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06 13:16:40
Name 멜로
Subject [질문] 현재 유럽과 러시아 가스관 분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수정됨)
요즘들어 독일에서 러시아가 에너지 가지고 장난치니까 러시아한테 가서 화내고 있잖아요?

그런데.. 독일이 우크라이나 지지한다, 무기 지원하겠다, 러시아 전쟁 극혐! 이랬으니 맞고만 있을 수 없는 러시아도 그게 대한 반응으로 가스관 잠궈버린건데

따지고 보면 지들이 선빵쳐놓고 이제와서 가스관 가지고 협박은 좀 아니지;; 이러는거보면 걍 내로남불 같거든요

그리고 러시아도 우크라이나에 나토 배치하면 진짜 가만히 있지 않는다고 여러번 말했고 EU통해서 우크라이나에 진짜 나토 들어올거 처럼 보이니까 전쟁낸건데..

싸움도 따지고 보면 자기들이 부추겼고 입도 다 털어놓고 이제 자기 안방 추워질 판이니까 이제서야 러시아 비난하는게 정당한 근거가 있나요? 제가 모르는 외교의 역학 관계가 있나 해서요. 아니면 이렇게 맹랑하고 일방적인 대화가 현실 외교 그 자체인걸까요?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2/09/06 13:26
수정 아이콘
말로 욕하는건 끽해야 명예훼손죄고, 열받는다고 주먹으로 때리면 폭행죄이고, 때려서/도구써서 죽이면 살인죄죠.
유럽이 러시아에게 빌미를 제공하고 몰아세운건 맞는데
그렇다고 전쟁 일으켜서 살인죄를 저지른 러시아를 비난하는데 무슨 더 대단한 근거가 필요할까요?
22/09/06 13:45
수정 아이콘
전쟁을 살인죄라는 프레임으로 보신다면 미국도 이라크 쳐들어가서 전쟁을 두번이나 냈습니다. 그런데 현재 EU국가 누구도 공개적으로 미국의 만행을 비난하지 않았죠. 결국 외교에서 중요한건 명분입니다. 제가 묻는것도 저들의 명분이 정당한가구요.
티나한
22/09/06 13:56
수정 아이콘
명분을 묻는 질문글에 명분의 내용을 답하셨는데, 거기에 반박을 하시면 그 시점부터는 질문글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여긴 토론을 위한 게시판이 아닙니다.
22/09/06 14:03
수정 아이콘
러시아 쪽 잘못이 더 큰듯요.. 근데 독일이 화냈다고 러시아가 독일이 화내고있네?라고 생각할까요? 가스만 두고보면 러시아가 갓갑이라 독일이 뭐라하든 러시아는 신경도 안쓸거 같은데요..
[아니면 이렇게 맹랑하고 일방적인 대화가 현실 외교 그 자체] 이것도 없지는 않은 것같습니다.
몽키매직
22/09/06 14:19
수정 아이콘
내 친구 a 가 친구 b 를 때려서 때리지 말라고 하는데 친구 a 는 기분 나쁘다고 계약된 물건 안 보내주는 상황 아닌가요?
계약된 사이면 하면 안되는 걸 하지 말라고도 못하나요?
외교적으로 기분 나쁘면 마음대로 계약 파기해도 되요?
이건 이거고 저건 저거죠.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든 하지 않든 그건 우크라이나가 주권 국가인 이상 러시아가 기분 나쁠지언정 이래라 저래라 할 수는 없고 그러게 애초에 크림반도 돈바스 가지고 장난 치고 하지 않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좋아할 외교를 했으면 됐습니다. 선빵은 러시아가 쳤죠... 본문의 주장이 이해가 안되요.
kartagra
22/09/06 15:32
수정 아이콘
1. 러시아에게 명분이 있나->전혀 없음. 이견의 여지도 없이 명백합니다.
2. 가스관 협박 명분->일방적 파기할 명분 없음. 그래서 러시아도 '아 아무튼 고장났음' 이러면서 가스 줄인 겁니다.
3. 현실 외교 그 자체인가->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예시로 드셨는데, eu국가 중 상당수는 아들 부시가 이라크 침공했을 때 거세게 반발했습니다. 아들 부시가 침공한 이라크 전쟁은 누가 봐도 '명분'이 없었거든요. 특히 지금 쳐맞는 독일이나 프랑스가 대표적이죠. 이제는 eu도 아닌 영국이나 적극적으로 이라크 전쟁에 참여했지, 당시 eu의 반응 보면 난리도 아니었어요. 명분 없는 전쟁이라는 것 때문에 eu는 물론이고 미국 국내에서도 반전시위 일어나고 난리가 나서 이건 그대로 미국에게 부담이 됐죠.
4. 유럽이 싸움을 부추겼는가->그런 적 없음. 싸움을 부추긴 건 꾸준히 러시아였습니다. 오히려 유럽은 러시아가 '전쟁을 벌일 것이다'는 것 자체를 개전 전까지 아예 믿지도 않았습니다.
22/09/06 16:13
수정 아이콘
소련의 붕괴 이후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소유권이 회색지대에 있는 상황이었으나 만약 우크라이나가 나토로 편입된다면 러시아 입장에서 지정학적으로 방벽이 하나도 없는 평원 상태에서 서방 국가와 마주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회색지대 였을때는 일종의 버퍼, 중립국이었지만 만약 나토로 편입된다면 사정이 달라지게 됩니다. 우크라니아가 넘어가면 러시아에 유일한 부동항 뿐만 아니라 위에 상기한 지리에서 비롯된 군사적 이점 모두 잃게 됩니다. 만약 나토가 정말로 [평화]군이라고 생각하신다면 뭐...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네요.
kartagra
22/09/06 16: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 서방 국가들은 우크라이나를 쉽게 나토에 가입시켜줄 생각이 전혀 없었습니다.
또한, 명분 따지시는데 '명분'을 놓고 보면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든 eu에 가입하든 그건 주권국가의 자율적인 행동이므로 러시아가 침공할 '명분'이 되지 못합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소유권'은 그리고 우크라이나에 있는 게 명백한데요. 우크라이나가 언제부터 제대로된 소유권도 인정받지 못하는 미승인 국가였죠?

