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0/15 10:11:15
Name 모아찐
Subject [질문] tv알못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tv알못이라 질문 드립니다.
이번에 신축아파트 입주하게 되어 tv를 사야하는데, 벽면 크기가 크다 보니 최소 70인치 이상은 사야겠더라구요.
근데 tv에 uhd? 올레드? oled? 뭐 여러 종류가 있는 것 같은데,
그저 평범하게 tv를 보려면 어떤 종류? 어떤 브랜드?를 사야될까요?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1/10/15 10:15
수정 아이콘
70넘기면 해상도(FHD, UHD)는 UHD로 가시는게 맞고, 디스플레이 종류(OLED, QLED등등)는 각자 취향에 맞추시는걸로...
브랜드는 사실 좀 비싸긴 해도 삼성 엘지가 젤 낫습니다. 결국 패널은 삼성 엘지 제품 갖다 쓰는데, 대체로 중소기업은 가격에 맞춰서 패널 급도 좀 떨어져서..

조만간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이긴 한데 이젠 TV해외직구도 좀 시들하긴 한 것 같네요.
비행기타고싶다
21/10/15 10:17
수정 아이콘
엘지 삼성 미만잡이고, 많이 팔리는 순서대로 구매목록에 넣으시면 될듯.
덴드로븀
21/10/15 10:53
수정 아이콘
오전~오후에 거실 자연 채광을 많이 하면서 TV 로 드라마 등을 볼거면 삼성,
밤에만 & 영화/게임 같은걸 많이 보면 LG OLED 로
모아찐
21/10/15 11:11
수정 아이콘
혹시 왜 그렇게 나눠지는지 알 수 있을까요?
덴드로븀
21/10/15 11:16
수정 아이콘
삼성 QLED : LED 가 기본기술이라 밝기를 최대로 올려놔도 번인 걱정도 없고 밝기 때문에 빛반사를 적게 경험함
LG OLED : OLED 는 숙명적으로 번인이 문제라 자동적으로 밝기를 최대로 올리지 못해서 햇빛을 받았을 경우 화면이 덜 밝아서 빛반사를 많이 경험하게 됨 + OLED 의 강점 중 블랙 표현이 최고라서 거기에 맞는 영화/게임을 즐기면 최대의 효과를 누릴수 있음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죠.
21/10/15 11:24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암막 커튼 있거나 밤위주 사용이면 oled가 품질은 최고인데 가격이 매우 비싸고 빛반사 심한게 단점입니다. 삼성엔 oled가 없고 lg보다 좀 싸고요.
인생은서른부터
21/10/15 12:00
수정 아이콘
낮 or 티비쪽 빛이 대부분 밝음 (조명 거의 ON/채광 많음) -> 삼성(=QLED라인)
밤 or 티비쪽 빛이 대부분 어두움 (조명 거의 OFF/채광 적음) -> 엘지(=OLED라인)
돈이 많다 - 마이크로LED ?
21/10/15 14:11
수정 아이콘
암실 비슷하게 만들어놓고 OLED 쓰고 있습니다. IPTV가 주 용도라면 OLED의 진가를 다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 대비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블루레이 디스크 등 고화질 소스가 있는 경우라면 OLED의 의미가 좀 더 있으며,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시청환경(특히 조도)도 고려할만한 부분이라다고 생각합니다.
해상도는 당연히 UHD(4K라 표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상이어야 하겠고, 매장에서 삼성 QLED vs. LG LCD(나노셀) 구도로 비교해서 고르시면 좋을 듯합니다.
더파이팅
21/10/15 16:48
수정 아이콘
85인치 삼성 Qled로 다나와에서 제일 싼 제품 사면 될 것 같습니다. 300~350만원 정도..
일반 티비 시청 위주라면 화면 크고 기본에 충실한 보급형이 짱입니다.
엘지는 최고지만 가성비와는 거리가 멀지 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067 [질문] z플립3 비디오 플레이어 코덱 오류 먼산바라기8125 21/10/18 8125
159066 [질문] 안녕하세요 게이밍 노트북 구매 질문입니다 [2] 클로로 루실후르8501 21/10/18 8501
159065 [질문] 에당아자르 vs 피식대학 어느쪽이 더 인지도 높을까요? [45] 일찍일어나자9145 21/10/18 9145
159064 [질문] 주말부부 유부남이 평일에 할 일은 뭘까요. [12] 이리세9317 21/10/18 9317
159063 [질문] 디아하려고 합니다!! 추가 [7] 희원토끼9770 21/10/18 9770
159062 [질문] 중식도랑 일반 식칼의 차이점이 뭔가요?(+칼추천) [3] 훈타8485 21/10/18 8485
159061 [질문] 고전게임 질문입니다. 구니스 같은 종류의 게임인데요. [3] 탈리스만9585 21/10/18 9585
159060 [질문] 경주역(신경주역 아님)근처에서 불국사 가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5] 리얼리스트가11207 21/10/18 11207
159059 [질문] 프레젠터? 포인터? 구입 질문드립니다 [2] 세종6671 21/10/18 6671
159058 [삭제예정] M자탈모 약과 B형 간염보균자 [2] 꿀행성9171 21/10/18 9171
159057 [질문] 종합비타민이랑 오메가3 어떤제품 드세요? [11] 레너블9248 21/10/18 9248
159056 [질문] 생활과 일에 대한 걱정도 정신과 약을 먹는게 좋을까요? [8] 기술적트레이더6838 21/10/18 6838
159055 [질문] 게이밍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아이유가아이유7384 21/10/18 7384
159054 [질문] 압력솥 질문입니다. (feat.승우아빠) [11] 깃털달린뱀9529 21/10/18 9529
159053 [질문] 오늘 이재명 지사 국감 어땠나요? [17] Gigi10050 21/10/18 10050
159052 [질문] 컴퓨터 증상 질문 좀 드릴께요 [9] 블랙팬서8990 21/10/18 8990
159051 [질문] 젤다 입문(야숨?) 질문 [10] 샤한샤9301 21/10/18 9301
159050 [질문] 주 5일제 월급 100% vs 주 4일제 월급 80% [48] 부처9203 21/10/18 9203
159049 [질문] 주식 핵초짜 질문있습니다 [9] 안다리엘8412 21/10/18 8412
159048 [질문] 미스포츈 왜 탈진 드나요? [10] 짱짱걸제시카9340 21/10/18 9340
159047 [질문] 수유부(출산후 여성) 코로나 백신들 어떻게들 하시는지 아시나요? [10] LG의심장박용택10845 21/10/18 10845
159046 [질문] 교사들의 실질적 학생통제수단은 왜 없는건가요? [47] 이부키13898 21/10/18 13898
159044 [질문] 아기가 밥을 너무 안먹어 고민입니다. [47] 나무늘보13883 21/10/18 138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