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29 11:03:51
Name 노익장
Subject [질문] 왜 생명체는 무작위로 보상을 주는 걸 더 선호하도록 진화했을까요?
뇌과학 관련 책들을 보면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들은 확실한 보상보다 불확실한 보상을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가령 매달 나오는 월급은 계속 경험하면 할수록 도파민을 덜 분비시키지만, 도박으로 인한 보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중독된다고 하네요. 생쥐의 실험에서도 래버를 누를 때 무작위로 먹이를 주는 것이 매번 먹이를 주는 것보다 생쥐를 참여를 더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향성은 왜 진화한걸까요? 제가 생각하기엔 자연상태에선 고정적이고 지속적인 이득을 선호하는게 생존에 더 안정적이고 유리하지 않나싶은데요. 불확실한 결과에 집착하는 성향은 오히려 생존에 마이너스일 것 같구요.

하지만 포유류의 성향이 제가 생각한 것과 반대로 랜덤한 것을 더 선호하는걸로 관찰된다면, 이에 어떤 생존과 번식에 고정적인 이득은 선호하는 것보다 이점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어떤 생존에서의 이점이 있었기에 이런 성향이 발현되어 유지되었다고 생각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9/29 11:08
수정 아이콘
관련지식은 없지만...장기적으로 봤을때 도박같은 하이리턴 하이리스크를 감수하는 개체에서 유전적인 진화또는 돌연변이가 더 생길 확률이 높지 않았을까 추측은 해봅니다.
22/09/29 11:09
수정 아이콘
아무 것도 모르는 비전공자 알못입니다만 읽으면서 든 생각은, 일방적으로 안전한 선택만 추구하는 개체가 노말한 상황에서는 더 생존 잘해도, 특수하거나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 했을 때는 불확실하지만 다양하고 변칙적인 선택을 더 선호하는 개체가 생존 잘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그런 개체들이 더 번식을 많이해서 그런 것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22/09/29 11:12
수정 아이콘
확실하고 안정적인 상황에서 도파민이 계속 분비된 개체는 다 죽었기 때문에...
무한도전의삶
22/09/29 11:31
수정 아이콘
새로운 것에 집중해야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새로운 천적, 먹이, 정보를 발견했을 때 도파민이 뿜뿜해야 생존에 도움이 될 것이고, 무작위성 보상도 새로움이라는 범주에 들어가 도파민 펌핑을 하는...
현미녹차
22/09/29 12:19
수정 아이콘
리턴이 커서 그럴지도 모르지요.

월급 500

도박 0~500 이면 도박 아무도 안 할 듯
우리집백구
22/09/29 12:35
수정 아이콘
생존을 위해서 불안정성(위험)을 해소하는 쪽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불안정한 상태에서 더 많은 일을 한 개체들이 살아남았고 그렇지 못한 개체들은 도태.
그리고 안정된 상태에서의 매너리즘은 진화의 산물입니다. 위험이 적을 때는 에너지를 최소로 사용하도록 진화.
22/09/29 13:36
수정 아이콘
결국 도박을 잘한 개체들이 살아남았기 때문에? 잭팟이 터진 개체들만 살아남았기 때문에??
우리 선조들은 갬블러 승부사셨지...???
CP Violation
22/09/29 13:40
수정 아이콘
역사 시대처럼 최소한 농사 짓는 걸로 리턴이 보장될 때나 안정적인 인간이 유리한 거지, 그 전에는 상식 자체가 달랐을 것 같아요. 나무늘보 같은 행운아들이 아니면 날씨 따라서 움직일 수 있고 움직이는 놈이 유리한 걸로
메타몽
22/09/29 13:57
수정 아이콘
후각을 예로들어 생각해보면 똥 냄새가 아무리 독해도 계속 맡다보면 무감각해지죠

같은 냄새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신경의 대부분이 후각에 집중되면서 다른 일을 못할 껍니다

그리고 독가스 같은 목숨과 연관된 냄새는 익숙해질수가 없으니 새로운 냄새는 위험신호로 받아들이면서 생존을 위해 몸의 감각이 활성화 되겠죠

마찬가지로 문명시대 이전에는 일정하게 안정된 상황은 신경을 안/덜 써도 되는데, 갑자기 새로운 것이 등장하면 묵숨에 위협을 받을 수 있으니 더 기억이 나겠죠

