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27 13:05:44
Name 비밀친구
Subject [질문] [강스포] 오징어게임 질문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토론을 해도 좋구요:

1. 이병헌이 친동생을 죽이는 장면이 나오는데 여태까진 뭐 돈에 미친자들이 죽고죽이는 설정은 있어도 가족을 죽이는 개연성 없는 전개는 이해하기가 힘듬. 그냥 이병헌이 싸이코 캐릭이다 라고 이해하는게 맞을지? 그렇다면 일남도 윤리의식은 없지만 원칙주의자라고 봤는데 어째서 이병헌 같은 싸이코를 아래 후계자로 임명했는지?
2. 일남은 게임 중에 죽어도 괜찮다는 생각으로 참여한거 맞는지?
- a) 뽑기 게임할때 별 모양의 난이도가 꽤 높음에도 불구하고 받아들임. 실제로 기훈의 혓바닥 신공이 없었다면 탈락 위기 있었음
- b) 줄다리기는 전략이 있었다고 하지만 실제로 상대방이 정신 차리고 단합하기 시작하자 탈락 위기 있었음 (여기서도 제 3자인 상우가 얼척없는 전술로 세이브해줌)
3. 일남이 중간투표에서 x로 조의를 표하면서 게임을 취소 시켰는데 (아마도 엘리트만 모아서 겜 다시하자는 의도로), 굳이 기훈 편의점까지 찾아가 그를 게임에 참여하게 설득한 이유는?
4. 이건좀 똘질문인데 만약 제 명의로 된 통장이 생기고 거기에 현금 456억이 일순간에 입금되면 국세청에서 마티즈 안보내는지? 전 처음부터 조세 문제를 안다뤄서 이거 뻥카네 하고 게임 안하고 버티는게 맞단 입장이었는데... 마지막에 너무 쉽게 통장이 그냥 생겨버리대요? 상우 같은 캐릭터가 문제제기 한번 했을 수 있을것 같은데

아무튼 마지막 에피 직전까진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전 최종 오징어 게임을 간단한 육탄전으로 연출한건 정말 별로였습니다. 일단 평범한 회사원이랑 빚쟁이가 그렇게 멋지게 싸움을 할수가 없어요... 뭔가 제작진의 의도를 이해를 해보려고 해도 안됩니다. 그냥 귀찮았다 밖엔.

그래도 상우가 자살하는 전개는 시청자로 하여금 사이다를 한바가지 뿌려주는 느낌이었습니다. 적어도 상우만큼은 한결같구나 생각해주게 만들었음. 암튼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7 13: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1.아마 이병헌이 저러한 인물이 된 과정에 대한 스토리가 따로 나올거 같습니다. 잠깐 나왔지만 이병헌도 오징어 게임 우승자 출신이기도 하고요.
2.죽어도 괜찮다기 보단.. 게임 전반에 걸쳐 탈락하지 않도록 안배가 되어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구슬치기에서 살아난게 설명이 안되요.
3.이부분은 저도 모르겠네요. 개연성이 다소 떨어지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4.저는 그냥 저정도 힘있는 조직이면 돈세탁정도는 무리없이 했을것이다 라고 이해했습니다.
애플리본
21/09/27 13:14
수정 아이콘
1. 시즌2가 있다고 들었는데 총격이 머리가 아닌 팔쪽인 점, 바다에 빠진 점 등으로 다시 나타나지 않을까 싶네요. 동생을 살리기 위해 총격을…?

