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26 22:41:26
Name Arya Stark
Subject [질문] 주변에 코로나 백신 부작용 사례 보신적 없으신가요?
평소 코로나 백신 접종시작 이후 부작용에 대한 뉴스를 접하긴 했어도 지병이 있으신 분들이었겠거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뉴스에서 자주 보도되는 화이자 부작용 사례와 더불어 최근 저희 회사 타팀에 화이자 접종 후 뇌사 판정을 받으신 분이 나왔습니다.

저와 나이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분이었고 얘기 들어보니 평소 건강하셨던 분이라고 해서 실감이 확 되더라구요.
이게 진짜 까딱 잘못하면 부작용 사례로 뉴스에 나오는 사람이 내가 아니라는 보장이 없겠구나 라는 생각때문에 솔직히 무섭습니다.
와이프도 어제 농담반 진담반 그런 얘길 하더라구요. 백신맞고 자기나 나나 혹시나 잘못되면 어떡하지.

다음주 화이자 1차 접종인데 저에게 용기를 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퀴즈노스
21/09/26 22:47
수정 아이콘
백신 1차 접종률이 80%가 넘었다고 들었습니다.

원래도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평소 건강하다가' '갑자기' 큰 병에 걸릴 겁니다.

그게 이제 마치 백신 맞고 그렇게 된 것 같이 느껴지는거죠.

물론 저도 제 일이 아니니까 이렇게 건조하게 얘기 할 수 있는거긴 합니다. 막상 저도 화이자 1/2 차 맞고 나서 괜히 심장쪽이 이상한 기분 드는데
이성으로 말같지도 않은 생각 하지 말자 라고 계속 되새김질 합니다.

통계와 과학은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JP-pride
21/09/26 23:25
수정 아이콘
이 이야기가 맞습니다.
실제적으로 백신과 인과성이 확인된 사례가 굉장히 적습니다. 이걸 정치적인 이유때문에 인정안한다!라고 생각하신다면 뭐 어쩔수없긴하지만요.
키모이맨
21/09/26 22:55
수정 아이콘
가족 친구 지인등 합쳐서 제 주위에는 일단 최대치가 잠시 몸살 이상은 한명도 없었네요
세인트루이스
21/09/26 22:55
수정 아이콘
사실 뭐 백신맞고 잘못될 확률보다는 매일 밤거리를 걷거나 운전하다가 음주운전자에게 치일 확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불안하려면 끝도 없다고 봅니다.
21/09/26 23:02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서는 이틀 몸살이 최대치였습니다.
워체스트
21/09/26 23:14
수정 아이콘
제 주변은 없고 제 주변에서 카더라 해서 혈전까진 봤습니다.
달달한고양이
21/09/26 23:33
수정 아이콘
맞지 않으시면 사회적 불이익도 불이익이지만 델타변이 (그리고 이후 알 수 없는 추후 변이까지 포함해서) 특성 상 거의 반드시 걸리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백신 맞기 vs 코로나 걸리기 로 생각해보심은 어떨까요…걱정되시는 측면으로 말씀드리자면 제 주변은 20대 남동생 1차 포함해서 거의 다 맞았고 다들 비슷하게 몸살 앓이 하다가 일상 복귀했습니다.
21/09/26 23:34
수정 아이콘
아제 1차 당일밤 발열 오한 있는 한명 말고는 다 팔뚝만 아프다고
짬뽕순두부
21/09/26 23:34
수정 아이콘
가까운 분중에 그런 일이 생기면 당연히 걱정되실 수 있죠.
저도 주변 분들이 그런 걱정을 하실 때마다 드리는 말씀이 있습니다.
"뉴스 보면 누가 혈전이래더라 누가 죽었다더라 하는데, 정말 위험했으면 그렇게 구체적으로 못나오고 n 명으로 나왔을 것이다. 그만큼 부작용은 소수고, 가능성이 낮다"
화이자 맞으신다구요? 현재 유일하게 미국 FDA 정식 승인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입니다. 즉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백신입니다.
노래하는몽상가
21/09/26 23:42
수정 아이콘
일단 제일 중요한건 남들과 전혀 관련없이
글 작성자분이 신체건강하고,평소 지병없고
특히 호흡기나 심장 관련된 지병,질환이 없다면
걱정을 좀 덜하셔도 될부분입니다.

