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0/15 10:11:15
Name 모아찐
Subject [질문] tv알못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tv알못이라 질문 드립니다.
이번에 신축아파트 입주하게 되어 tv를 사야하는데, 벽면 크기가 크다 보니 최소 70인치 이상은 사야겠더라구요.
근데 tv에 uhd? 올레드? oled? 뭐 여러 종류가 있는 것 같은데,
그저 평범하게 tv를 보려면 어떤 종류? 어떤 브랜드?를 사야될까요?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1/10/15 10:15
수정 아이콘
70넘기면 해상도(FHD, UHD)는 UHD로 가시는게 맞고, 디스플레이 종류(OLED, QLED등등)는 각자 취향에 맞추시는걸로...
브랜드는 사실 좀 비싸긴 해도 삼성 엘지가 젤 낫습니다. 결국 패널은 삼성 엘지 제품 갖다 쓰는데, 대체로 중소기업은 가격에 맞춰서 패널 급도 좀 떨어져서..

조만간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이긴 한데 이젠 TV해외직구도 좀 시들하긴 한 것 같네요.
비행기타고싶다
21/10/15 10:17
수정 아이콘
엘지 삼성 미만잡이고, 많이 팔리는 순서대로 구매목록에 넣으시면 될듯.
덴드로븀
21/10/15 10:53
수정 아이콘
오전~오후에 거실 자연 채광을 많이 하면서 TV 로 드라마 등을 볼거면 삼성,
밤에만 & 영화/게임 같은걸 많이 보면 LG OLED 로
모아찐
21/10/15 11:11
수정 아이콘
혹시 왜 그렇게 나눠지는지 알 수 있을까요?
덴드로븀
21/10/15 11:16
수정 아이콘
삼성 QLED : LED 가 기본기술이라 밝기를 최대로 올려놔도 번인 걱정도 없고 밝기 때문에 빛반사를 적게 경험함
LG OLED : OLED 는 숙명적으로 번인이 문제라 자동적으로 밝기를 최대로 올리지 못해서 햇빛을 받았을 경우 화면이 덜 밝아서 빛반사를 많이 경험하게 됨 + OLED 의 강점 중 블랙 표현이 최고라서 거기에 맞는 영화/게임을 즐기면 최대의 효과를 누릴수 있음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죠.
21/10/15 11:24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암막 커튼 있거나 밤위주 사용이면 oled가 품질은 최고인데 가격이 매우 비싸고 빛반사 심한게 단점입니다. 삼성엔 oled가 없고 lg보다 좀 싸고요.
인생은서른부터
21/10/15 12:00
수정 아이콘
낮 or 티비쪽 빛이 대부분 밝음 (조명 거의 ON/채광 많음) -> 삼성(=QLED라인)
밤 or 티비쪽 빛이 대부분 어두움 (조명 거의 OFF/채광 적음) -> 엘지(=OLED라인)
돈이 많다 - 마이크로LED ?
21/10/15 14:11
수정 아이콘
암실 비슷하게 만들어놓고 OLED 쓰고 있습니다. IPTV가 주 용도라면 OLED의 진가를 다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 대비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블루레이 디스크 등 고화질 소스가 있는 경우라면 OLED의 의미가 좀 더 있으며,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시청환경(특히 조도)도 고려할만한 부분이라다고 생각합니다.
해상도는 당연히 UHD(4K라 표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상이어야 하겠고, 매장에서 삼성 QLED vs. LG LCD(나노셀) 구도로 비교해서 고르시면 좋을 듯합니다.
더파이팅
21/10/15 16:48
수정 아이콘
85인치 삼성 Qled로 다나와에서 제일 싼 제품 사면 될 것 같습니다. 300~350만원 정도..
일반 티비 시청 위주라면 화면 크고 기본에 충실한 보급형이 짱입니다.
엘지는 최고지만 가성비와는 거리가 멀지 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021 [질문] 발열조끼 써본신 분 계신가요? [5] 라멘가게9176 21/10/17 9176
159020 [질문] 중고거래 3자 사기가 의심 되는데 확인할 방법이 있을까요? [8] Red Key8090 21/10/17 8090
159019 [질문] 킬각, 각에 대한 유래? [17] 그 닉네임9798 21/10/17 9798
159018 [질문] 게임 중 나온 수식퍼즐 질문입니다 [4] Cand8577 21/10/17 8577
159017 [질문] 결혼식 정장질문 (신랑) [7] 교자만두7558 21/10/17 7558
159016 [질문] 강남 신세계백화점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8] Navigator10237 21/10/17 10237
159015 [질문] 아기용 가습기 추천 부탁드려요 [8] 과수원옆집8876 21/10/17 8876
159014 [질문] 비전공자 전기산업기사 취득기간 얼마나 걸릴까요? + (전산기 취득후 진로) [3] 그때가언제라도11199 21/10/17 11199
159013 [질문] 스위치 디아2 되나요??????? [6] 신류진8508 21/10/16 8508
159012 [질문] 토익LC 어떤 느낌으로 푸시는가요? [17] 선동열11824 21/10/16 11824
159011 [질문] 커피 잘알이신 분들께 질문입니다 [6] Winter_SkaDi7043 21/10/16 7043
159010 [질문] 어머니가 쓰실 체크카드 좀 부탁 드립니다. (용돈용). [5] 실버벨6030 21/10/16 6030
159009 [질문] bmw오너분들 질문있습니다. [7] 환경미화7673 21/10/16 7673
159008 [질문] 부모님 효도폰 자급제(갤럭시A12) 구매 관련 질문 [4] 명군8911 21/10/16 8911
159007 [질문] 엑셀 시트탭의 폭너비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을지요...? [4] nexon12602 21/10/16 12602
159006 [질문] 기가 바이트 메인보드의 전원 스위치 질문입니다 [2] 틀림과 다름6303 21/10/16 6303
159005 [삭제예정] 장외 주식은 위험성이 어느정도인가요? [13] 삭제됨10970 21/10/16 10970
159004 [질문] 광명역 IC 근처 교통 사고 관련 문의 [18] 삭제됨7122 21/10/16 7122
159003 [질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주문을 했는데.. 트래킹 번호만 뜨고 한달반을 배송을 안하네요. [4] 유목민11213 21/10/16 11213
159002 [질문] 요즘 3040분들은 어떤 패딩을 많이 사나요? [26] 10210724 21/10/16 10724
159001 [질문] 이게 왜 펜타킬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9] 환경미화8146 21/10/15 8146
159000 [질문] 스쿼트가 갈수록 힘들어집니다. [10] 데브레첸7900 21/10/15 7900
158999 [질문] 명탐정코난 만화책은 어떤가요? [3] Rolex10963 21/10/15 109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