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26 19:24:46
Name 아구아구쩝쩝
Subject [삭제예정] 현재 중견기업 재직중인데 이직 vs공기업 준비 vs 공무원 준비 고민됩니다.
중견 대졸 신입사원인데요.
도저히 만족이 안되서 여길 오래 다니진 못할것 같아요.
근데 퇴근하고 더 좋은 사기업에 이력서 넣으면서 자격증 따기를 하거나 공기업 시험준비를 하거나
공무원 시험준비를 하거나
하나만 가능해서요
너무 고민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26 19:41
수정 아이콘
9급 공무원은 별로입니다...
아구아구쩝쩝
22/06/26 19:57
수정 아이콘
이유 여쭤봐도 될까요?
22/06/26 20:00
수정 아이콘
공무원 연금도 박살났고, 9급공무원의 급여도 많지않은 편이며 공무원이라고 워라벨이 정확하게 지켜지지도 않더라구요.
제 주위에서도 9급 시험 붙었다가 몇년하고 때려치고 다시 사기업다니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구아구쩝쩝
22/06/26 20:46
수정 아이콘
공무원에서 사기업으로 가기도 하는군요.
페로몬아돌
22/06/26 19:41
수정 아이콘
Ncs 공부해보면 스스로에게 얼추 답 나옵니다. 공무원 공부보다 좀 더 재능?의 영역이라
너의 모든 것
22/06/26 20:04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구리다고 생각하구요 대기업에서 공기업간 친구들 월급 반토막 나긴 했는데 그래도 웬만큼은 만족하는 것 같습니다. 글쓴이가 만족이 안 되는 이유가 중요할 듯
아구아구쩝쩝
22/06/26 20:19
수정 아이콘
기업의 네임벨류, 근속년수, 임금 상승율 등 입니다.
SAS Tony Parker
22/06/26 20:30
수정 아이콘
이러면 대기업 노리셔야죠
별빛다넬
22/06/26 21:41
수정 아이콘
사유가 이거면 대기업 말고는 만족 못하실텐데요
피해망상
22/06/26 20: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수는 공기업도 많이 박살이 났고 지방근무의 부담은 심해서 정말 대안일지는 생각 많이해보셔야 할듯 합니다.
22/06/26 20:14
수정 아이콘
지방(오지까지 포함한 개념입니다.) 근무에 거부감 없다면 공기업이 괜찮은 선택이긴 한데, 윗분 말처럼 일단 NCS 공부 한번 해보면 답 나오지 싶습니다.
22/06/26 20:15
수정 아이콘
공기업이야 뭐 그렇다쳐도 9급 시험하느니 걍 더 뽑기 잘걸리길 바라면서 이직하십쇼..중소도 아니고 중견이면.
아구아구쩝쩝
22/06/26 20:45
수정 아이콘
세대차이인지
부모님은 공무원 선호도가 상당하시네요. Imf 겪으셔서 그런지
League of Legend
22/06/26 20:40
수정 아이콘
고르라고 하신다면 이직이나 공기업 준비 할 것 같습니다 ~
22/06/26 20:50
수정 아이콘
이유가 경제적 이유라면 스테이.. 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공기업도 메이저급 아니면...
22/06/26 21:09
수정 아이콘
행정직이고 공공기관 근무가 아니라면 경력 인정 받기 힘들테고.. 군대 2년해서 9급 3호봉으로 시작하면 세금 때고나면 실수령 170~180 나올걸요? 합격여부는 둘째 치고 괜찮으시겠습니까..
Dr.박부장
22/06/26 21:15
수정 아이콘
경험상 공무원, 공기업 좋은 시대는 끝이 났다고 보입니다. 공공부문의 단점이 장점을 상쇄시키고도 남아 보입니다. 급여는 점점 비교도 안 되어 가고 있네요. 시대가 많이 변했음을 느낍니다.
22/06/26 21:38
수정 아이콘
지금 공기업쪽도 급여가 공무원까지는 아니라도 메리트가 빠지고있는게 맞아서 판단이 사실 어렵습니다. 그나마 밸런스가 제일 나아보이는게 공기업이긴 하거든요.
