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26 10:37:56
Name 카페알파
Subject [질문] 현재 컴퓨터에서 랜섬웨어가 실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제에 이어 컴퓨터 관련 질문을 또 올리게 되네요.(어제 것은 삭제 예정으로 올린 거라 지웠습니다.)

만일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에서 랜섬웨어가 돌아가는 것이 확인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전에는 일단 더 이상의 진행을 막기 위해 전선을 뽑아서라도 컴퓨터 전원을 끄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얼마 전 공공기관에서 주의 당부 문자가 와서 보니 내용 중에 컴퓨터 전원은 꺼지지 않게 유지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부팅 자체가 불가능해진다는 경우가 있다면서요.

두 개의 대응이 완전히 반대인데, 어떻게 하는 게 맞는 건가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어떻게든 전원을 꺼버리는 게 맞는 것 같긴 한데...... 부팅이야 안전 부팅을 하거나 정 안 되면 USB 등 외부장치를 이용한 부팅을 하면 되니까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셧업말포이
22/08/26 10:41
수정 아이콘
즉시 전원 끄는 게 맞습니다.
22/08/26 10:43
수정 아이콘
당장 끄고, 저장장치 빼서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서 데이터만 살리고, 포맷.
이미 암호화된 데이터는 버리고.
이게 가장 확실하지 않을까요?
리얼월드
22/08/26 10:53
수정 아이콘
혹시 이러면 연결과정에서 다른 컴퓨터는 안전한가요?
22/08/26 10:58
수정 아이콘
랜섬웨어가 있는 하드로 부팅하거나, 랜섬웨어가 심어진 프로그램을 실행만 안하면 될겁니다.
다른 컴퓨터에 단순히 외장하드처럼 연결하는 것으로 랜섬웨어가 자동으로 활성화 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생길거라고는 상상하기 어렵네요.
22/08/26 10: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랜섬웨어 감염 여부 상관없이 컴퓨터를 강제 종료하는 경우 이상이 생길 수 있으니깐요.

그리고 전원 끌 필요없이 바로 재부팅해서 PE나 안전 모드로 부팅해서 치료하면 되지요.

강제로 전원 끄고 다시 컴퓨터를 켜서 안전 모드 가는거나 지금 바로 재부팅해서 안전 모드 가는거나 어차피 똑같은데

전자는 윈도우가 깨지는 등의 위험성이 있고 전원을 다시 켜야 되서 귀찮죠.
항구의토끼
22/08/26 11:24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랜섬웨어는 부팅파일은 잘 안건드립니다.
부팅은 되어야 해당 연락처로 돈보내라고 공지(?) 해줄 수 있거든요.
부팅파일까지 건드리는건 진짜 상대 컴 작살내려고 하는 악질인데 그건 뭐 케바케입니다.
걸려서 뭔가 돌아가고 있다 싶으면 바로 전원끄는게 낫습니다. 전원 누르고 재시작 누르는 그 시간동안에도 나의 소중한 파일들이 바뀌고 있거든요.
돈 준다고 풀어준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걸렸다 싶으면 살릴 수 있는 거 살리고 해당 디스크 포맷하는게 속편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897 [질문] 베이비페어 많이 싼가요? [22] 교자만두11493 22/09/06 11493
165896 [질문] KT 5G 요금제로 해외 나갈시 로밍 관련 질문입니다. [6] 다이어트12682 22/09/06 12682
165895 [질문] 애플tv 4k 셋톱박스 쓰시는 분 계신가요? [4] 인생은서른부터10765 22/09/06 10765
165894 [질문] 아이스라떼 만들 때... [6] 나혼자만레벨업9857 22/09/06 9857
165893 [질문] 추석 서울역 주차 가능할까요? [8] 아랫길11098 22/09/06 11098
165892 [질문] 조립컴퓨터 초기 세팅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16] Restar16734 22/09/06 16734
165891 [질문] 서해안 워크숍 장소 질문입니다. [4] 보급보급12079 22/09/06 12079
165890 [질문] 스마일라식 vs 라섹 [11] Nightwish12429 22/09/06 12429
165889 [질문] asus 노트북 충전 관련 [7] 백년후 당신에게9233 22/09/06 9233
165888 [질문] 오토캐드 인쇄 관련 질문입니다. [4] 허성민10036 22/09/06 10036
165887 [질문] 백화점 명품 브랜드 매장은 그냥 가도 괜찮나요? [42] 행복을 찾아서15771 22/09/06 15771
165886 [질문] 플스5용 tv 뭐가좋을까요? [17] 알리스타10621 22/09/06 10621
165885 [질문] 현재 유럽과 러시아 가스관 분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 멜로11025 22/09/06 11025
165884 [질문] 프리미어리그 레플 관련 질문이요 [4] SaiNT11268 22/09/06 11268
165883 [질문] 스마트푼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5] 내우편함안에8592 22/09/06 8592
165882 [질문] 추석 장거리 운전 초보 질문 [32] 일신11114 22/09/06 11114
165881 [질문] 고어 영화라고 하나요? 기괴한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레너블11463 22/09/06 11463
165880 [질문] 댓글 전부읽기 해버리면 댓글창 어떻게보나요? [7] 제드9678 22/09/06 9678
165879 [질문] 급 해외여행 장소 추천해주세요 [16] 대통령12204 22/09/06 12204
165878 [질문] 당도 낮은 시리얼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Anabolic_Syn11093 22/09/05 11093
165876 [질문] 대형 티비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13] 그린티미스트10765 22/09/05 10765
165875 [질문] 남여 결혼하지 않는 이유? [2] 12475 22/09/05 12475
165874 [질문] 엑셀 질문입니다. [4] Lissac10127 22/09/05 101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