그리고 근본적으로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려 했던 가장 큰 이유는 '러시아' 때문입니다. 유럽은 전쟁을 부추긴 적 없지만, 러시아는 꾸준히 우크라이나를 노려왔습니다. 온갖 뒷공작을 일삼았고(빅토르 유셴코에게 다이옥신 먹인 것의 배후도 러시아로 추정하고 있죠) 그 뒷공작의 결과로 탄생한 게 유로마이단 사태입니다. 그 이후는 크림 강제 합병, 돈바스 내전이었고요. 돈바스 내전 이후에도 '꾸준히' 친절한 러시아 청년들 밀어넣으면서 반군을 지원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전쟁의 책임은 명백히 러시아에게 있을 뿐더러, 러시아가 주장하는 명분은 명분이 되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본인들도 탈나치화 같은 이상한 소리나 하고 있죠. 명분 없는 거 자신들도 아니까요. 그리고 전쟁 터지기 전까지 나토 상태 모르시나 본데, 나토 내 유럽 국가들은 폴란드를 제외하면 죄다 경쟁적으로 군축하고 있었습니다. 나토 탈퇴하냐 마냐 난리치던 국가(대표적으로 프랑스)도 있었고요. 미국 없는 나토는 평화군 역할조차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존재를 의심받던 판국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진 거죠. 이후에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을 천명하면서 나토 동진은 다른 의미로 이루어졌고요. 결국 이 모든 건 우크라이나 영토를 탐내다가 러시아가 명분 없는 전쟁을 일으켜 자폭한 거나 다름없습니다.
척척석사
22/09/06 18:41
수정 아이콘
아니 뭔 회색지대.. 대체 뭘 보고 다니신거에요 주권국가를 회색지대 취급하시네 덜덜
CP Violation
22/09/06 16:44
수정 아이콘
자게로
겨울삼각형
22/09/06 16:54
수정 아이콘
러시아도 지금 다른 경제 제제맞아서 가스 안팔면 돈이 마릅니다.

