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03 16:30:51
Name TAEYEON
Subject [질문] 여러분 첫 운동은 무엇으로 시작하셨나요?
운동은 완전 잼병인데
나이가 들면서 운동을 해야겠구나 싶은 순간들을 겪기 시작하면서 운동을 시작해보려고 하는데
막상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일 특성상 헬스장 갈 시간적 여유가 없다시피해서 집에서 차근차근해야하는데
앞서 말한대로 운동이 잼병인데다 뭘 시작해야할지 전혀 모를정도로 운동과는 담을 쌓고 살다보니깐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물론 핑계인거 같긴하지만 흐흐

유튜브를 통해서 뭘 정보를 얻으려고 해도 몸이 우락부락한 사람들이 이정도는 쉽죠?하면서 하는데 저한텐 하나도 안쉬워보이는데 ㅜㅜ 완전 개초보(?)가 첨부터 시작할만한 운동은 뭐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2/09/03 16:31
수정 아이콘
전...택견요.
22/09/03 16:40
수정 아이콘
목적이 보기 좋은 몸이면 그냥 pt가 최고라 생각합니다.
건강한 몸이 좋으면 수영이나 필라테스 길게 하시면될 거 같고요
특정 운동이 끌리고 기술적 요소 같은게 재밌으면 그걸 하시면 되고요.

저는 운동 전혀 안 하다가 10년전부터 시작했는데 pt 3달후 클라이밍 수년, 지금은 수영 트리 탔네요.
지금은 거의 중독상태라 코로나때 2년 멈춘거 말고는 내내 운동했고 지금도 하고있고요..
Dončić
22/09/03 16:46
수정 아이콘
아예 운동 시작이 처음이시라면 수영이 제일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영은 진짜 초반 단계에서 내가 느는게 확실히 체감이 되거든요.
니시무라 호노카
22/09/03 16:50
수정 아이콘
저도 수영 못하시면 수영 추천합니다
몸에 무리도 덜가고 전신 유산소 운동에 수영 배우면 가지치기로 할 수 있는 레포츠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쁜 아가씨들도 만.. 아 아닙니다
나를찾아서
22/09/03 16:59
수정 아이콘
저도 운동 잼병인대 요즘 수영이랑 볼링에 취미를 붙였습니다.
특히 수영은 체력도 기를수 있고 운동때 땀 흘려서 생기는 찜찜함도 없는 좋은 운동입니다.
League of Legend
22/09/03 17:04
수정 아이콘
헬스라면 맨몸운동으로 시작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22/09/03 17:05
수정 아이콘
러닝 추천합니다.
별빛다넬
22/09/03 17:08
수정 아이콘
런데이어플
걷기부터 이후 달리기요
22/09/03 17:14
수정 아이콘
센터에서 자전거, 러닝머신, 로잉머신 여러개 건들여 봤는데 자전거가 제일 괜찮았어요 딱히 몸에 걸리는 부하는 없는데 땀은 잘나요
-PgR-매니아
22/09/03 17:14
수정 아이콘
운동 잼병인 제 친구한테도 수영 추천해줬더니 아주 만족하며 잘 다녔습니다

물론 살은 더 쪘습니다만....
페로몬아돌
22/09/03 17:39
수정 아이콘
클라이밍 크크크
윤석열
22/09/03 19:02
수정 아이콘
조건이 되면 수영이 갑 안되면 러닝이 을 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드코어
22/09/03 19:02
수정 아이콘
전 어릴땐 수영 성인이 된뒤에는 킥복싱3개월하고 주짓수로 넘어왔습니다.
22/09/03 19:20
수정 아이콘
이것저것 해봤는데 3달 이상했던건 수영이네요
소이밀크러버
22/09/03 19:22
수정 아이콘
팔굽혀펴기죠
Just do it
22/09/03 21:01
수정 아이콘
쉬운것부터 하세요. 흥미가지는게 1순위죠.
억지로 한다는 생각들면 뭐든 오래 못합니다.
쉽고 재밌어 보이는 거, 사람들과 함께해서 억지로?라도 같이 하게 되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리얼월드
22/09/03 21:05
수정 아이콘
어릴때는 남들과 같이 하는 운동
나이들어서는 고립운동 중입니다 ㅠ
피해망상
22/09/03 21:14
수정 아이콘
PT나 GX 정도인데
GX는 특성상 여자들밖에 거의 없을거라
송운화
22/09/03 21:33
수정 아이콘
집에서 차근차근 하실 수 있는 것으로는 달리기나 아파트 계단오르기가 괜찮습니다.
Meridian
22/09/03 21:49
수정 아이콘
전 첫 운동시작을 유튜브에서 보이는 타바타 트레이닝으로 시작했습니다
개좋은빛살구
22/09/03 21:50
수정 아이콘
저는 걷기요!
니시미야 쇼코
22/09/03 22:40
수정 아이콘
집에서 할 수 있는 턱걸이기구랑 윗몸기구 (공간차지 거의 없음) 구매해서 했습니다.
공인중개사
22/09/03 23:09
수정 아이콘
자전거요
메타몽
22/09/03 23:37
수정 아이콘
좀 여윳돈이 있으시다면 헬스 PT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터넷으로 이것저것 검색해서 인근 헬스장 가서 평생 운동 안해봤다고 하면 맨몸운동부터 기구 사용법 등

