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3/05 22:09
저는 자차연수는 안 받아봤고 학원연수만 받아봤는데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연수차: 엑센트, 자차: 셀토스)
도로주행 연습할 때랑 운전연수 받을 때랑은 많이 다릅니다. 애초에 목적이 다르니까요. 도로주행 연습은 정해진 코스만 열심히 돌지만 운전연수는 다른 지역으로도 나가고, 좁은 길도 가보고, 속도 낼 수 있는 지역도 가보고 합니다.
22/03/05 23:56
궁금해서 잠깐 찾아봤습니다.
자차연수라는게 크게 2종류로 나뉘나봅니다. 1. 자차=학생차 -> 학생이 학생차로 운전하고, 사고나면 학생차보험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이 부분이 너무 당연해서 자차연수가 왜 보험이 안될까??해서 찾아봤네요.) 2. 강사차 (보통 조수석에 브레이크를 설치한다고함. 백미러 뒤로 넘겨서 손으로 누르는 형태가 있다네요) 차로 학생이 운전 -> 강사차에 어떤 보험이 가입되어있느냐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1) 교습용 종합보험 가입 -> 불가능 교습용 종합보험 가입하려면 합법 운전학원에 등록되어있어야 하는 것처럼 나오네요. 2) 누구나 보험 가입 ->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아마 현실에 없을겁니다. 강사차에 운전자가 지정되어있지 않은 누구나 가능한 보험이 가입되어있다면 학생이 사고내도 강사가 보험처리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될 이유가 잘 상상이 안가네요. 영업용 노란번호판이 아닌 흰색번호판으로 영업용으로 무단사용했다고 보험처리 자체를 거부한다? 가능성 낮을 것 같아요. 하지만, 확인되는 자료를 못찾겠어서 모르겠다고 적었습니다. 3) 강사차에 강사본인만 가입 -> 사고시 보험처리 불가능. 모든 손해 운전자가 부담. (무보험운전) 결론 : 내 차로 내가 운전해서 사고내고 내보험사로 처리하면 문제 없을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