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20 16:13:37
Name amalur
Subject [질문] 전략 게임을 하는 법 감이라도 잡고 싶습니다

전 게임을 장르를 거의 가리지 않고 하는데,
즐기고 싶은데도 즐기지 못하는 몇 안되는 장르 중 하나가 전략입니다
(경영, 건설, 운영, 4x 포함)

제가 멍청한건지 ㅜㅜ 전략 게임은 어떻게 해야 잘 할 수 있는지 감을 못잡겠더라구요. 시스템이 머리에 잘 안들어옵니다.

막연하지만 혹시 주실 수 있는 팁이 있을까요?

너무 막연해서 팁이 나오기 어렵다면
초보자용 쉬운 전략 게임 추천도 괜찮습니다.
그래픽을 신경 안쓰기.때문에 고전도 얼마든지 가능해요.

제가 그동안 시도해본 것들은
- 프로젝트 하이라이즈
- 트로피코 5 : 그나마 할 만 했습니다.
- 시저 & 클레오파트라 (고전게임)
- 투 포인트 호스피탈 : 그나마 할 만 했습니다.
- 크루세이더 킹즈 3 : 8시간 했는데 아직도 감이 안옵니다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플라타너스
22/10/20 16:15
수정 아이콘
저도 머리가 나쁜지 스스로 요령을 깨닫지 못하는 편이라.. 도저히 답이 안나오면(=쉬운 난이도로도 진행을 못할 정도면) 공략을 찾아봅니다. 적어도 그 게임을 어떻게 풀어나가는 지에 대한 요령은 얻을 수 있더라구요. 물론 게임이 바뀌면 리셋되는 내 머리..
22/10/21 11:18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시스템 설명 정도만 찾아 읽었었는데, 공략도 한번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10/20 16:51
수정 아이콘
문명을 안 해보셨다면 문명은 어떠신가요?
22/10/21 11:19
수정 아이콘
문명은 꽤 깊이가 있다고 들어서 엄두를 못 냈었거든요 흐흐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솝호즈
22/10/20 17:09
수정 아이콘
문명이나 하츠 오브 아이언 4 (얘는 진입장벽이 조금 있긴 한데 좀만 숙지하면 괜찮을거에요.) 어떠실까요? 모바일도 괜찮으면 클래시 오브 클랜도 꽤 괜찮을거같아요.
겨울삼각형
22/10/20 17: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크킹3은 전략게임이 아닙니다.

4X류로는 문명5가 입문하기 좋고
전략시뮬 쪽이면 평범한 삼국지나 신장의 야망 정도겠지요.
추천드릴 입문작은 삼국지 11, (전에 게임게시판에 추천드린) 신장의야망 혁신 정도 입니다
(최신작은... 다 개판이라서)
겨울삼각형
22/10/20 17:25
수정 아이콘
전략게임의 팁이랄건 없고

뭐랄까 살짝 애정을 가지고 몰입을 해야 더 재미 있습니다.

애정이 없으면 중후반 넒어진 영역을 다 신경쓰다가 현타가 오기도 하거든요.

저는 문명같은경우는 정복승리는 한번정도만 했고,
그 이외에는 대부분 과학이나 외교로 잡고
중재자 역할을 했습니다.

