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25 11:51:11
Name 슬래셔
Subject [질문] 육아휴직 이후 복직 시 회사의 부당대우 대처법

저 아는 지인이 육아휴직으로 5개월 정도 쉰 후

10/1자로 복직을 했는데 진행사항이 순탄치 않아 문의 드립니다.


회사에서는 최초

*복직 대신 3개월 무급휴가제의 (T.O부족)
*이후 복직은 하되 급여차감 (기본급 50정도 삭감, 성과부족이유로)을 제의한 상황입니다.


당연히 아는 지인은 이에 반발하고 있으며, 회사에서는 지인이 근무중일 때
"회사에 방침에 따라 급여를 삭감하는데 동의한다?" 라는 내용에 서명을 했다는 이유로 위와 같이 진행을 한다고 합니다.


지인은 급여 삭감 동의서 서명 때문에 찝찝하다고 하는데
근로기준법 >> 회사규정 이라고 생각해서 부당대우로 신고를 넣으면 될 것 같다고 전달 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해 선배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제가 볼땐 구제가 될 것 같은데
추가로 준비해야될것이나 조언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지인은 현재 복수심에 불타오르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크림샴푸
22/10/25 11:57
수정 아이콘
노무사 상담비 아끼지 마시고
얼마 안하니 노무사 찾아가라고 조언 해주세요
리얼월드
22/10/25 12:00
수정 아이콘
한쪽 의견만 들은것이긴 하지만...
억울하다 생각하면 신고 하면 되지요.
회사 입장에서도 이런저런 이유들 댈테고, 결국 어떻게든 결론은 나겠지만
지인의 해당 회사생활에 미래는 없다고 봐야죠...
김건희
22/10/25 12:09
수정 아이콘
이런 경우를 위해서 노무사가 존재하는 겁니다. 무조건 노무사를 찾아가야죠...복수심에 불탈수록요.

다만 다니던 회사와는 쫑낼 각오를 해야겠지요. 심지어 업계가 좁다면 동종업계 이직도 쫑날 가능성이 높고요...
덴드로븀
22/10/25 13:03
수정 아이콘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731
[대법원 ‘육아휴직 후 부당인사’ 제동 걸었다] 2022.07.04
롯데마트 사건 파기환송 “직책·직무 차이 없고 불이익 없어야” 기준 제시

이미 대법원 판결도 있으니 노무사 + 해당지역 노동위원회를 적극 활용하여 대처하면 될겁니다. 회사내에서도 자기편을 만들어놔야하구요.
고오스
22/10/25 13:36
수정 아이콘
법으로 이기는건 전혀 문제가 없을텐데

이후 회사 내 진급 포기 및 동종업계 이직 시를 고려하면 신고하기 힘들죠

참 어려운 입장이네요 @_@
별빛다넬
22/10/25 16:49
수정 아이콘
동종업계를 떠나야 할 정도인가요?
안 겪어봐서 모르겠지만, 이런 문제로 업계 떠날 정도의 바닥이라면 썩었네요.
고오스
22/10/25 17:30
수정 아이콘
IT 같이 활발한 곳은 상관 없겠지만

어지간한 업종은 내가 부당한 대우 당해서 싸워도 낙인 찍힙니다

그게 현실이죠 -_-...

저도 멍멍이 팀장 하나 묻으려고 법적 자문까지 알아보다가 그 점 땜에 포기하고 나왔습니다

그래도 그놈은 망하는거 거의 확정이라 차도폭행이 가능해서 다행이죠
10년째학부생
22/10/25 13:48
수정 아이콘
[남녀고용평등및일가정양립에관한법률 제19조(육아휴직)]
④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 또한 제2항의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한다.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여성고용정책과-1958, 2015. 7. 3]
육아휴직 중인 근로자의 자리에 정직원을 채용하는 것만으로는 법 위반으로 볼 수 없으나,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귀한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대기발령은 명백한 불리한 처우로서 법 위반으로 볼 수 있다.