민트초코우유
22/06/26 21:39
수정 아이콘
공기업 공무원은 사실상 사양산업이라....무조건 대기업
22/06/26 21:54
수정 아이콘
중견에서 공무원은 아무리 잘쳐줘도 옆그레이드고 대부분 다운그레이드일 듯요
아이폰텐
22/06/26 22:40
수정 아이콘
공기업은 돈 생각하면 비추고요
대기업에서 공기업 간 사람들 대체로 만족하는 이유가 연봉 반토막 나도 자기 인생이 있어서 그런거죠 뭐
대보름
22/06/26 22:51
수정 아이콘
공사중에서도 급여가 높은 곳이 있지만 입사난이도가 매우 높죠. 공무원, 공기업은 원래 정년보장, 워라벨 보고 가는 곳인데 ,최근에는 업종에 따라서 사기업보다 워라벨이 안좋은 곳이 많습니다. 말씀하신 이유로는 경력과 실력을 쌓아서 대기업이나 더 나은 중견기업으로 이직이 좋아보입니다.
유유할때유
22/06/27 15:13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안좋아진지 오래인거 같고
공기업도 점점 팍팍해질것 같은데
준비한다면 대기업이 어떠실지
소시민
22/06/28 08:55
수정 아이콘
현재 대졸 신입 1년미만이시면 대기업 노려보시는걸 추천합니다. 공무원은 7급이상 1년 내 합격 가능하지 않으면 비추, 공기업은 대기업 우선 들어가보시고 이직해도 늦지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220 [삭제예정] 롤파크 좌석 교환 관련 질문 [3] 박민하7216 22/08/02 7216
165202 [삭제예정] 편한 어머니 신발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시은5825 22/08/02 5825
165201 [삭제예정] . [9] 삭제됨4592 22/08/02 4592
165187 [삭제예정] 코로나 양성판정관련 질문입니다. [3] 삭제됨6248 22/08/01 6248
165131 [삭제예정] 법률 관련 질문) 가족이 없는 분의 재산 증여? 상속? 관련 질문입니다 [6] LG의심장박용택6217 22/07/29 6217
165110 [삭제예정] 제 자리에 웹캠을 이용한 CCTV 설치 [13] 재가입6825 22/07/28 6825
165103 [삭제예정] 주말에 소개팅이 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삭제됨7962 22/07/28 7962
165060 [삭제예정] 마이너스 통장으로 몇년 살아도 문제 없을까요? [10] grrrill5511 22/07/26 5511
165054 [삭제예정] 장거리 연애가 될 연애를 시작하는게 맞을까요? [18] 삭제됨6001 22/07/26 6001
165035 [삭제예정] 이별 참 힘드네요. 원래 후유증이 이렇게 긴가요..? [19] 까만고양이8147 22/07/25 8147
165022 [삭제예정] 잠실 소개팅 질문입니다. [12] 보급보급6166 22/07/25 6166
164986 [삭제예정] 비가 예정되어있는 날 세차 하시나요? [11] 삭제됨6103 22/07/23 6103
164976 [삭제예정] 소개팅할때... 주로 어떤대화를 나누나요..? [25] 바람의여행기7019 22/07/22 7019
164975 [삭제예정] 지금 갤럭시(A31)폰 맛이 가신 분 안계신가요? (...) [1] Aiurr4705 22/07/22 4705
164963 [삭제예정] 일본 입국금지로 경유도 불가능한가요? [4] 삭제됨5538 22/07/21 5538
164946 [삭제예정] 환승이별 당했습니다. [29] 삭제됨7509 22/07/21 7509
164931 [삭제예정] 공동명의의 집을 한명의 명의자만 바꿀 수 있나요? [9] 삭제됨5771 22/07/20 5771
164908 [삭제예정] 장트러블이 잦은데 소화기쪽 내과가면 효과볼수있나요? [26] klunak6252 22/07/19 6252
164904 [삭제예정] 스카웃 제의를 받았습니다. [9] 삭제됨6689 22/07/18 6689
164903 [삭제예정] (사회생활) 말을 옮기며 이간질을 하는 인간을 대처할 때 [8] 삭제됨5738 22/07/18 5738
164892 [삭제예정] 높은(?) 분들과 면담 시 할만한 이야기 [14] 새벽바람6238 22/07/18 6238
164887 [삭제예정] 연봉 깍고 이직 괜찮을까요?? [38] 모어모어7758 22/07/18 7758
164875 [삭제예정] 처음 여자 만날때 데이트는 어떻게..? [8] 바람의여행기8419 22/07/17 84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