운동에 대해 제대로 배우고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저처럼 운동 막 하다가 허리디스크는 발생하지 않을 꺼예요
22/09/04 01:55
수정 아이콘
10~20kg씩 3번 정도 뺐는데.. 한번은 스쿼시, 한번은 달리기와 턱걸이, 한번은 로잉머신으로 했습니다.
뭐가 됐던지간에 관심 있으신 것에 열심히 도전하시는게 어떨까요.
(3번 뺐다는 얘기는 3번 쪘다는 얘기이기도..)
라라 안티포바
22/09/04 02:04
수정 아이콘
걷기나 달리기로 시작했네요. 몸만들기엔 딱히 관심이 없었고, 그냥 살기위해 체력스탯을 올리기 위해서 한거라..
에베레스트
22/09/04 05:52
수정 아이콘
다이어트 처음 할때 그냥 집근처 공원 가서 뛰다 걷다했습니다. 거기있는 운동기구들 좀 하구요. 그러다 그때가 고시촌쪽에 살 때여서 관악산이 가까웠거든요. 그래서 주말은 산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구에서 하는 회관에 수영장이 있는데 거기 하루에 얼마씩내고 하는 자유수영 저렴하더라구요.
그래서 주에 이삼일은 수영했습니다.
22/09/04 21:13
수정 아이콘
스쿼트 러닝 턱걸이 푸시업 이것만 적당히 하셔도 충분
연벽제
22/09/06 08:11
수정 아이콘
푸쉬업+풀업 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924 [질문] 요즘 게임은 어디에 설치하나요..? [17] 오호19059 22/09/08 19059
165923 [질문] 조의금 20만원 내는 것 괜찮을까요? [19] 슬래셔46638 22/09/08 46638
165922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 - Dell Inspiron Vs XPS [14] Titleist12348 22/09/08 12348
165921 [질문] i5 12400 기본쿨러 별로인가요? [12] League of Legend14939 22/09/08 14939
165920 [질문] 이번 추석때 언제 이동하는게 제일 차가 덜막힐까요? [7] 세이밥누님10680 22/09/08 10680
165919 [질문] 자동차 P(파킹)에 해놔도 조금만 경사 있으면 움직이나요?? [23] 아이폰1212946 22/09/08 12946
165918 [질문] (뻘글)우주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전투시 (미래) [6] 틀림과 다름8755 22/09/07 8755
165917 [질문] 노래좀 찾아주세요!(유투브 영상배경음) [2] 알라딘9435 22/09/07 9435
165916 [질문] 서울 대학병원 정형외과선생님 추천부탁드려요 [6] 벗이10260 22/09/07 10260
165915 [질문] 메이저리그 야구장 [10] 葡萄美酒月光杯10295 22/09/07 10295
165914 [질문] 내일 아침 지하철 이용 질문입니다 [7] croissant7993 22/09/07 7993
165913 [질문] 제주도 여행 호텔 - 5성급 vs 4성급 [32] 톤업선크림9886 22/09/07 9886
165912 [질문] 아이폰이 그렇게 좋나요? [44] 라떼는말아야11348 22/09/07 11348
165911 [질문] 비데 렌탈로 쓰시는분 있으신가요? [4] 스물다섯대째뺨10242 22/09/07 10242
165910 [질문] 조부모님의 사실혼 관계를 입증할만한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6] ryush32111718 22/09/07 11718
165909 [질문] 아이폰 13 프로를 사용중입니다. [10] 애플댄스9655 22/09/07 9655
165908 [질문] 가게 개업 선물/관례 질문입니다. [3] dlwlrma7897 22/09/07 7897
165907 [질문] 중과실 교통사고 처리 질문드립니다. [28] 카이멍10734 22/09/07 10734
165906 [질문] (게임)트라이앵글 스트래티지 해보신분들께 질문있습니다. [6] 리얼리스트가9086 22/09/07 9086
165905 [질문] 제 추가 인바디 보시고 분석부탁드립니다! [23] 시오냥11877 22/09/07 11877
165904 [질문]  구글 동기화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해제 하는 방법은 없나요?​ [1] 그때가언제라도9979 22/09/07 9979
165903 [질문] 경제, 재무, 회계 관련 지식 습득하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11] 이리세7953 22/09/07 7953
165902 [질문] [뻘 질문] 한국에서 휴일을 요일 지정으로 할 일은 없을까요? [7] Cand9128 22/09/07 91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