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08 11:39:17
Name 보리차
Subject [질문] 내집마련 이후의 재테크 트리는 뭘까요?
올해부로 드디어 집 대출이 끝납니다!
그동안 집값이 오르긴 했지만 어차피 실거주고 초품아라서 앞으로 10년정도? 이사계획은 없을 거 같습니다.

결혼하고 몇년간 집 대출금와 생활비를 내고 있어서 이후의 재테크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근데 이제 2세도 곧 태어나니 앞으로의 재테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되더라구요.
서울이라 부동산을 하나 더 살 수도 없고.. 남편 말로는 요새 종종 경기도 땅을 보고 있다던데 아이쇼핑 개념인 듯 해요.

인생 선배님들의 말씀을 듣고 싶네요. 흐흐.
혹여나 아이를 낳으면 대출금이 그대로 육아비용에 들어간다는 등의 팁도 괜찮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아킨
22/08/08 11:42
수정 아이콘
저는 대출도 남았고 아파트 조건도 별로라서.. 바로 갈아타기 생각중입니다
메타몽
22/08/08 11:43
수정 아이콘
아이가 곧 태어난다면 추가 재테크 하기가 쉽지 않을 껍니다

언제 어떻게 돈이 필요할지 모르니 안정적인 곳에 투자하는게 좋아 보이네요

요즘 기준금리가 올랐으니 예적금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몽키매직
22/08/08 11:55
수정 아이콘
자산의 100% 가 부동산이시고 현금이 0 에 가까우면 현금 확보가 우선입니다.
현금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긴 하지만, 이미 자산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최소한의 완충 역할을 할 현금 확보가 필수입니다.
22/08/08 12:08
수정 아이콘
달러나 좀 사놓으세요
Grateful Days~
22/08/08 13:31
수정 아이콘
예적금후 갭투자 혹은 예적금후 갈아타기.
StayAway
22/08/08 13:34
수정 아이콘
가능하다면 상급지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죠.
아무래도 대세하락기가 오면 변두리보다는 중심지가 덜 떨어지는 법이라..
회색사과
22/08/08 14:14
수정 아이콘
보통은 재테크에 자신 없으시면 새로 빚 내서 더큰집 상급지로 갔었죠.

근데 요새는 금리가 올라서… 어느게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꿈트리
22/08/08 15:07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IRP or ISA 계좌로 S&P500, 나스닥100 같은 지수추종 주식 추천합니다.
22/08/08 16:00
수정 아이콘
1. 더 좋은 주택으로 갈아타기
2. 주택 추가 매입(명의 분산 필수)
3. 상업용 부동산 (상가, 지산 등)
4. 국내 주식 (지수, 종목)
5. 해외 주식 (지수, 종목)
6. 채권 (10년물 국고채 한국 혹은 미국)
7. 비트코인

크게는 이 정도가 있을것 같고, 여기 없는건 리스크가 높아사 개인적으로 안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 어떤걸 할지는 전적으로 본인 선택이고, 정답이 없죠..
별빛다넬
22/08/08 17:37
수정 아이콘
상급지 갈아타기, 2주택자 되기 중에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직장인이 1주택만으로 자산 상승은 한계가 있어요.
최소 2주택은 된 이후에, 다주택자 갈지, 다른 투자할지 고민해보는게 좋다고 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407 [질문] 서울에서 2명이서 예산 20만원 한도로 최고의 맛집을 간다면? [22] 요들9534 22/08/11 9534
165406 [삭제예정] 갤럭시 사용이유..? [64] 아이코어8863 22/08/11 8863
165405 [질문] 전세보증보험 질문입니다. [4] 쪼아저씨4506 22/08/11 4506
165404 [질문] 애플페이가 현재 MST/IC카드식 카드결제보다 어떤게 더 좋나요? [17] Ainstein5646 22/08/11 5646
165403 [질문] 중고차 구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31] Daniel Plainview8435 22/08/11 8435
165402 [질문] 아이폰, 애플워치 기상알람 안 울림 겪어보신 분 계신가요? [4] 농심신라면7094 22/08/11 7094
165401 [질문] 어제 샌드박스 vs T1전 질문입니다 [11] seotaiji7232 22/08/11 7232
165400 [질문] 피마새, 눈마새 재밌나요? [28] 햇여리9105 22/08/11 9105
165399 [질문] qcy 이어폰 어떤 시리즈가 좋을까요? [23] 기억의습작8907 22/08/10 8907
165398 [질문] 만년필이 고장난 걸까요? [8] 멋진신세계7689 22/08/10 7689
165397 [질문] 자동차 수리 후.. [15] 허니띠5516 22/08/10 5516
165396 [질문] 하스스톤 정규전 사제 카드 관련 질문입니다. [6] Alynna3109 22/08/10 3109
165395 [질문] 장기간 집을 비워야 할때 어떤 부분을 신경써야 할까요? [11] SaiNT9888 22/08/10 9888
165394 [질문] 주택담보대출 대출상환 질문입니다. [3] 갈릭반핫양념반4251 22/08/10 4251
165393 [질문] 운행중인 차종이 어떻게 되시나요? [85] 껌정10244 22/08/10 10244
165392 [질문] 가방냄새 제거 방법... [10] 윤하손파이8215 22/08/10 8215
165391 [질문] 서울 역세권 아파트 전세보증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7] 목캔디7410 22/08/10 7410
165390 [질문] 에어리즘이랑 다른 spa브랜드 쿨언더웨어랑 퀄리티 차이가 많이 나나요? [5] Ainstein6279 22/08/10 6279
165389 [질문] 공공기관 문서를 PDF로 저장할 수 있는 유틸리티를 찾습니다. [5] Aiurr6857 22/08/10 6857
165388 [질문] 자동차 접촉사고 과실 관련 질문입니다. [14] bettersuweet7229 22/08/10 7229
165387 [질문] 독일 출장 가는데 맛집 추천해주세요. [14] 42년모솔탈출한다6682 22/08/10 6682
165386 [질문] 3D 360 VR영상 검색 팁이 있을까요? [6] 카오루7147 22/08/10 7147
165385 [질문] 용산 아맥 자리질문입니다. [2] 핸드레이크4973 22/08/10 49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