1) 복직시점에서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무급휴가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위법하다고 볼 수 없으나, 근로자가 동의하지 아니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무급휴가 또는 무급휴직을 강제한 경우 이는 무급의 대기발령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위 고용노동부 행정해석과 마찬가지로 불리한 처우에 해당하는바, 고평법 위반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2) 급여삭감은 급여라는 개별적인 근로조건의 불이익한 변경이므로 근로자의 동의가 수반되어야 하며, 어떠한 근로조건으로 변경되는지 특정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경우 회사 방침에 따라 급여가 삭감될 수 있다고 되어있을 뿐, 특정액이 명시되어 있지 아니한바, 회사가 임의로 삭감액을 정할 수 있으므로 유효한 사전합의로 평가하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당해 동의로 급여를 삭감하는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함과 아울러 육아휴직 복직 이후 근로자의 동의 없이 기존 급여보다 낮은 수준의 급여를 지급하였으므로 마찬가지로 고평법 위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로플
22/10/25 14:09
수정 아이콘
동종업계 이직시 불리하다는건 업계 따라 다를것 같네요..
노동자가 귀한 업계면 다음 회사가 그 사실을 알더라도 딱히 문제될게 없어보입니다.
22/10/25 14:52
수정 아이콘
업계를 떠날 각오가 되어있냐 아니냐에 따라 큰 방향이 나눠지는 상황이라 그것부터 확실히 해야겠죠.
모나크모나크
22/10/26 09:49
수정 아이콘
저건 너무 회사가 양아치짓이라... 본인 능력만 괜찮으면 이직도 괜찮지 않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877 [질문] 이 사양에 그래픽카드만 채굴품으로 올리면 괜찮을까요? [10] 탄야9344 22/10/27 9344
166876 [질문] [집구하기] 주택 구하기 [14] 한달살이11766 22/10/27 11766
166875 [질문] 어린아이 할만한 ps4 레이싱 게임이 있을까요? [20] 떡국떡13880 22/10/27 13880
166874 [질문] 서양권의 K팝 소비 남성 층에서 인기 있는 보이그룹이 누가 있을까요? [7] 독주9429 22/10/26 9429
166873 [질문] 유튜브 유료회원인지 봐주세요 [10] 굿리치[alt]11306 22/10/26 11306
166872 [질문] 컴퓨터 수리.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객관적인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21] 도토리해물전14038 22/10/26 14038
166871 [질문] 애드블록을 쓸 때 피지알 광고는 보이게 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VictoryFood8395 22/10/26 8395
166870 [삭제예정] 첫 방콕여행 코스 명소 추천좀 해주세요 [18] 시은10724 22/10/26 10724
166869 [질문] 대장내시경 궁금한점 있습니다. [1] 대장햄토리9520 22/10/26 9520
166868 [질문] 허리 통증이 심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19] 시무룩11913 22/10/26 11913
166867 [삭제예정] 어머니와 연을 끊고 싶습니다. [77] Secundo15881 22/10/26 15881
166866 [질문] 소니 비디오 카메라 밝기(?) 조정 하는 법 좀 알려 주세요 [2] 이명준7658 22/10/26 7658
166865 [질문] 암 치료법은 발달하고 있나요? [15] 오렌지망고12208 22/10/26 12208
166864 [질문] OTT 갈아타려고 합니다. [13] 8789 22/10/26 8789
166863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11] 난할수있다9580 22/10/26 9580
166862 [질문] 영화 영웅본색 궁금한점 [4] 푸들은푸들푸들해8598 22/10/26 8598
166861 [질문] 부동산 소유권 이전 관련 질문입니다. [3] 위미8583 22/10/26 8583
166860 [질문] 중고폰 살때 자급제이지 아닌지가 중요한가요? [2] 로스9495 22/10/26 9495
166859 [삭제예정] 경계성지능장애 일까요 그냥 좀 특이한애일까요 [8] 삭제됨11514 22/10/26 11514
166858 [질문] 욕실 구멍난 타일 마감 방법 [5] funk8705 22/10/26 8705
166857 [질문] 겜트북에 45~65w 충전기 사용 가능한가요? [5] 득이10494 22/10/26 10494
166856 [질문] 5g요금제에서 lte로 변경방법 [6] wook987404 22/10/26 7404
166855 [질문] 맥세이프 악세사리 지갑에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1] 허느8208 22/10/26 82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