백신 부작용 사례보다는
코로나 걸렸을때 힘든 사례가 더 와닿아야 할텐데
요즘은 이게 반대가 됬어요..
허저비
21/09/27 00:01
수정 아이콘
전세계에서 접종 기간 대비 가장 많은 사람이 접종한 백신이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겠죠...
수십억명이 직접 몸으로 입증시켜준 백신인데 이걸 불안해서 못맞겠다고 하면 저는 세상에 존재하는 백신 중 우리가 맞을 수 있는게 뭐가 있나 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21/09/27 00:46
수정 아이콘
화이자 1차 맞고 심각한 발진과 두드러기 증상으로 응급실 간 지인이 있습니다.
가서 상담하니까 의사선생님도 2차는 안 맞는게 좋겠다고 해서 2차는 접종 포기했다고 들었네요.
21/09/27 00:47
수정 아이콘
그렇지만 저는 그 다음날 맞고 아무렇지도 않았고 팔뚝 조금 아픈 것도 당일만 그랬습니다.
주변 모든 사람들도 1차든 2차든 전혀 문제 없었고요. 아팠다는 사람을 보질 못했네요.
Arya Stark
21/09/27 00:4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조금더 홀가분하게 맞으러 갈수 있을것 같습니다!
21/09/27 07:12
수정 아이콘
가슴 아픈 일이지만 백신과 관계없이 매년 죽는 사람들은 꾸준히 나옵니다.. 그중에서도 평소에 건강하다가 급사하시는분들도 있지요. 그런데 전국민에게 접종하다보면 그런 분들이 백신을 맞아서 죽는거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백신과 큰 관련이 없는게 대부분입니다. 워낙 다양하게 많은 계층에 맞추다보니 사례가 나오는건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만.. 일단 제 주변은 모두 건강했습니다.
우울한구름
21/09/27 08:53
수정 아이콘
저는 주변 20대 후반 여성에게서 생리 불순 부정 출혈, 알 수 없는 피부병을 보기는 했습니다. 주변 한 친구의 오촌이 백신 접종 후 돌아가신 얘기도 들었고요.
나이스후니
21/09/27 08:55
수정 아이콘
제가 일하는 건물에서 3~4천명이 일하고 이런건물이 또 있고 백신접종율도 90%가까이입니다. 그런데 가장 심한 부작용이 몸살이네요. 큰 부작용이 있었으면 회사에서 소문나고 난리가 났을텐데 조용합니다. 생각처럼 부작용은 없다고 보면 되요
21/09/27 09:19
수정 아이콘
교통사고 날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해서.. 주변엔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541 [질문] 오징어게임 선정성 어떤가요? [10] 실제상황입니다8590 21/09/28 8590
158540 [질문] 엄청 마른 사람이 피티등록을 하면 어떤식으로 지도를 해주나요? [5] 라온하제7242 21/09/28 7242
158539 [질문] 차량 블랙박스 전후방 동시녹화 지원모델은 따로? [3] 허저비7039 21/09/28 7039
158538 [질문] (유게434785글 관련) 오징어게임 스타 1:1 [3] Maroon57793 21/09/28 7793
158537 [질문] 디아2 스위치로 할만한가요?? [8] cald10074 21/09/28 10074
158536 [질문] 전세자금 대출 질문입니다. [4] ForU7746 21/09/28 7746
158535 [질문] 러닝하시는분들 많으신가요~?서울 10키로코스 추천해주세요 [12] 달달합니다11403 21/09/28 11403
158534 [질문] 윈도우 정품 구매 이후 컴퓨터 여러대 설치 [6] 이혜리12812 21/09/28 12812
158533 [질문] 구글 지메일 계정을 새로 만드려는데 다들 어떻게들 아이디 정하시나요? [15] 블랙리스트15750 21/09/28 15750
158532 [질문] 알리에서 구매한LED 3개를 연결해도 될까요? [2] 설탕가루인형형8207 21/09/28 8207
158531 [질문] 인스타그램 릴스 60초 설정이 안 돼요. [2] 신촌로빈훗11031 21/09/28 11031
158530 [질문] 드라마 "괴물"같은 드라마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시오냥8856 21/09/28 8856
158529 [질문] 스위치, 젤다 같은 게임 말고, 랑그릿사1, 2 같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33] 지식의 저주11547 21/09/28 11547
158528 [질문] 특정회원 게시글이나 댓글을 안볼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6] 브루투스10361 21/09/28 10361
158527 [질문] PS5용 TV 셋팅 질문입니다. [4] 카오루8877 21/09/28 8877
158526 [질문] 서유럽에도 앙숙 관계가 있나요?? [18] 이리떼8912 21/09/28 8912
158525 [질문] [LOL]최근에 롤 로딩화면에서 계속 튕기는데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2] 프로미스나인10417 21/09/28 10417
158524 [질문] QM5 배터리교체 [5] 삭제됨7556 21/09/28 7556
158523 [질문] 운영진이 완성했던 유게글 찾습니다. [10] 라라 안티포바9106 21/09/28 9106
158522 [질문] 신경치료를 받았는데 곤란한 상황이 됐습니다. [7] 팅팅9009 21/09/28 9009
158521 [질문] 오버헤드 스쿼트는 왜 난이도가 높은걸까요? [13] 아니그게아니고11050 21/09/28 11050
158520 [질문] 사회초년생 첫 재테크 시작 관련 문의사항! [12] 스윗N사워8504 21/09/27 8504
158519 [질문] 2년 계약직 계약만료 실업급여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그때가언제라도7541 21/09/27 75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