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30 15:43:33
Name Restar
Subject [질문] 전세대출에 대해서 몇가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어.. 원래는 전세후 매매를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투기지역 해제가 안되는 바람에 깔끔히 없던일이 될것 같습니다..
생애첫주택 이런걸로 억지쓰면 불가능하진 않을것같은데, 그렇게까지는 안될것같고 (....)


그래서인데, 전세대출 연장에 대해서 좀 여쭤보고 싶습니다.
집주인은 아무래도 매매가 성립되면 전세를 빼주고 싶어하는것 같은데, 요즘 이지역에 매매물량이 많아서 집주인이 쉽게 집을 팔 수는 없을것 같거든요. (.....)
그런데 매매 안되면 아무래도 전세를 안빼줄것 같아서  (....)

그래서 좀 질문드려봅니다.

은행에서 물어봤을때, 전세대출 연장같은 경우는 집주인과 '새로 연장하는 기간'을 정해서 그 기간만큼 대출연장이 가능한 구조더라고요.

1. 예를 들어서, 전세기간 연장을 10월30일까지로 잡고 은행에서 그렇게 대출연장을 한 상황에서.. 집주인이 새로운 매수자를 못구해서 전세를 못빼준다고 할 경우가 된다면 은행대출은 어떻게 처리되는 건가요?

2. 전세대출 같은거 기간연장이 10월 30일까지로 하고 대출연장을 했는데, 매수가 빨리 진행되서 8월 30일쯤에 매수자를 구하고 전세를 빼야한다고 하면, 은행에 위약금을 따로 내야하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30 16:24
수정 아이콘
1. 은행대출이 회수가 안되면 연체가 되는 상황이 되는거로 기억합니다. 친구가 그 부분때문에 꽤 머리 아파했었습니다.
계약갱신등으로 만기일 연장을 하던가 했었어야 하는데 그게 아니어서 좀 복잡해졌던거로 기억합니다.

2. 잔여대출기간이 10/30인데, 8/30쯤에 전세를 마치고 나오셨으면 그 돈을 최대한 빨리 은행에 귀속시키셔도 되는데, 안해도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제가 실제로 그 예제에 껴있었는데 (심지어 기간도 유사) 저는 그냥 받아서 대충 2-3일쯤 뒀다가 은행에 그냥 다 조기상환조치 했습니다 (이자 줄일겸)

은행에서 너 전세 끝난거 아니까 돈갚으세요 연락같은건 안왔어요. 오히려 그냥 계약상의 만기일까지 돈 들고 있어도 되지 않았을까 싶은데 들고 있으면 따갚돼같은 무서운 짓을 할까봐 빨리 치웠죠..
22/06/30 16:28
수정 아이콘
아항. 그렇네요. 돈을 일찍 받으면 어차피 은행에만 갚으면 되니까 2번상황은 걱정할 필요가 없는거군요 (...)

1번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최대한 은행대출을 길게 가져가도록 협상해야겠군요. 1번상황만 주의하면 되겠네요..
22/06/30 16:28
수정 아이콘
폰으로 쓰는거라 길게 쓰기가 어렵네요. 간단히 쓰자면

1번 상황에서는 재연장해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집주인이랑 협의 후 넉넉한 기간으로 대출연장을 하고, 돈 받으면 조기상환 하면 됩니다.

2번의 경우, 중도상환수수료가 대출 실행일로부터 3년 이후이거나 만기 3개월 남았을때는 면제입니다. 따라서 예시로 들어주신 경우라면 따로 위약금 등이 없습니다.
22/06/30 16:58
수정 아이콘
음.. 대출연장 기간 자체를 넉넉히 잡아야 하는군요. 집주인이 집팔기 쉽지 않아보여서, 나가기도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

그리고 예전에는 대출 그냥 일찍 갚으면 좋은거 아닌가? 했었는데 중도상환수수료라는게 있다는걸 알게된 다음부터는 좀 조심스러워지더라고요. 말씀해주신 면제조건을 잘 기억해놔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585 [질문] 주말에 서울에 남자 둘이서 갈 만 한 곳 없을까요? [12] 귀여운호랑이10820 22/07/02 10820
164584 [질문] (긴급)용산vs왕십리 cgv 4dx [6] Chandler9953 22/07/01 9953
164583 [질문] 이직 검토 중인데 완전 5대5라 고민 중입니다. 어떻게 할까요 [19] sowhat8895 22/07/01 8895
164582 [삭제예정] 차용증이 있는 채무금을 상환 못 받았을때 조치가 궁금합니다. [8] 삭제됨10984 22/07/01 10984
164581 [질문] 헬창 여러분 입장해주세요 (더플백 vs백팩) [9] 소믈리에8747 22/07/01 8747
164580 [질문] 청년 적금 추천부탁드립니다. [1] Cherish5443 22/07/01 5443
164579 [질문] 삼성 코엑스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유유할때유4637 22/07/01 4637
164578 [질문] 침실에 전기 콘센트 부족 문제 [10] 호아킨6610 22/07/01 6610
164577 [질문] 옛날 게임 이름을 찾고 있습니다 [4] Lavigne7199 22/07/01 7199
164576 [질문] 요즘도 주위에 코로나 걸린 사람 있나요? [16] goldfish6567 22/07/01 6567
164575 [질문] 해외여행 중 핸드폰 구입 시 [7] Endor4902 22/07/01 4902
164574 [질문] 에버랜드 1박 2일 동안 아이와 함께 어떻게 놀아야 할까요? [30] Enrod7898 22/07/01 7898
164573 [질문] 게임을 찾습니다. [26] 보급보급6481 22/07/01 6481
164572 [질문] 나치의 침공 이후 폴란드에서 비유대인의 삶은 어땠을까요? [5] 질문쟁이5246 22/07/01 5246
164571 [질문] 다음 카카오톡 통합로그인 문제 [9] 쇄빙5832 22/07/01 5832
164570 [질문] 자율주행의 안드로이드는 누가 될까요? [7] VictoryFood5558 22/07/01 5558
164569 [질문] 완전자율주행 vs 완벽한 메타버스 구현 [13] AKbizs4259 22/07/01 4259
164568 [삭제예정] 인천사시는분들 한번만 봐주세요! [1] 삭제됨5900 22/07/01 5900
164567 [질문] 시스템에어컨 수리 관련 (사설 vs 공식) [8] smalltalk4321 22/07/01 4321
164566 [질문] 실손보험료가 많이 올랐는데 유지해야 할까요? [5] 막나가자4804 22/07/01 4804
164565 [질문] 런닝 4km정도면 사이클로는 몇km 간건가요? [10] 파란무테8007 22/07/01 8007
164564 [질문] 초등학생 볼 만화책 삼국지 추천해주세요 [6] 파란무테5209 22/07/01 5209
164563 [질문] GTA5하고 레데리2 둘 다 해보신 분들 질문입니다 [8] 샤르미에티미6828 22/07/01 68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