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0/03 19:40:08
Name 그때가언제라도
Subject [질문] 소방안전관리자 취득하신 분 있나요?
궁금한 게 여러가지 있습니다...혹시 아시는 분 있다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인터넷 검색 좀 해보니

어차피 1급은 5일 교육하고 2급은 4일 교육이니

1급이 범용성 더 높고 2급에서 1급 딸려면 5년 기다려야하니 1급 따라고 하더라고요.

처음이면 어떤 걸 따는 게 좋을까요?





근데 걸리는게 1급 2급 시험 난이도입니다.

둘 다 며칠 정도 공부해야 합격 가능한 시험일까요?





만약 1급 2급 필기 시험 불합격하면 어떻게 되나요?

강습교육을 다시 받아야되는 건 아니죠?

따로 필기 시험만 어디가서 시험을 또 봐야하나요?

만약 그렇다면 몇 번까지 강습교육 없이 필기 시험을 볼 수 있나요?







그리고 1급이나 2급 시험을 합격하면 6개월이나 2년마다 다시 무슨 교육을 가서 들어야하는 걸로 압니다.

보조선임이나 주선임을 안걸어도 주기마다 교육을 받아야하는 건가요?







그리고 만약 본인이 주선임을 건 건물에서 화재가 났을때 어떤 책임을 져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보조선임까지는 정말 큰 사건 아니면 괜찮다 들은것도 같습니다.

혹시 자세히 아시는 분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멘가게
21/10/04 10: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따놓기만하고 일을 해본건 아니라서 아는 부분만 말씀드릴게요.

1급따는게 좋다는 얘긴 저도 들었는데 같이 들은 얘기가 난이도 차이가 상당하단 얘기였습니다. 근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져서 1급 난이도가 굉장히 어려워졌다는 얘길 듣고 저는 2급을 봤습니다. 2급 시험을 보고나서 느낀점이라면 공부 조금만 하면 1급도 어려울 것 없겠네 같은 생각이 듭니다. 2급은 강습교육을 듣고 거기서 강사들이 강조한걸 토대로 이틀 정도만 공부하고 시험을 봤는데 어렵지 않게 붙었습니다. (시험 끝나고 채점 후에 합격자를 따로 불러모으는데 그 인원을 보면 50%정도는 떨어지시더군요)불합격해도 강습교육 또 들을 필요없이 다음 시험에 또 응시하면 됩니다. 횟수 제한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할때마다 응시료 내는게 아까울 뿐이죠. 시험은 소방안전원 지사에 직접 가서 봅니다.
21/10/04 12:50
수정 아이콘
1급도 그냥 수업 잘 듣고 저녁에 복습하면 붙는 난이도입니다. 강사들이 시험문제 나올만 한 것들 찍어주고요...
다만, 학생이 아닌 이상 갑자기 하루에 몇시간씩 수업 들어야 하는 상황 자체가 힘들고 밤에 복습하는 것도 힘들죠.
파와미
21/10/14 05:49
수정 아이콘
장모님이 원룸을 구매하시면서 원룸에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한다며 저보고 시험쳐라해서 회사 안전팀애들한테 물어보니 있으면 나쁠것없다해서 봤습니다.
2,3급은 교육받고 응시하면되는줄 알고 1급은 자격이 있어야하는줄 알아서 2급으로 봤고요.
1급도 교육받으면 응시가능인줄 알았으면 1급 응시했을겁니다.
인원은 약 90명정도 교육받았는데 10명정도가 회사에서 필요해서 보낸 인원들 40명은 장모님 같은 케이스 40명은 이력서에 한줄 더 올리려는 취준생들?
교육받을때 교수님이 찍어준데만 적당히 공부하면 붙는 난이도였어요.
시험 치고 바로 발표하는데 회사에서 보낸분들중에는 3명정도 불합격 건물주들은 의외로 60퍼이상 합격 취준생들이 의외로 불합격이 많았어요.
취준생들은 대부분 30대이하고 건물주들은 40대이상이였는데 결과보고 좀..글터라고요 취업준비생 진짜 맞나? 이런 느낌(취준생 타이틀로 부모 등골 빼먹는거 아냐? 이런 생각 많이 들더라고요 나도 이제 틀딱인듯)
급수랑 상관없이 건물 안전관리자로 소방서에 이름 올리면 교육 받아야하는데 코시국이라 온라인 강의로 대체했어요.(19년 취득 20년 교육)
주선임 보조선임은 잘 모르겠네요 전 저혼자 이름 올라감
불 나면 제 책임 인사사고나면 저 깜빵 100퍼 확정임 그래서 작년에 얘기해서 이름 빼고 전문업체에 위탁하라고 했습니다.
너무 무서웠어요.
그냥 안하시는거 추천요 취업때문이라면 몰라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716 [질문] 인덕션 밑에 식기세척기 설치 관련 문의입니다 [3] 나무늘보9718 21/10/05 9718
158715 [질문] 무선 usb 헤드셋 추천부탁드립니다 [8] 인생은서른부터9120 21/10/05 9120
158714 [질문]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고란고란11692 21/10/05 11692
158713 [질문] 컴퓨터 램 4+4+8+8로 해도 관계 없습니까? [6] sowhat21567 21/10/05 21567
158712 [질문] 갤럭시탭 s5e 가격이 오른건가요? [7] Hisoka9408 21/10/05 9408
158711 [질문] 긴급히 전세대출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9] 요한슨9694 21/10/05 9694
158710 [질문] 네이버쇼핑을 통해 구매할 경우, 상생소비지원금 실적으로 인정될까요? [2] 코시엔10993 21/10/05 10993
158709 [질문] 진상이다 vs 아니다 [16] 어바웃타임12502 21/10/05 12502
158708 [질문] 어깨운동 방법 팩트체크 부탁드립니다 [6] 2021반드시합격8016 21/10/05 8016
158707 [질문] 디아2 레저렉션 로딩관련 저만 이런건가요? [8] 초코파이17144 21/10/05 17144
158706 [질문] 디아블로2 리저렉션 용병관련 질문 [11] sowhat16514 21/10/05 16514
158705 [질문] 컴퓨터조립 문의드립니다. [7] VELLASUITE9504 21/10/05 9504
158704 [질문] 담보대출(오피스텔) 여러곳 동시에 문의해도 괜찮을까요? [5] 포스8966 21/10/05 8966
158703 [삭제예정] 호텔에서 문제로 인한 환불 적당했을까요? [58] 삭제됨12557 21/10/05 12557
158702 [질문] [LoL] 절대 렉 걸릴 사양이 아닌데, 렉이 걸립니다..ㅠ [8] Hisoka13914 21/10/05 13914
158701 [질문] 디아2 소소한 장래 질문.. [8] 영혼7924 21/10/05 7924
158700 [질문] 재즈고수님들께 질문...앨범을 찾고있습니다. [1] Chandler7415 21/10/05 7415
158699 [질문] 노트북 살 때 판매자 부품 업그레이드 관련 질문입니다. [11] 봄날엔10076 21/10/05 10076
158698 [질문] 이런 느낌의 소고기? 부위는 뭐가 있을까요? [12] 깃털달린뱀9818 21/10/04 9818
158697 [삭제예정] 답변 감사드립니다. [9] 삭제됨11559 21/10/04 11559
158696 [질문] 첫 신차를 구매하려는데 질문드립니다. [36] qwertyy13300 21/10/04 13300
158695 [질문] 달러통장 관련 궁금한사항입니다 [10] 시오냥8870 21/10/04 8870
158694 [질문] 어린이 놀이터 바 왜 있는건가요? [19] 파란무테10099 21/10/04 100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