그러니 월급처럼 꾸준히 나오는 것은 점점 익숙해지면서 신경을 덜 쓰게 되고,

로또, 도박 등 갑자기 큰 이득이 발생하는 이벤트를 겪게 되면 새로운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기억에도 오래 남게 진화했다고 봅니다

그래서 전 도박, 마약은 아예 접하지 않는게 베스트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2/09/29 14:38
수정 아이콘
도박이라고 하긴 좀 그렇고 윗분들 말씀처럼 리스크를 무릅쓰고 모험을 하는 게 생존에 유리한 면이 있지 않을까요...
캡틴리드
22/09/29 15:43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을 보면 정직하고 무난한 덱보다는 변수가 있고 리스크가 있어도 리턴이 큰 덱이 살아남죠.
노익장
22/09/29 16:50
수정 아이콘
설득력 있는 댓글들 다들 감사합니다!
틀림과 다름
22/09/29 22:52
수정 아이콘
한 왕조가 계속 집권하질 못하는게 생각나네요
우리나라의 왼쪽 나라를 보면 몇백년도 못가서 새로운 왕조가 건립되고
오른쪽 나라도 마찬가지니깐요
우리도 마찬가지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465 [질문] 이번 롤 월드챔피언십 승부예측 어디서보나요? [3] 레너블11207 22/10/06 11207
166464 [질문] 자동 커피머신 제품 문의 (빈프레소?) [5] 니플9778 22/10/06 9778
166463 [질문] 빠르게 짧게 뛰기 vs 느리게 오래 뛰기 뭐가 더 운동 효과가 좋을까요? [7] 아카데미11752 22/10/06 11752
166461 [질문] 애완동물 안락사 관련해서 견문 좀 넓혀주시길 바랍니다. [14] 키르아10149 22/10/05 10149
166460 [질문] 타자칠때 키보드의 B/ㅠ키 무슨 손으로 누르시나요? [28] wersdfhr10990 22/10/05 10990
166459 [질문] 트위치 로그인이 이상합니다 [9] Mindow10462 22/10/05 10462
166458 [질문] 후쿠오카 가족(초등학생 포함) 여행 추천 여행지 [37] 제랄드16553 22/10/05 16553
166457 [질문] 알리 물건 배송이 안오는데 제 물건은 어디쯤 있을까요? [8] 유니꽃11848 22/10/05 11848
166456 [질문] 엑스컴2 뉴비 - 시설물 배치 관련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8] 공놀이가뭐라고14841 22/10/05 14841
166455 [질문] 교토 숙소 어디에 잡아야할까요? [11] 손연재8479 22/10/05 8479
166454 [질문] 다낭 빈펄리조트 조식만 선택 시 점심,저녁 문의드립니다. [2] 대보름8644 22/10/05 8644
166453 [질문] 왜 pc게임에서는 광고가 적극적으로 쓰이지 않을까요? [7] 뿌잉빠잉11283 22/10/05 11283
166452 [질문] 월도를 위한 pgr 접속방법 문의 [3] 희망고문7445 22/10/05 7445
166451 [질문] 헬린이 풀업 및 운동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2] 얼우고싶다7728 22/10/05 7728
166450 [질문] 파워포인트 자주 이용하시는분들께 간단한 질문 분당선6555 22/10/05 6555
166449 [질문] [헬스] 가슴운동별 가능한 무게 차이가 나는게 정상인가요 ㅠㅠ [12] 애기찌와7734 22/10/05 7734
166448 [질문] 국힘 경선에서 왜 홍이나 유 거르고 윤이었나요...? [30] 삭제됨11761 22/10/05 11761
166447 [질문] 견적의뢰 메일인데 이상합니다. [7] 나른한오후8314 22/10/05 8314
166446 [질문] 연말정산용 개인용 퇴직연금 납입 중단이 나을까요? [3] 콩순이9692 22/10/05 9692
166445 [질문] 제주도 늦은 도착시 렌트카 때문에 질문드립니다. [6] Haru9314 22/10/05 9314
166444 [질문] 모니터 화면이 검은 색으로 변한 뒤 제조사 로고가 깜빡입니다. [3] o o (175.223)8380 22/10/05 8380
166443 [질문] 난이도중하? 이 베이스 인트로 노래 제목이 궁금합니다. [30] 지드래곤11409 22/10/05 11409
166441 [질문] 서울 부페나 레스토랑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Restar9476 22/10/05 94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