삼국지나 신장도 딱 어느선까지만 확장하고
그 이후는 관망하거나 하는식으로
22/10/21 11:20
수정 아이콘
삼국지를 잊고 있었네요, 하도 혹평이 많아서 그런지 9 이후로는 배제하고 있었는데, 11한번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해요!
22/10/20 18:02
수정 아이콘
튜토리얼 제대로하기...가 젤 중요한거 같고, 해당 게임에 빠져서 여가시간나면 그 게임만 하고 그 게임 정보나 공략 보고 하다보면 그냥 익혀지던데요. 그래서 그럴시간이 없는 요즘엔 새로운 게임 시작을 못하는건지도 모르겠네요 ㅠㅠ 그리고 경영, 건설, 운영게임은 너무 큰그림을 그리지 않는게 도움이 됩니다.. 초보때 큰그림 그리면 도화지가 찢어져서요.
22/10/21 11:21
수정 아이콘
전략 게임들은 시스템이 복잡하고 알아야 할게 많아서인지, 튜토리얼로 커버를 다 못하더라구요 흐흐
큰 그림을 그리지 말라.. 이해할 것 같습니다. 이번 턴/이번 달만 넘긴다는 생각으로 해볼께요
제랄드
22/10/20 19:28
수정 아이콘
저도 문명5 추천 드립니다.
감을 잡는 방법은 나무위키를 대충 살펴보시고, 유튜브에 문명5 검색하시면 예전 영상이긴 하지만 도움이 되실 것 같네요. 저도 그렇게 배웠습니다. 난이도도 다양해서 중간 즈음 난이도, 판게아 대륙, 야만인 없음 정도로 시작하심을 권합니다.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 드리자면 문명 전체를 살펴볼 수는 없으니 애국심(...)으로 우리나라를 선택해서 나무위키에서 한국 문명의 특징과 운용법을 훑어보고, 유튜브에 '문명5 한국' 검색하면 주구장창 나오는데 조회수 많은 거 위주로, 고인물들의 엽기 플레이는 제외하고 정석 위주로 골라서 봤습니다. 굳이 한국이 아니더라도 나무위키 보시면 초보자에게 쉬운 문명도 있습니다.
22/10/21 11:22
수정 아이콘
문명이 4x 대표작인만큼 꽤 깊이가 있어서 제게 너무 어려울 것 같아 건드리지 못하고 있었거든요. 5면 한 세대(?) 전작인거죠? 가격도 쌀테니 한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조말론
22/10/21 10:34
수정 아이콘
시간을 너무 안박았는데? 라는 생각이 크킹 기준으로 드네요
유로파4나 크킹2나 한 3-40시간 박고나서야 아 이렇게 해야하는구나 라는 감이 왔던거 같은데 아직도 잘은 모르는거같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818 [질문] 최근에 pgr동영상이 재생이 안됩니다. [4] 쩍이&라마8989 22/10/24 8989
166817 [삭제예정] 윈도우 FTP 서버 공유 드라이브 용량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삭제됨7405 22/10/24 7405
166816 [질문] 자동차검사 좀 늦어도 되나요 [4] 마제스티9364 22/10/24 9364
166815 [질문] 매스틱검 이라는게 위에 좋다던데 추천 브랜드 잇나요 [6] 스핔스핔7713 22/10/24 7713
166814 [질문] 타이어 바람이 빠졌는데 원인이 모르겠습니다 [7] 정공법10043 22/10/24 10043
166813 [삭제예정] 부부싸움 간략한 내용 적어드립니다.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68] 삭제됨11801 22/10/24 11801
166812 [질문] 피식인들에게 도움 요청드립니다 검버섯에 잘 드는 크림이나 연고 추천 부탁드립니다 [7] PENTAX8529 22/10/24 8529
166811 [질문] 에어팟2 안드로이드폰 연결방법 질문입니다. [3] 시오냥7672 22/10/23 7672
166810 [삭제예정] ETF (KOSEF 통안채 1년) 매매차익 세금문의 콩알이9503 22/10/23 9503
166809 [질문] 혈압약을 복용해보려 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핸드레이크10553 22/10/23 10553
166807 [질문] 선생님들, 낮술하고 이후 저녁시간에는 어떤걸 주로 하시나요? [10] 푸끆이9267 22/10/23 9267
166806 [질문] 이전에 쓰던 컴퓨터의 하드드라이브를 옮길 때 주의사항이 있을까요? [2] 하프-물범9257 22/10/23 9257
166805 [질문] 증권사 예금자 보호 [3] 키작은나무7781 22/10/23 7781
166804 [질문] 금리를 올리며 유동성도 추가 공급하면 무슨 일이 벌어지나요? [1] 동훈8347 22/10/23 8347
166803 [질문] 하드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만으로도 컴퓨터가 느려지나요 [5] 배려10838 22/10/23 10838
166802 [질문]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궁금한 점 [7] 우주소녀 보나9811 22/10/23 9811
166801 [질문] 일본 도쿄 여행 예정인데요. 현금 적게 가져가도 되나요? [15] 월희11375 22/10/23 11375
166800 [질문] 포켓몬빵 질문 [7] 리얼월드9611 22/10/23 9611
166799 [질문] 30대 중반 발이 편안한 운동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무한도전의삶9002 22/10/23 9002
166798 [질문] 외국에서 페이팔/페이오니아 많이 사용하는지요...? [3] nexon9527 22/10/23 9527
166797 [질문] 소고기 상태가 어떻게 보이시나요? [22] 나이스후니10207 22/10/23 10207
166796 [질문] 5g보다 와이파이가 빠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 앙몬드10072 22/10/23 10072
166795 [질문] 방 창문 커튼 조언 부탁드립니다. [1] 그때가언제라도11592 22/10/23 115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