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18 18:56:15
Name 달콤한인생
Subject [질문] 토플과 아이엘츠 차이?
안녕하세요
토플과 아이엘츠를 한번도 본적이 없는 30대 후반 남자입니다.

해외 석사를 가고 싶어서 보고 있는데 요구사항이 토플 96 또는 아이엘츠 7.0이네요
어떤게 점수 받기 더 나을지 고민됩니다

참고로 저는 비지니스 영어에 익숙하고 일반미드나 이런게 뉴스보다 더 어렵습니다;;

혹 두시험다 보신분들 차이를 아시는지요? 그리고 어떤게 더 점수 만들기 쉬울런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0/18 19:04
수정 아이콘
토플은 미국꺼라 좀 더 글로벌하고 아이엘츠는 약간 영연방권 국가에서 받아주는 느낌?

아이엘츠 7.0이 토플 100점 느낌? 아무래도 영국 영어 기반이다보니 한국인은 아이엘츠가 더 어려울 거라 생각합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0/18 19:08
수정 아이콘
그러니 가려는 곳이 아이엘츠만 받는 게 아니라면 엥간해서는 토플을 추천드립니다
피플스_스터너
22/10/18 20:15
수정 아이콘
일단 시험별로 형식을 꼼꼼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둘다 목적은 같은 시험이지만 시험의 유형과 형식이 많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리딩은 아이엘츠, 리스닝은 토플이 조금 더 어려운 편입니다만 큰 차이는 아닙니다. 라이팅은 비슷하고 스피킹은 컴퓨터에 대고 녹음하는 형식으로 말하는 토플과 채점관과 직접 1:1로 말해야 하는 아이엘츠가 사뭇 다릅니다. 이에 따라 응시자들간의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영역입니다. 평소에 외국인과의 대화에 긴장하지 않고 경험이 많다면 오히려 아이엘츠가 편할 수도 있습니다.

토플은 전 영역 학문적인 내용입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국 대학교 학생들이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교과서를 읽고 교수님과 말하고 레포트를 쓰는 수준과 동일합니다. 반면 아이엘츠는 보다 영역이 넓습니다. 일상대화도 나오고 비즈니스 대화도 나오고 당연히 학문적인 내용도 나옵니다. 비즈니스 영어에 익숙하다고 하셨는데 아이엘츠가 좀 더 편할 수도 있겠으나 일반 미드가 뉴스보다 어렵다는 것은 반대로 토플쪽이라 확신은 어렵네요.

대충 큰 차이만 말씀드렸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둘다 받아주는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토플을 칩니다. 둘다 시험이거든요. 이건 점수만 받으면 되는 "시험" 입니다. 그러한 기술적인 측면에서 토플이 접근성, 자료, 친밀함 등이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영국식 영어가 훨씬 편하고 아이엘츠쪽 형식이 너무 잘 맞는다고 생각하지 않는 한 솔직히 토플쪽을 추천하는 편입니다.
22/10/18 21:07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저는 비지니스 영어에 익숙하고 일반미드나 이런게 뉴스보다 더 어렵습니다;;]

이 경우면 토플이 점수 받기는 더 쉽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엘츠도 아카데미, 비지니스 잉글리시가 매우 중요하긴 한데, 스피킹이 완전 그냥 막 생활영어까지 범위가 넓습니다

그리고 해외 석사도 가시고자 하는 쪽이 어디냐가 훨씬 중요할겁니다

영연방, 영국문화와 가까운쪽을 원하시면 아이엘츠, 미국, 그외국가는 토플을 더 인정해 주긴 할거에요
22/10/19 00:06
수정 아이콘
토플은 범용성이 높고 차후로도 계속 써먹을 수 있어서 이왕 할거면 토플 공부를 추천합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영국권 가시는 거 아니면 아이엘츠는 좀 마이너하죠.
그런 측면에서 토플이 준비하기도 훨씬 여건이 나을겁니다. 아이엘츠 대비 수험 인구도 많고 그만큼 검증된 교재, 강의도 풍부하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881 [질문] 11월에 열리는 보드게임 페스타에 가려하는데 [6] norrell8031 22/10/27 8031
166880 [질문] 패키지->모바일 게임으로 가신 분들 과금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13] amalur9246 22/10/27 9246
166879 [질문] 나는 솔로 정주행 중인데 걸러도 되는 기수 있나요? [12] 이순신13633 22/10/27 13633
166878 [질문] 임진왜란기를 다룬 대체역사물 웹소설을 찾습니다. [9] Aiurr8151 22/10/27 8151
166877 [질문] 이 사양에 그래픽카드만 채굴품으로 올리면 괜찮을까요? [10] 탄야9446 22/10/27 9446
166876 [질문] [집구하기] 주택 구하기 [14] 한달살이11930 22/10/27 11930
166875 [질문] 어린아이 할만한 ps4 레이싱 게임이 있을까요? [20] 떡국떡14057 22/10/27 14057
166874 [질문] 서양권의 K팝 소비 남성 층에서 인기 있는 보이그룹이 누가 있을까요? [7] 독주9520 22/10/26 9520
166873 [질문] 유튜브 유료회원인지 봐주세요 [10] 굿리치[alt]11422 22/10/26 11422
166872 [질문] 컴퓨터 수리.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객관적인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21] 도토리해물전14238 22/10/26 14238
166871 [질문] 애드블록을 쓸 때 피지알 광고는 보이게 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VictoryFood8488 22/10/26 8488
166870 [삭제예정] 첫 방콕여행 코스 명소 추천좀 해주세요 [18] 시은10828 22/10/26 10828
166869 [질문] 대장내시경 궁금한점 있습니다. [1] 대장햄토리9603 22/10/26 9603
166868 [질문] 허리 통증이 심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19] 시무룩11991 22/10/26 11991
166867 [삭제예정] 어머니와 연을 끊고 싶습니다. [77] Secundo16028 22/10/26 16028
166866 [질문] 소니 비디오 카메라 밝기(?) 조정 하는 법 좀 알려 주세요 [2] 이명준7746 22/10/26 7746
166865 [질문] 암 치료법은 발달하고 있나요? [15] 오렌지망고12314 22/10/26 12314
166864 [질문] OTT 갈아타려고 합니다. [13] 8852 22/10/26 8852
166863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11] 난할수있다9699 22/10/26 9699
166862 [질문] 영화 영웅본색 궁금한점 [4] 푸들은푸들푸들해8678 22/10/26 8678
166861 [질문] 부동산 소유권 이전 관련 질문입니다. [3] 위미8667 22/10/26 8667
166860 [질문] 중고폰 살때 자급제이지 아닌지가 중요한가요? [2] 로스9589 22/10/26 9589
166859 [삭제예정] 경계성지능장애 일까요 그냥 좀 특이한애일까요 [8] 삭제됨11610 22/10/26 116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