2는 그런것 같습니다. 줄다리기 같은 경우 짤 없이 사망인데 그런 게임에도 참가했으니까요. 게다가 게임 내용도 몰랐었던 것 같고…알면 여자는 제외했겠죠.
우주전쟁
21/09/27 13:15
수정 아이콘
시나리오 자체를 그렇게까지 치밀하게 구성한 것 같진 않습니다. 이건 약간 판타지라고 생각하고 봐도 좋을 것 같아요...
나막신
21/09/27 13:16
수정 아이콘
구슬치기에서 졌는데 안죽은거보면 사실상 공정이 최고의 가치니 뭐니 하다고는 하지만 일남은 안죽도록 스탑을 하거나 뭔가했지 않을까요? 사실 설정이 허접한걸로 보이지만..
블레싱
21/09/27 13:19
수정 아이콘
(뇌피셜에 의한 추측임을 먼저 밝힙니다)
1. 뒤에 다른 인원들도 있는 상태에서 어쩔 수 없이 쏜거고 아마 바다에 떨어져서 살아서 다음 시즌에 나올 것 같습니다.
2. 어짜피 시한부 인생이라 죽어도 괜찮다는 생각이었던거 같습니다. 그래도 이만하면 됐겠다 싶어 중간에 깔끔하게 퇴장하려고 오즘까지 싸가면서 자기 뽑지말라고 어필한거 같은데 막상 이정재가 뽑아가니까 혼자 남은 한미녀를 살려주는 방향으로 간거 같네요.
3. 지금 억지로 끌고 간다고 해도 반발이 있을것 같고 다시 시작할꺼라는 확신이 있었던거 같아 취소를 눌렀고, 기훈한테 다시 찾아간건 처음부터 친근하게 군 사람이니까 어떻게 행동할까 궁금했던거 같습니다.
4.이건 그냥 작품적인 허용 같습니다. 이런식으로 트집을 잡으면 무인도에 저런 대형 시설이 생기는데 아무도 몰랐다던지 수백명이 한번에 실종되는데 납치도 아니고 어떤 약속에 의해 모이게 되는건데 분명히 친구, 가족한테 말한 사람도 있었을텐데 나라에서 안 찾는다던지 등에 헛점이 많은거 같네요.
21/09/27 13:20
수정 아이콘
1. 원래는 그런 인물이 아니었지만, 오징어게임을 진행하고 그 진행자가 되는 과정에서 무언가 본인의 신념이 생겼을 것이고, 그걸 위해 이 시스템이 깨지지 않기 위해선 동생을 사랑하지만 죽여야 한다고 판단했을 거라고 봅니다.
2. 죽어도 좋다고 생각했을 것 같아요. 어차피 죽기전 최고의 유희라고 생각하고 참가 한 것이니.
3. 처음엔 가벼운 마음으로 신청했을 수 있었던 사람들에게 아 진짜 이것만이 살길이다 라고 진심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봤습니다.
4. 가 되버리면 매년 해오는 겜 진행이 안되는 것이니 그것마저 막을 수 있는 뒷배와 흑막이 있다 정도로...
21/09/27 13:21
수정 아이콘
1. 15년 우승자, 우승하면서 별 경험을 다 해봤을것... + 이 게임을 유지하는게 가족보다 중요하다고 판단
- 근데 이게 동생이 레알 죽었다 아니다 알수가 없게 그냥 어깨빵이나 하고 끝내놔서... ㅡ.ㅡ;;
- 게임의 유지가 더 크다면 가족조차 버릴 수 있으니, 어르신의 후계자 지목은 정답이었을겁니다.

2. 죽기살기
1) 무궁화 - 죽을리가 없다고 생각
2) 뽑기 - 실패자들 다 죽이고 난담에 가장 마지막에 죽이는척 하면 되는 문제
3) 줄다리기 - 이건 진짜 인생 걸고 도박했다 싶어서 그 맛을 즐기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4) 이건 뭐 실제로 안죽고 끝나서.. 원래대로면 아무도 짝 안해줘서 자연탈락하면서 죽은거로 위장하려고 했을듯 합니다.

3. 초반에 게임 중지를 시도하게 하는데 큰 역할을 했던게 기훈과 상우였을겁니다. 궁금했겠죠... 계속 궁금해했으니까...?
게임에 돌아오도록 유도해야..