그동안 안끊은것도 그거 때문이고

이제와서 다시 밸브잠근건,
겨울이 오고 있음
터키, 이란, 중국 등 판로를 찾음

입니다.

유럽국가들이 이제와서(다른 경제 제제 다하고) 왜 밸브잠그냐
해봐야 푸틴은 몰?루 하면 그만입니다.

러시아 푸틴이 밸브로 장난질 친게 최소 십여년인데,
그동안 아무 대책없었던 유럽이 이번 겨울에 그 대가를 치루는것이죠.

물론 올 겨울지나면 유럽도 러시아에만 에너지의존하는걸 바뀔겁니다.
만약 안바꾸면.. 매년 그 비용 지불하겠죠.
타츠야
22/09/06 18:11
수정 아이콘
러시아 푸틴이 밸브로 장난질 친게 최소 십여년인데,
그동안 아무 대책없었던 유럽이 이번 겨울에 그 대가를 치루는것이죠.
-> 여기에 십분 공감합니다. 러시아가 그럴 기미가 안 보인 것도 아니고 실제로 그런 장난 안 친것도 아닌데 정치력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안이하게 생각했죠. 그래서 이미 그만 둔 메르켈을 이걸 주도했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꽤 늘었습니다.
배고픈유학생
22/09/07 08:39
수정 아이콘
이럴거면 왜 물어보셨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422 [질문] 주식 마진거래, 옵션, 선물 등에 관한 책 추천 부탁드려요 멜로1572 24/03/20 1572
170776 [질문] 양방향 차로에서 추월 합법인가요? [13] 멜로6726 23/05/23 6726
167649 [질문] 화물연대 업무개시명령은 인권 침해 아닌가요? [54] 멜로11069 22/12/05 11069
165885 [질문] 현재 유럽과 러시아 가스관 분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 멜로8300 22/09/06 8300
165555 [질문] 유머감각을 후천적 노력으로 키워보신 분 있나요? [8] 멜로6783 22/08/20 6783
161851 [질문] 검색결과에 저작권법이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20] 멜로5542 22/02/19 5542
160952 [질문] 모더나 맞으신 분 질문 [15] 멜로6115 22/01/07 6115
160921 [질문] 부스터샷 맞은지 2일 이후 몸살시 백신휴가 받나요 [12] 멜로6936 22/01/06 6936
160532 [질문] 그 사람을 좋아한다는게 상처가 될 수 있잖아요 [8] 멜로8812 21/12/22 8812
159798 [질문] 1초만 들어도 떠오를만한 외국 영화 브금? [39] 멜로8263 21/11/18 8263
159631 [질문] 내일이 부스터샷 맞는 날인데 몸살이 났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8] 멜로8483 21/11/11 8483
159533 [질문] 20년된 골프채 써도 괜찮은가요? [32] 멜로11470 21/11/06 11470
155243 [질문] 30대 소개팅 하면 당일날 바로 MT 가는 경우가 흔한가요? [71] 멜로33806 21/05/20 33806
152127 [질문] 차량 사고 대인 보험처리 질문 [6] 멜로4859 21/01/17 4859
128180 [질문] 삼성카드 아멕스 골드 연회비 뽑나요? [5] 멜로4014 18/12/15 4014
124570 [질문] 시승하기 좋은 곳? [4] 멜로2361 18/09/09 2361
122189 [질문] 연예인 비공개 SNS 계정에서도 도덕적 의무가 있나요 [39] 멜로4325 18/07/10 4325
122052 [질문] 8월 아시아나 항공 기내식 해결될까요 [10] 멜로2634 18/07/06 2634
120228 [질문] IT 대기업 면접 질문 [23] 멜로3470 18/05/20 3470
107112 [질문] 직장 다닌 이후로 야한 생각이 안납니다 [13] 멜로5479 17/08/12 5479
60715 [질문] [스타1] 안걸리는 맵핵도 있나요? [2] 멜로8964 15/05/25 8964
59674 [질문] 노래 제목 질문 멜로676 15/05/09 676
54749 [질문] [스타1] 테란으로 프로토스 어떻게 상대하죠? [4] 멜로1593 15/02/28 15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