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08 11:39:17
Name 보리차
Subject [질문] 내집마련 이후의 재테크 트리는 뭘까요?
올해부로 드디어 집 대출이 끝납니다!
그동안 집값이 오르긴 했지만 어차피 실거주고 초품아라서 앞으로 10년정도? 이사계획은 없을 거 같습니다.

결혼하고 몇년간 집 대출금와 생활비를 내고 있어서 이후의 재테크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근데 이제 2세도 곧 태어나니 앞으로의 재테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되더라구요.
서울이라 부동산을 하나 더 살 수도 없고.. 남편 말로는 요새 종종 경기도 땅을 보고 있다던데 아이쇼핑 개념인 듯 해요.

인생 선배님들의 말씀을 듣고 싶네요. 흐흐.
혹여나 아이를 낳으면 대출금이 그대로 육아비용에 들어간다는 등의 팁도 괜찮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아킨
22/08/08 11:42
수정 아이콘
저는 대출도 남았고 아파트 조건도 별로라서.. 바로 갈아타기 생각중입니다
메타몽
22/08/08 11:43
수정 아이콘
아이가 곧 태어난다면 추가 재테크 하기가 쉽지 않을 껍니다

언제 어떻게 돈이 필요할지 모르니 안정적인 곳에 투자하는게 좋아 보이네요

요즘 기준금리가 올랐으니 예적금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몽키매직
22/08/08 11:55
수정 아이콘
자산의 100% 가 부동산이시고 현금이 0 에 가까우면 현금 확보가 우선입니다.
현금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긴 하지만, 이미 자산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최소한의 완충 역할을 할 현금 확보가 필수입니다.
22/08/08 12:08
수정 아이콘
달러나 좀 사놓으세요
Grateful Days~
22/08/08 13:31
수정 아이콘
예적금후 갭투자 혹은 예적금후 갈아타기.
StayAway
22/08/08 13:34
수정 아이콘
가능하다면 상급지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죠.
아무래도 대세하락기가 오면 변두리보다는 중심지가 덜 떨어지는 법이라..
회색사과
22/08/08 14:14
수정 아이콘
보통은 재테크에 자신 없으시면 새로 빚 내서 더큰집 상급지로 갔었죠.

근데 요새는 금리가 올라서… 어느게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꿈트리
22/08/08 15:07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IRP or ISA 계좌로 S&P500, 나스닥100 같은 지수추종 주식 추천합니다.
22/08/08 16:00
수정 아이콘
1. 더 좋은 주택으로 갈아타기
2. 주택 추가 매입(명의 분산 필수)
3. 상업용 부동산 (상가, 지산 등)
4. 국내 주식 (지수, 종목)
5. 해외 주식 (지수, 종목)
6. 채권 (10년물 국고채 한국 혹은 미국)
7. 비트코인

크게는 이 정도가 있을것 같고, 여기 없는건 리스크가 높아사 개인적으로 안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 어떤걸 할지는 전적으로 본인 선택이고, 정답이 없죠..
별빛다넬
22/08/08 17:37
수정 아이콘
상급지 갈아타기, 2주택자 되기 중에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직장인이 1주택만으로 자산 상승은 한계가 있어요.
최소 2주택은 된 이후에, 다주택자 갈지, 다른 투자할지 고민해보는게 좋다고 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387 [질문] 독일 출장 가는데 맛집 추천해주세요. [14] 42년모솔탈출한다6664 22/08/10 6664
165386 [질문] 3D 360 VR영상 검색 팁이 있을까요? [6] 카오루7132 22/08/10 7132
165385 [질문] 용산 아맥 자리질문입니다. [2] 핸드레이크4959 22/08/10 4959
165384 [질문] 상시차선정보를 제공하는 핸드폰 네비게이션이 있을까요? [10] Klopp8366 22/08/10 8366
165383 [질문] 호우 특보인 충청도 지역 워터파크에 놀러가는 것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프라임에듀5832 22/08/10 5832
165382 [질문] 제 인바디 보시고 분석 부탁드립니다! [20] 시오냥10651 22/08/10 10651
165381 [질문] 자동차 보험 질문입니다.(첫가입) [1] 교자만두7573 22/08/10 7573
165380 [질문] 유리 소분병을 찾습니다 [1] 깐딩3795 22/08/10 3795
165379 [질문] 임진왜란 당시 부산에 일본식 성이 지어진건가요? [8] Lainworks10143 22/08/10 10143
165378 [질문] 고소관련 변호사 선임 질문입니다 [2] 파건4891 22/08/10 4891
165376 [질문] 예전에 봤던 일본영화 제목이 생각안나네요 [3] 모노레드5839 22/08/10 5839
165375 [질문] 중소 tv 뭐가 좋을까요? [4] 살다보니별일이7074 22/08/10 7074
165374 [삭제예정] 연봉조금깎인 이직 괜찮을까요?? [27] 삭제됨11167 22/08/10 11167
165373 [질문] 의무 방어전 하고 계신가요? [12] 뚱이10720 22/08/10 10720
165372 [질문] 노트용으로 사용할 가성비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스웨트8574 22/08/10 8574
165371 [질문] 한국은 기업농 도입 가능성이 없을까요? [2] 비온날흙비린내8680 22/08/10 8680
165370 [질문] 인생 첫 부산여행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Limepale7911 22/08/10 7911
165369 [질문] 10년전 토익 600이 다시 한번 토익에 도전해야합니다 [5] EZrock8388 22/08/10 8388
165368 [질문] 전세 이사 시점 결정 [4] L.Modric6878 22/08/09 6878
165367 [질문] 이게 cpu 쿨러가 없는건가요? [25] 카오루9119 22/08/09 9119
165366 [질문] 캔커피는 왜 달까요? [30] 한우균일가10741 22/08/09 10741
165365 [삭제예정] 비개발군 인력 이직 시 포트폴리오 제출이 필수적일까요? [4] 삭제됨6184 22/08/09 6184
165364 [질문] 전세권 등기부 관련 문의드립니다 [2] 여행3972 22/08/09 39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