4. 아마 말씀하신 부분이 맞을겁니다. 갑자기 큰돈이 계좌에 들어오면 최소한의 추적은 시도하고 남아야 하는데 500명 가까이 되는 인원을 한방에 납치해다가 뭔가를 하고 있는 그들의 능력을 보면 그정도 세탁은 가능했을지도 모르죠.. -_-; 극적 허용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21/09/27 13:24
수정 아이콘
1. 나랑 같이 가자고 이게 사는방법이라 한건, 어차피 이병현이 최종결정권자가 아니고 조직에 표적되면 죽는거니까 그렇게 말한거고, 총 쏜건 안죽고 어찌어찌 살수있게 빗겨쏜거 아닐까요. 2시즌때 나올 분위기 같기도 하고.
3. 일남 입장에선 어차피 다 유희고, 사람들이 돈 앞에 목숨이고 인간성이고 다 버리고 망가지는걸 보는걸 즐기는거니 자신에게 호의를 배풀고 선의를 믿는것 처럼 보이는 기훈이가 게임에 쭉 참가하며 어떻게 변해갈지 보는게 즐겁다 생각한거 아닐가여.
율곡이이
21/09/27 13:24
수정 아이콘
1 의 경우 오히려 가족까지 처단하며 룰을 지키는 이병헌이 호스트 입장에선 더 든든한거 아닌가요?
미메시스
21/09/27 13:34
수정 아이콘
1 죽이진 않고 일부러 급소피해서 쏜것 같습니다. 절벽에서 바다로 떨어졌다 = 살아있다가 영화공식 아닌가요 크크
2 마지막으로 정말 재밌게 놀았다는 대사가 여러번 나오는걸로 봐서 죽더라도 재미를 느끼고 싶었던것 같습니다
3 첫참여 때 처럼 재참여도 영업사원이 접촉해서 꼬드겼을것 같습니다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도 계속 모니터링하란 지시가 나오는걸로 봐서) 가장 높은 사람이 직접 영업뛰는게 좀 갸우뚱하긴 하네요
4 아무리 무인도라도 수많은 공사인원 + 대규모 보급이 되어야 돌아가는 시설인데 비밀유지가 되죠. 이게 가능한 조직이면 국세청 눈 피하는것도 어렵지 않을듯 합니다
더미짱
21/09/27 13:56
수정 아이콘
3. 자신의 신념과 가장 반대되는 성향을 가진 기훈의 존재가 흥미로웠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장 극적인 순간에서도 자신의 신념이 흔들리지 않을까 시험해보고 싶어서 직접 컨택한게 아닐까요?
21/09/27 14:27
수정 아이콘
그냥 부실한 작품인데 전세계적으로 흥행하니 국뽕 차올라서 억빠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빛폭탄
21/09/27 16:32
수정 아이콘
정말 뜬금없는 댓글이네요.
The)UnderTaker
21/09/27 14:39
수정 아이콘
1. 오로지 게임만을 위한 사람이니 주최자입장에선 이병헌이 좋죠. 더불어 다른 참가자들처럼 직접적으로 죽는모습을 안보여줘서 시즌2때 나올것 같습니다.
2. 자신은 게임을 질생각을 안했을겁니다. 죽기직전까지 사람은 믿지못할존재라면서 확신에 찬 내기를 하고 자신입장에선 이기고 죽었고..
3. 계속 고민하고있는걸 알테고 그 잠깐동안 자신에게 가장 재미를 준사람이기도 하고 사람은 믿지못할 존재다 라는 자신의 가치관을 확인하고 싶었겠죠.
은때까치
21/09/27 15:50
수정 아이콘
1. 일부러 급소 피해서 쏘는 연출 있었으니, 맥락상 100% 안죽였습니다.
2. 저는 언제 죽어도 좋다는 감각으로 참여한게 맞다고 봅니다. 그래야 더 스릴있거든요. 이 회장님이 접대스포츠를 살면서 얼마나 많이 해봤겠습니까?
3. 이것도 유희였다고 생각합니다. 참가 안하면? 담판하고 말지 뭐.....
4. 이건 장르상 익스큐즈죠.
라스보라
21/09/27 16:20
수정 아이콘
1번은 급소피해서 살려주려고 바다 빠트린거겠죠. 따라와야 산다고했는데 동생은 따라올리가 없다고 생각한듯...시즌 2에서 나올듯...
2번은 죽어도 좋다고 생각했어야 말이 되긴 하는데... 그냥 제작진이 깊이 생각없이 만든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뽑기는 몰라도 줄다리기는 답이 없죠. 노하우고 뭐고 사실 할아버지 낀쪽이 너무 불리하기도 하고요.
직접 목숨건 스릴을 느끼고 싶다 하더라도 호스트 입장에서 다른 게임도 많은데 굳이 피지컬 줄다리기를 세팅할 이유가 없지 싶어서요.
빼사스
21/09/27 16:45
수정 아이콘
3. 마지막까지 기훈을 가지고 놀았던 걸 보면, 이 역시 하나의 유희였다고 생각됩니다.
어바웃타임
21/09/27 19:02
수정 아이콘
안전장치가 있었을거라 봅니다

가령 줄다리기도 졌을경우 기계오류인식으로 해서 끌어내린 뒤 일남만 안죽이고 나머지 총살 이런식으로...


