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08 13:58:19
Name 로즈마리
Subject [질문] 요즘 집들은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 가 안방에 있을까요?
제가 내년초에 육아휴직에서 복귀할 예정이라
회사근처로 이사를 하려고 집을 알아보고 있는데요.
준공 5년이내 신축들은 대부분 발코니가 안방에 있네요.
거실은 발코니 확장을 해서 그런걸까요?
그럼 차라리 안방발코니를 확장하고 거실은 그대로 유지했으면 좋으련만...
거실발코니를 선호하다보니  대형평수나 구축 외에는 선택지가 없는데 대형평수는 예산이 부족하고...이번에도 구축을 가고싶진 않아서...참 고민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8 14:03
수정 아이콘
제가 이번에 가본 모델하우스도 다른 방과 거실은 다 확장돼 있는데
안방만 발코니가 있더라고요. 거기서 안내하는 직원이 안방 발코니는 없앨 수 없다고 답을 해줬습니다.
법적으로 안 된다는 건지 옵션으로 없다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22/08/08 14: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대로 발코니 확장을 한 아파트들은 정말 1도 빠짐없이 안방 발코니만 남아 있을 겁니다.
거실에 발코니가 남아있으려면 아예 발코니 확장을 안한 아파트를 찾으셔야 할텐데 요즘 신축들은 확장이 기본일거라..... 찾기 쉽지 않으실거 같네요
회색사과
22/08/08 14:05
수정 아이콘
우선 발코니 하나는 무조건 대피공간으로 남겨두라는 법이 먼저 생겼고 (이시기 확장한 아파트는 제일 작은 방 발코니를 남겨둡니다)

그 이후에 안방 발코니를 남기라고 변경되었을 겁니다.

그래서 최근 아파트는 안방 발코니가 무조건 있습니다.

신축인데 거실 발코니를 희망하시면 확장 안한 집을 찾으셔야 할거에요
콘칩콘치즈
22/08/08 14:09
수정 아이콘
저희집도 신축인데 안방베란다랑 실외기실이 연결되어있어 그쪽 확장이 안되더라고요. 나머지 방 거실 주방은 모두 확장인데
하우두유두
22/08/08 14:11
수정 아이콘
이사갈 아파트는 작은방 발코니네요..
22/08/08 14:16
수정 아이콘
최근 신축 트렌드가 말씀하신 2016이내 아파트들이면 거실은 최대한 넓게 쓰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거실을 확장 안하면 상태가 이상할 정도로 잉여한 느낌의 집을 만들어버리는 설계구조기도 합니다.

아예 대형평수급의 40평대로 가시면 확장 안해도 거실이 충분히 괜찮겠지만, 그게 아닌 24평형대는 거실확장을 안하면 집 자체가 어? 스러울 수 있게 구조 자체가 그런 느낌이 있습니다. 아예 분양가는 낮게 놓고, 옵션에 가격 겁나 태웠는데 옵션 안하면 이상한 경우들도 꽤 있었습니다.

신축급들로 가실 생각이라면 직접 거실 발코니 분리를 고려해보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근데 대형평수 안하실거면 아마 왠만한 집들은 발코니를 원복 형태로 맞춰낸다고 해도 답이 안나오실거에요.
Grateful Days~
22/08/08 16:54
수정 아이콘
신축은 확장을 기본으로해서 안한데가 거의 없을겁니다. 그냥 안방발코니를 거실발코니처럼 쓰시는게 어떠실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411 [질문] 옛날 책을 찾는 방법이 있을까요 [5] 앙몬드6932 22/08/11 6932
165410 [질문] hdmi, dp 모니터 연결 질문입니다. [2] 탱탱구6658 22/08/11 6658
165409 [질문] 4인가정 TV+인터넷비 어느정도 나오시나요? [12] 구리사는너구리6793 22/08/11 6793
165408 [질문] 부동산 포털이름(상호명) 아이디어 부탁드립니다 [20] 육일남4531 22/08/11 4531
165407 [질문] 서울에서 2명이서 예산 20만원 한도로 최고의 맛집을 간다면? [22] 요들9536 22/08/11 9536
165406 [삭제예정] 갤럭시 사용이유..? [64] 아이코어8866 22/08/11 8866
165405 [질문] 전세보증보험 질문입니다. [4] 쪼아저씨4507 22/08/11 4507
165404 [질문] 애플페이가 현재 MST/IC카드식 카드결제보다 어떤게 더 좋나요? [17] Ainstein5646 22/08/11 5646
165403 [질문] 중고차 구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31] Daniel Plainview8439 22/08/11 8439
165402 [질문] 아이폰, 애플워치 기상알람 안 울림 겪어보신 분 계신가요? [4] 농심신라면7096 22/08/11 7096
165401 [질문] 어제 샌드박스 vs T1전 질문입니다 [11] seotaiji7233 22/08/11 7233
165400 [질문] 피마새, 눈마새 재밌나요? [28] 햇여리9107 22/08/11 9107
165399 [질문] qcy 이어폰 어떤 시리즈가 좋을까요? [23] 기억의습작8909 22/08/10 8909
165398 [질문] 만년필이 고장난 걸까요? [8] 멋진신세계7693 22/08/10 7693
165397 [질문] 자동차 수리 후.. [15] 허니띠5517 22/08/10 5517
165396 [질문] 하스스톤 정규전 사제 카드 관련 질문입니다. [6] Alynna3111 22/08/10 3111
165395 [질문] 장기간 집을 비워야 할때 어떤 부분을 신경써야 할까요? [11] SaiNT9891 22/08/10 9891
165394 [질문] 주택담보대출 대출상환 질문입니다. [3] 갈릭반핫양념반4251 22/08/10 4251
165393 [질문] 운행중인 차종이 어떻게 되시나요? [85] 껌정10248 22/08/10 10248
165392 [질문] 가방냄새 제거 방법... [10] 윤하손파이8215 22/08/10 8215
165391 [질문] 서울 역세권 아파트 전세보증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7] 목캔디7412 22/08/10 7412
165390 [질문] 에어리즘이랑 다른 spa브랜드 쿨언더웨어랑 퀄리티 차이가 많이 나나요? [5] Ainstein6282 22/08/10 6282
165389 [질문] 공공기관 문서를 PDF로 저장할 수 있는 유틸리티를 찾습니다. [5] Aiurr6858 22/08/10 68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