대한 뽑아먹을수 있는데 이게 그리 쉽진 않습니다 흐흐

그냥 다 귀찮으면 무실적 + 무조건 1~2% 적립/할인 카드를 쓰는 방법도 있구요.
Lord Be Goja
22/10/25 13:12
수정 아이콘
저는 그저 흑우 안당할만한거는 어느정도가 좋을까만 생각하고있었는데
여러분의 댓글을 보니 공부할게 굉장히 많은가보네요
감사합니다
22/10/25 13:17
수정 아이콘
할인 계산하고 이것저것 돌려써서 채워야 하고 이런거 귀찮아서 그냥 죽기전에 1등석이나 타보자 하고 마일리즈 적립 카드 씁니다. 7년쯤 된거 같은데 이제 미국 1등석 왕복은 가능할만큼 모였네요
타카이
22/10/25 13:20
수정 아이콘
뱅샐이나 더쌘카드나 여러가지 있습니다
폰에 설치해서 개인정보 볼 수 있게만하면 결제내역 조회해서 알아서 맞춤형 카드 추천해줍니다..
서쪽으로가자
22/10/25 13:47
수정 아이콘
전 kb 탄탄대로 올쇼핑 쓰는데, 마트랑 온라인 (11번가, 옥션, 인터파크) 할인 되고, 아파트 관리비 할인되서 사용합니다 (아마 휴대폰도 될거에요).
할인되는 항목 제외하고 40 혹은 80 충족되어야 합니다.
패턴따라 2-3개 만드셔도 될거 같고 (대신 실적충족의 압박이 있을수도), 골치아프면 무조건 적립되는 걸로 하셔도 됩니다.
Steadfast
22/10/25 13:56
수정 아이콘
KB국민카드 올쇼핑티타늄카드(https://www.banksalad.com/cards/3726)가 제일 괜찮을거 같네요. 만일 저라면, 잡다한 비할인 지출로 40만원 최소한도를 채운 후에,

(1) 11번가/옥션에서 20만원 결제해서 매월 2만원 환급
(2) 가스요금/휴대전화요금/아파트관리비 중에서 10만원 넘은거 자동결제해서 매월 1만원 환급

이 두 가지 혜택으로 월 3만원이 환급되는데, 전체 카드비는 70~80만원이 되기 때문에 대략 4% 정도를 매우 쉽게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일 자차가 있다면, 주유를 SK/GS에서 월 100L하면 대충 20만원 정도 나오는데 이게 40만원 최소한도에 잡힘과 동시에 1만원이 추가 환급되어서, 이 경우 전체 70~80만원 대비 5% 이상의 환급률이 나옵니다.

70~80만원을 초과하는 카드사용이 있다면, 이는 다른 신용카드로 위와 유사한 설계(?)를 해보세요. 이것도 나름 재밌습니다.
22/10/25 13:56
수정 아이콘
귀찮지만 카드 쪼개서 쓰세요. bc 바로 페이백+ 좋습니다. 월 40쓰면 대략 2만원쯤 청구할인 들어갑니다. 주유하시면 55만원사용 3만원쯤 혜택봅니다.
콩순이
22/10/25 14:45
수정 아이콘
제가 신용카드만 5장이 넘어요. 주로 사용하고 할인 받고 실젇 채우는거 다 하고 무지성으로 써도 대충 1프로 할인 받는 카드로 나머지 쓰고 지역화폐까지 쓰는데 솔직히 할인받는거 좋아하는 사람 아니면 챙기다 실적놓치고 그러면 카드 쓰기 싫고 에이..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냥 실적 조건 없이 할인또는 적립되는 카드 있으니 요런걸로 알아보세요.
Chandler
22/10/25 15:03
수정 아이콘
삼성폰 쓰면 페이코 삼성페이로 우리카드 포인트의 정석쓰면 150만원까지인가는 3.8퍼 or 4퍼 적립 가능합니다

소비패턴 봐서는 현장결제가 아니고 네이버페이로만으로도 꽤 많이 쓰실거 같아서 추천드립니다.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슥페이/페이코 이렇게 네개가 4퍼센트 적립대상입니다(1만원 이상 결제시).

연회비도 싸구요. 아이폰으로 옮기시더라도 네이버페이 만으로 60만원 or 120만원~150만원 맞춰서 쓸 수 있다면 강추합니다. 실적구간이 30 60 120이라서요
절대불멸마수
22/10/25 16:38
수정 아이콘
급변하는 카드세계에서 계속 공부하지 않을거라면

무지성으로 사용하며 혜택받는카드가 답입니다.
제생각엔 초보용 무지성혜택카드는 다음 3가지정도입니다.

