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4/05 14:52:38
Name 65C02
Subject [질문] 지금이 전기차를 사도 되는 타이밍인가요?
차를 바꾸려고 하는데 어차피 지금 주문해도 연말이나 내년에 받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기존의 내연기관 차를 살 것인지, 전기차를 살 것인지 인데요.

제가 걱정하는 것은 아직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은 현실입니다.

혹시라도 전기차 오너가 많아졌을 때, 저희집같은 옛날 아파트에서는 충전이 힘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 전기차 구매에 대해서 어떻게들 보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말싫
22/04/05 14:55
수정 아이콘
아파트에 충전소 있으시면 해도 됩니다.
없으시면 비추고요.
이번 달 부터 전기차 충전소에 일반 차가 세워져있으면 신고로 10만원 상품권 보내드릴 수 있어서 다들 안 세웁니다.
로드바이크
22/04/05 15:00
수정 아이콘
전기차 충전소마크가 그려져 있고, 충전장비가 설치 되어 있는데 가동안하는 경우는 어떤가요?
츠라빈스카야
22/04/05 19:17
수정 아이콘
국고보조금을 받았다면 몰라도 아파트에서 자체적으로 설치한거면 운영을 하든 안하든 아파트 마음입니다.
거기에 주차하는거에 대한 과태료 여부는 확인해봐야겠지만 운영 안하는게 증명되면 과태료가 부과되더라도 취소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비아빠
22/04/05 14:56
수정 아이콘
저 개인적으로 전기차 충전 지옥은 이제 시작도 안했다고 생각하는지라...
되려 충전 싸게 하고 보조금으로 꿀빨던 시기는 완전히 가고 이제 어정쩡함만 남은게 아닌가...
22/04/05 15:00
수정 아이콘
아직은 하이브리드 같아요. 다만 주택이나 회사밥 먹을수 있으면 괜찮을듯해요.
22/04/05 15:00
수정 아이콘
심플하게 집밥 회사밥 먹일수 있냐 없냐로 결정하시면 됩니다.
츠라빈스카야
22/04/05 15:01
수정 아이콘
일단 쏘울 부스터로 산 지 만 3년에 가까운 입장에서...

1.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았다고 말들 하는데, 아직까진 보급대수도 비교적 적어서 개인적으로 크게 불편함은 없었습니다.

2. 보조금이 매년 줄어들고 있으므로, 살거면 빨리 사는게 경제적으로는 이득입니다. 기술 발전하면 싸질거라고 말들은 하는데 배터리 원자재값 등등 보고있으면 뭐...안될것같아요..

3. 주행거리 및 전비(연비)문제는 혁신적인 새 배터리 기술이 나오지 않는 한 일단은 어느 정도 벽에 부딪힌 상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새 기술이 완성된다고 해도 실제 적용에는 차 한 대 더 바꿀 정도 시간이 들 테고, 차값은 더 오르겠죠..

개인적으론 지금 차를 살꺼고, 전기차를 살까 말까 고민이면 전기차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근데 현기나 테슬라 정도에서요...솔직히 독3사는 아직 전기차 분야에선...i시리즈나 EQ시리즈 보면...음..다음 모델을 기다리고 싶긴 해요.
22/04/05 15:02
수정 아이콘
주행거리가 평소에도 많다면 비추. 저처럼 주말이랑 가끔 쓴다면 뭐 나쁠것 없다 싶던데요.
가까운곳에 공영 주차장에서 충전해도 되고 (1시간 무료) + 장볼때나 이거저거해서 잠깐씩 충전하기도 해서
처음에는 꽤 스트레스였는데 지금은 감수하고 탑니다. 겨울만 아니면 딱히 주행거리 스트레스도 없고요
22/04/05 15:14
수정 아이콘
내 거주환경에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는 가정하에 빨리 살수록 꿀빠는 상황입니다...만 슬슬 꿀이 떨어져 가고 있습니다
대신 꿀이 다 떨어졌다는 건 그만큼 전기차가 대세를 점했다는 뜻이기 때문에 오히려 그때부터는 내연기관차를 사기 안 좋은 시기가 된 거죠

아니면 지금 구입한 차를 얼마나 탈 예정인가? 10년 이상 탈 차라면 오히려 전기차를 사도 되는 게 아니라 사야 되는 상황 아닐까요
10년은 안 탈 것이다, 그렇다면 내연기관차를 사도 되는 상황이고요
22/04/05 15:17
수정 아이콘
내가 전기차를 가지고 있다 가정하고 시뮬한번 돌려보세요.
충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지, 원활하지 않다면 내가 시간내서 충전하러 갈만한 여유가 있는지.
전기차의 주행질감같은거는 부차적인 거고, 충전이 제일 문젭니다.
메타몽
22/04/05 15:19
수정 아이콘
케바케가 심해서 뭐라하긴 힘든데 아직은 전기차 타기는 좀 이르다고 봅니다

1. 충전 인프라 문제 (우리집 코앞에 내 전용급 충전소 없으면 충전하기 매우 힘듬)

2. 장거리 문제 (봄/여름/가을에는 괜찮은데 겨울만 되면 연비가 20% 이상 하락해서 장거리를 뛰어야 한다면 비추)

