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1/14 15:49:06
Name Dresden
Subject [질문] 중고거래와 경제성장의 관계는?
어제 길에서 플리마켓을 지나치다 불현듯 떠오른 궁금증입니다만..
중고거래가 활발해지면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나요? 아니면 경제성장에 저해가 되나요?

중고거래가 GDP에 포함되지 않는다는건 매우 유명한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GDP가 아니라 국민 전체의 물질적인 복지라는... 좀 두리뭉실한 개념까지 포함해서 생각해보면 어떻게 되나요?

저의 이번달 가처분 소득이 가령 50만원인데, 이걸로 책을 사고 술도 마셔야 합니다.
책을 새 책이 아니라 중고로 구입한다면, 저는 술을 마시며 예정에 없던 치킨도 먹을 수 있습니다.
저의 물질적인 복지가 증가했고, 치킨집의 매출이 상승했으며, 저에게 책을 파신분도 가처분 소득이 증가했습니다.
반면, 출판사, 저자, 아마존은 손해를 봤습니다.

이 모든걸 종합하면 중고거래는 경제성장과 국민들의 물질적인 복지에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인지 아니면 제로썸인지
저의 부질없는 사고실험에 소중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깃털달린뱀
21/11/14 16:46
수정 아이콘
개인의 효용 극대화 측면에서 중고거래와 신품거래에 차이를 둬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내가 중고책을 사서 새책 소비가 줄어든다면 이게 출판업자의 손해일 것 같지만, 사실 그 돈으로 책 안사고 아이맥스 영화 봐도 똑같거든요.
그저 (비용 당) 효용이 더 높은 곳으로 소비가 이동한 것일 뿐입니다. 경제성장이란 게 곧 같은 자원으로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해내는 거니까요. 어차피 내가 쓴 돈이 허공에 사라지는 것도 아니고, 판매자가 다시 그 돈으로 다시 자기 효용을 위해 소비할겁니다.

다만 개인을 배제한 외적인 경제라는 측면에선 좀 다를 순 있습니다. 비용체감산업의 경우 신품 소비가 줄어들면 생산비 자체가 늘어나서 비효율적으로 변하고, 그러면 산업 자체가 경쟁에 밀려 죽을 수도 있습니다. 국가 차원에선 개개인의 효용 좀 희생시키고 대신 산업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산업정책을 짤 수도 있을 겁니다. 개발독재시기에 온갖 저금이란 명목으로 개인이 쓸 돈 강제로 저축시키고 그 돈 산업 발전에 쓴 것처럼요. 다만 이것도 늘어나는 효율성보다 줄어드는 효용이 더 작으면 안되겠죠.
21/11/15 14:26
수정 아이콘
아이고.. 늦었지만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게 단일 산업 기준으로 생각하면 쉬운데,여러 산업에 대한 복합적인 파급효과까지 생각하기 시작하면 답이 쉽게 나오질 않네요.
NoGainNoPain
21/11/14 17:14
수정 아이콘
경제의 출발은 물물교환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필요한 것을 맞교환하는 것부터가 경제활동이에요.
중고거래를 하면 회사생산물품이 적게 팔리겠지만 중고거래를 하면서 유통된 자금 또한 다른곳에 쓰이기 때문에 경제에 도움이 되는 건 맞죠.
자신에게 쓸모없다고 창고에 중고물품을 처박아 놓으면 가치가 창출되지 않습니다. 중고거래를 함으로써 사용가치를 조금이라도 유지시키는 게 맞죠.
21/11/15 14:27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드립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1/11/14 17:52
수정 아이콘
이건 GDP를 넘어서는 경제계량방법이 나오기 전까지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겠네요. 지금 말하는 경제성장률이란건 사실 어디까지나 GDP성장률에 지나지 않고, 경제의 증감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로선 GDP보다 좋은 수단이 없으니까, 그게 계속 쓰일 뿐이죠.
21/11/15 14:2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그래서 최근에 지하경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틀림과 다름
21/11/14 18:14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할땐 긍정적인 요소로 봅니다
돈이 한군데 정체되어 있으면 안좋잖아요
중고거래를 함으로서 돈이 돌아가는것이니 좋은것으로 생각합니다
21/11/15 14:27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727 [질문] [LOL]올 시즌 재밌었던 밈이나 단어 공유 좀 부탁드립니다. [28] 썬업주세요8297 21/11/15 8297
159726 [삭제예정] 유부남님들 외모는 얼마정도 가나요? [15] 삭제됨9402 21/11/15 9402
159725 [질문] [차사고]차 긁혔는데 이정도면 현금처리 가나요? [6] 아스날9001 21/11/15 9001
159724 [질문] 부산 남포동 일대, 다대포 맛집을 찾습니다 [13] 시무룩7950 21/11/15 7950
159723 [질문]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께 질문입니다. [5] 안초비8687 21/11/15 8687
159722 [질문] 인테리어 공사 관련 질문입니다. [4] AquaMarine6021 21/11/15 6021
159721 [질문] 수능 수험생 가족중에 밀접접촉자 있을 때 [3] 상어이빨8583 21/11/15 8583
159720 [질문] [자녀 핸드폰 제어] 애플 vs. 안드 [7] phoe菲7321 21/11/15 7321
159719 [질문] 유튜브 bgm은 어디서 따오는건가요?? [1] JP-pride8283 21/11/15 8283
159718 [질문] 대하사극 태조왕건에 관해서 질문 있는데요... [4] 잘가라장동건9698 21/11/15 9698
159717 [질문] 이사가면서 인터넷을 바꾸려고 합니다 [4] 문별7860 21/11/15 7860
159716 [질문] 컴퓨터 화면이 저절로 나갑니다. [16] 백신9464 21/11/15 9464
159715 [질문] 부팅usb질문입니다 [3] 뵈미우스7556 21/11/15 7556
159714 [삭제예정] 사무실에서 담배땜에 스트레스내요 [12] 푸들은푸들푸들해10362 21/11/15 10362
159713 [질문] 실내 공연장 영상을 촬영하고 싶습니다. [5] aespa8009 21/11/15 8009
159712 [질문] 갤럭시 버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부모님 선물! [15] CastorPollux9745 21/11/15 9745
159711 [질문] 아이패드 만화 대여 구매 앱(어플) 사이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5] 깐부치킨6902 21/11/15 6902
159710 [질문] 10시간 내외로 듄 유니버스를 즐기려면 어떤게 좋을까요? [4] 썬업주세요8812 21/11/15 8812
159709 [질문] 폐배터리 시장은 한국 ? 외국 ? [1] 난할수있다8628 21/11/15 8628
159708 [질문] 썬팅지 및 블박 보조배터리 관련 문의 드립니다. 수타군6095 21/11/15 6095
159707 [질문] 커피 캡슐머신 질문 드립니다. [8] 쉬군6832 21/11/15 6832
159706 [질문] 주택가 동네당구장 평일 밤 10시~12시 사람 많은가요? 하나둘셋11834 21/11/15 11834
159705 [질문] 사진 프레임에서 수직 수평은 기본 아닌가요? [32] 흐르는물처럼14016 21/11/15 140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