1. 통신사할인카드
2. 무제한할인카드 (현대카드제로등)
3. 마일리지적립카드 (신한air1.5등)

200만원이면 적으신 편은 아니어서 마일리지 적립이 가장 손이 가긴합니다....만 마일리지는 사용할때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해서.
3-2-1 순서로 추천드립니다.
더 좋은건 3+1이겠고요.
개좋은빛살구
22/10/25 17:25
수정 아이콘
저는 신한 더모아카드 (지금은 단종된거 같습니다.)
kb국민 알파원(주유카드(무실적카드) + 일반 1~1.5% 적립카드 결합)
삼성 트레이더스카드
이렇게 3개 사용하고
추가로 지역화폐 사용하고 있네요.
엡실론델타
22/10/25 17:31
수정 아이콘
신한딥드림플래티넘으로 무지성적립합니다~
네이버삼성카드 서브로 쓰고있구요
22/10/25 19: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통신사카드 +카정포면 될것 같은데
얼마전에 단종되었습니다.

어찌됐든 통신사+ 다른카드로 조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2/10/26 04:00
수정 아이콘
카정포는 9월말부터 단종된다는 떡밥이 계속 돌았지만 한 달이 지난 아직까지도 단종 안되었습니다
지금도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22/10/26 07:36
수정 아이콘
앗 그럼 정정하겠습니다.
인터넷 거래 자주하시고 페이류에 익숙하시면 카정포 괜찮은 선택입니다!
Lord Be Goja
22/10/25 19:4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조언을 듣고 신청을 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884 [질문] 주택청약통장 관련 질문 [10] hiho8867 22/10/27 8867
166883 [질문] 20억대 아파트에서 살고 싶은 아파트는? [31] Pika4811318 22/10/27 11318
166882 [질문] 로캣 무선 헤드셋 어떤가요? [6] Leon10879 22/10/27 10879
166881 [질문] 11월에 열리는 보드게임 페스타에 가려하는데 [6] norrell7959 22/10/27 7959
166880 [질문] 패키지->모바일 게임으로 가신 분들 과금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13] amalur9134 22/10/27 9134
166879 [질문] 나는 솔로 정주행 중인데 걸러도 되는 기수 있나요? [12] 이순신13491 22/10/27 13491
166878 [질문] 임진왜란기를 다룬 대체역사물 웹소설을 찾습니다. [9] Aiurr8033 22/10/27 8033
166877 [질문] 이 사양에 그래픽카드만 채굴품으로 올리면 괜찮을까요? [10] 탄야9353 22/10/27 9353
166876 [질문] [집구하기] 주택 구하기 [14] 한달살이11770 22/10/27 11770
166875 [질문] 어린아이 할만한 ps4 레이싱 게임이 있을까요? [20] 떡국떡13890 22/10/27 13890
166874 [질문] 서양권의 K팝 소비 남성 층에서 인기 있는 보이그룹이 누가 있을까요? [7] 독주9431 22/10/26 9431
166873 [질문] 유튜브 유료회원인지 봐주세요 [10] 굿리치[alt]11312 22/10/26 11312
166872 [질문] 컴퓨터 수리.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객관적인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21] 도토리해물전14045 22/10/26 14045
166871 [질문] 애드블록을 쓸 때 피지알 광고는 보이게 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VictoryFood8401 22/10/26 8401
166870 [삭제예정] 첫 방콕여행 코스 명소 추천좀 해주세요 [18] 시은10731 22/10/26 10731
166869 [질문] 대장내시경 궁금한점 있습니다. [1] 대장햄토리9523 22/10/26 9523
166868 [질문] 허리 통증이 심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19] 시무룩11917 22/10/26 11917
166867 [삭제예정] 어머니와 연을 끊고 싶습니다. [77] Secundo15883 22/10/26 15883
166866 [질문] 소니 비디오 카메라 밝기(?) 조정 하는 법 좀 알려 주세요 [2] 이명준7666 22/10/26 7666
166865 [질문] 암 치료법은 발달하고 있나요? [15] 오렌지망고12213 22/10/26 12213
166864 [질문] OTT 갈아타려고 합니다. [13] 8792 22/10/26 8792
166863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11] 난할수있다9584 22/10/26 9584
166862 [질문] 영화 영웅본색 궁금한점 [4] 푸들은푸들푸들해8605 22/10/26 86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