4번은 카드만준거지 그게 성기훈 명의인지는 안나오죠
돈세탁한 계좌에 카드만 주고 마음껏 쓰라는 식일수도
비밀친구
21/09/27 20:04
수정 아이콘
음 4번은 은행 지점장이 성기훈을 만나는 장면이 있어서 본인 명의일거라고 생각했읍니다.
오리너구리
21/09/27 21:01
수정 아이콘
저도 계속 거슬리던데 아무리 장르적허용이라고는 해도 간단한 언급정도는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요새 몇 억 가지고도 소명하라고 난리던데...
21/09/28 16:03
수정 아이콘
시즌2 나오고 성공해서 시즌0으로 이병헌이 게임 하는 내용 나와도 초재밌을꺼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010 [질문] 유튜브 뮤직에서 Killing in the Name이 재생되지 않습니다. [4] 1484 24/04/30 1484
175540 [질문] 러닝 고수들께 질문 올립니다. [8] 리스 제임스2447 24/03/29 2447
174658 [질문] 노래 제목 찾습니다. 발라드 [6] 틀림과 다름4877 24/01/29 4877
173587 [질문] 드라마 '최악의 악' 마지막 내용 질문있습니다 (당연히 스포) [8] 삼성전자5873 23/11/17 5873
172317 [질문] 정신과 관련.. 인격장애? 성향? 기질? [4] kissandcry4765 23/08/28 4765
170499 [질문] 영화제목이 기억이 안 납니다(국내 전쟁 영화) 개망이6360 23/05/07 6360
170302 [질문] 영화 패왕별희 관련 질문입니다. (스포O) [1] 아스라이6155 23/04/25 6155
167905 [질문] 정신과 치료 효과가 있나요? [18] 레너블8880 22/12/19 8880
167203 [질문] 양조주 내 메탄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5] 회색사과6814 22/11/12 6814
161140 [질문] [강스포] 영화 파워오브도그 질문입니다. [9] 밐하4406 22/01/16 4406
160466 [질문] 웹소설 기억나는 명장면? [17] 한겨울8344 21/12/19 8344
160258 [질문] 선택적 자살 vs 긴시간 고통 [3] 나른한오후7626 21/12/10 7626
159828 [질문] 정말 쬬는 순욱한테 알아서 죽으라고 빈 반합을 보낸건가요? [7] Cand10451 21/11/19 10451
158506 [질문] [강스포] 오징어게임 질문 [21] 비밀친구9035 21/09/27 9035
153668 [질문] 징후가 없는 자살...? [22] Unicorn10783 21/03/18 10783
152623 [질문] 우울증과 죽음을 극복해보신 분이 계실지요. [30] ski~7099 21/02/04 7099
151812 [질문] 현시각 도로상태 질문입니다. [10] 찬양자5712 21/01/07 5712
151312 [질문] 소설 제목 찾고있습니다 [1] 포프의대모험5207 20/12/20 5207
151148 [질문] 가짜 뉴스 유투브 게시물 좀 찾아주세요. [2] 동네노는아이5875 20/12/15 5875
150800 [질문] x-japan에 대해 잘아시는분? [6] 뵈미우스6317 20/12/04 6317
148845 [질문] 찡찡대는 사람 어떻게 대하시나요? [32] 똥꾼10404 20/09/28 10404
148612 [질문] 신지드 영상보는데 요즘은 E평 일부러 안쓰나요 [7] 나데시코5512 20/09/20 5512
147334 [질문] 왜 한국은 임의탈퇴 제도를 쓰고 있나요? [10] 류지나5845 20/08/06 58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