요 2개가 가장 클껍니다

지금 현실적으로 가장 베스트는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차죠
22/04/05 15:24
수정 아이콘
집, 회사 혹은 적어도 출퇴근 동선에 충전 인프라가 마련되어있다면 사도 되지 않을까 조심스래 생각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내년 즈음에 전기차 구매를 고려 중입니다.
22/04/05 15:33
수정 아이콘
집에 매일 무조건 가능한 충전환경 없으면 안 사는게 낫다고 생각
StayAway
22/04/05 15:52
수정 아이콘
집 + 회사에서 충전 가능하고 장거리 뛸일 없으면 사도 된다고 봅니다.
22/04/05 15:57
수정 아이콘
충전 인프라도 인프라인데 충전 시간이 좀 걸리더라구요. 아무래도 기름 넣는 것에 비해 너무 시간이 걸리다보니. 충전 다되면 차도 빼야되고..
타츠야
22/04/05 16:04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추천합니다. 10년 넘어야 전기차 주행거리 및 충전 인프라 해결이 될 거라고 봐서 10년 정도는 하이브리드로 어느 정도 양쪽의 장점 누릴 수 있다고 봅니다.
백년지기
22/04/05 16:09
수정 아이콘
여전히 살만합니다. 내년까지는 정부 및 보조금하면 천만원 가량은 되기 때문에.
충전 인프라는 우려와는 달리 정말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방이나 시골은 모르겠으나 서울 경기 및 지방 대도시는 이제는 속도가 문제지
충전 장소 자체는 정말 많이 늘어났죠.
묵리이장
22/04/05 16:25
수정 아이콘
집밥 잇으면 사고 아니면 비추합니다.
superiordd
22/04/05 17:05
수정 아이콘
전기차 유저입니다. 전기차로 일단 들어가면, 다시는 내연기관이 생각 안날만큼 만족도가 높습니다.
1) 전기차 카페에서 글을 읽어 보세요(네이버)
2) 이용 패턴을 살펴보세요. 장거리를 탈수록 유리합니다.
3) 구매 vs 장기렌트(지금 구매 예약해도 최소 6개월 이상 대기해야 합니다)
4) 충전은 저속은 200원 내외, 급속은 300원 수준입니다. 신용카드 제휴 할인 받음 여기에 50%를 받을 수 있어서...유가 2천원 기준 1/5 수준입니다.
5) 충전 인프라가 가)집밥, 나)회사밥, 다)집근처에 공공시설 등이면 지를 법 합니다.
6) 현재 아파트 충전 인프라 현황은 관리실에 물어보세요. 업체명과 가격까지
지성파크
22/04/05 17:26
수정 아이콘
회사에 충전소가 있다고 해도 이거때문에 회사 머무는 시간이 있다보니까
결국 집앞 충전소 유무로 보는데
그마저도 사람이 많으면 아직 살때 아니라고 봅니다
요즘 인기 충전소는 대기시간이 너무 길어서 힘들어요
토끼공듀
22/04/05 19:21
수정 아이콘
제 기준에선 아직 약간 이릅니다.

단순히 충전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보증 기간 이후 수리 부분에 대해서도 아직 미지의 영역이 너무 많습니다.

지금 당장 가장 베스트는 하이브리드라고 봅니다. 전기차는 최소 2~3년 후 정도가 적기라고 보여지구요.
22/04/05 19:32
수정 아이콘
충전이 가장 스트레스라고 봅니다. 스마트폰을 지하주차장에서만 충전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면 될듯
22/04/05 19:41
수정 아이콘
답변 적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찬찬히 읽어보고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2864 [질문] mma 에서 경기 직전에 체중을 안재는 이유가 있을까요? [12] 마르키아르4848 22/04/08 4848
162863 [질문] 사무용 모니터 질문 [4] Chandler3239 22/04/08 3239
162862 [질문] 헬스 운동시 손바닥에 굳은 살 생기는 것에 대해 질문드려요 [11] 보로미어5120 22/04/08 5120
162861 [질문] 부동산(토지) 매도 홍보 팁 질문 K52682 22/04/08 2682
162860 [질문] 물리치료용 적외선 조사기가 눈에 안좋나요? [2] League of Legend2952 22/04/08 2952
162859 [질문] 현미밥 하는 방법 질문 [8] MelOng2352 22/04/08 2352
162858 [질문] 제주도에 갈말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냉이만세3785 22/04/08 3785
162857 [질문] 새아파트 입주시 삶의 질 어떻습니까? [35] 삭제됨4678 22/04/08 4678
162856 [질문] 제주도 추천해주실만한 맛집 있을까요 [7] 장만월3189 22/04/08 3189
162855 [질문] 중고폰 파는 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3] 난할수있다3114 22/04/08 3114
162854 [질문] 맛있는 차 [11] 어센틱4464 22/04/08 4464
162853 [질문] 석촌호수 주차장 및 조명 질문입니다 [8] 회전목마3510 22/04/08 3510
162852 [질문] 대구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7] Gotetz3182 22/04/08 3182
162851 [질문] 모니터,TV 연결 문제입니다. [5] 가진자3583 22/04/08 3583
162850 [질문] 친구 2,3명이서 즐길만한 게임 뭐 있을까요 [34] Kaestro5512 22/04/07 5512
162849 [질문] 어릴 적 타이쿤 계열 게임 질문 드립니다. [4] 회색사과3950 22/04/07 3950
162848 [질문] 독일 현지분이나 독일 여행 자주 다니시는 분의 조언이 절실합니다. [19] intothe_random4943 22/04/07 4943
162847 [질문] 노트북(이번에 나온 LG 그램) 메모리 16과 32기가 차이가 어느정도일까요? [6] BlueSKY--6878 22/04/07 6878
162846 [질문] 보통 부조금은 얼마를 내야하나요? [20] Lissac4161 22/04/07 4161
162845 [질문] 입사 면접시 주민등록등본과 자필이력서 지참하라는건 어떤 의미인가요? [14] Demi4807 22/04/07 4807
162844 [질문] 외장 ssd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먼산바라기5809 22/04/07 5809
162843 [질문] 재부팅만 하면 메인보드 에러가 뜹니다. [2] ShamanRobot4107 22/04/07 4107
162842 [질문] RGB CMYK 차이 질문 [5] 시라노 번스타인3965 22/04/07 39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