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11 14:35:43
Name nexon
Subject [질문] 연예인들이 받는 높은 출연료는 실제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지급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유명 가수, 탈렌트, 개그맨 같은 연예인들은 높은 출연료과 광고료를 받아 짧은 시간에 많은 부를 축적하는데요

방송국이나 기업에서 그렇게 많은 돈을 줘가면서 연예인들과 계약하는 것은 실제로 그것이 효과가 있기 때문일까요...?


그리고 출연료와 광고료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인데

만약 연예인들이 받는 출연료/광고료가 크게 낮아진다면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도 많이 낮아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표팔이
21/09/11 14:39
수정 아이콘
다 시장논리입니다 그만큼 돈 받는건 돈값을 하죠 (시청률이건, 매출이건)
그런데 한계효용이 있어서 무조건 비싸다고 비싼값을 하야 그건 또아니고
싸다고 다 쌈마이하고 그렇진 않구요
그리고 출연료/광고료가 크게 낮아진다고 소비자 부담가가 극적으로 낮아지는일도 없을겁니다
다 계산 때려보고 최대한 남길수 있는만큼 남겨서 받아먹겠죠
21/09/11 14:47
수정 아이콘
연예인한테 주는비용이랑 그 광고를 티비 신문 웹페이지등에 올리는게 더들까요?

만만한게 연예인이라그러지 다른비용이 훨씬더들겁니다
개념은?
21/09/11 15:11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가 잘 안되긴하지만...
전지현 수억주고 써도 가방 하나 메고 나오면 바로 다음날 완판된다고하니.. 쓸만하니까 쓰는거겠죠
보라괭이
21/09/11 15:15
수정 아이콘
이익 추구하는 기업들이 그만큼 돈 주고 쓴다는 건 그만큼 효과가 있기 때문이겠죠.
또한 연예인들 몸값, 광고비가 싸진다고 제품 가격이 싸지진 않을 겁니다. 간단하게 단통법 생각해보세요. 통신사들 수익이 엄청 증대됐는데 가격 내리던가요? 안 내리죠(...)
21/09/11 15:29
수정 아이콘
연예인을 써서 제품 인지도가 올라가고 그 비용은 소비자에게 전가되죠. 그런데 연예인을 안써서 인지도를 못올리면 그 모든 재고비용은 판매자가 떠앉는거죠. 결국 소비자가 찾아오게 하려면 차별화 경쟁에서 이겨야하는데, 거기서 가장 쉽고 싸게먹히는게 유명연예인을 써서 인지도를 올리는거죠.
VictoryFood
21/09/11 15:49
수정 아이콘
좋은 상권의 가게 임대료가 비싼 것과 같은 원리죠.
비싼 임대료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가 되는데 그게 싫다고 낮은 임대료의 건물로 이사를 가면 손님이 안와서 결국 손해니까요.
키모이맨
21/09/11 16:12
수정 아이콘
제 경험상 세상 모든게 다 그렇지만 그사세인 면이 있습니다
연예계에 관심없는 사람들은 영원히 관심없는데 관심많은 사람들사이에서는 남초사이트에서 롤선수가지고 이야기하듯이
장안의 화제인거죠 유명한 모 여자연예인이 가방하나들었다하면 다음날 바로 완판되고 뭐 이러는?
21/09/11 16:50
수정 아이콘
물건을 팔려면 다른 사람이 그 물건의 존재를 알아야합니다. 그래서 홍보와 마케팅이 중요한 것이죠.
학술적으로 정확한 이유를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과거에 유명 연예인을 고용해서 광고를 했을 때, 광고를 하기 전과 비교해서 판매량과 매출액이 급증했던 사례가 많으니 굳이 큰 돈을 들여가면서 출연료와 광고료를 쓰는 것이겠죠?
21/09/11 17:29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시장에서 바라볼 때, 그만큼의 가치가 있으니 지급되는 걸 겁니다.
물론 그 중에도 돈값을 하는 경우와 돈값을 못하는 경우는 존재하겠죠.
예를 들어 최근에도 모 아이돌과 연애이야기로 떠들썩했던 모 남자 배우의 출연료는 아깝다는 말이 종종 나오는 반면에,
국민 예능인이라 불리는 모 예능인의 출연료는 아깝다는 말이 거의 나온적이 없는 것처럼요.
21/09/11 17:30
수정 아이콘
팔로우 수만 되는 인플루언서만 해도 광고효과가 높은편인데 수십~수백만 가볍게 찍는 연예인들은 훨씬 더하겠죠? 다 이유가 있으니 광고주들이 돈 싸들고 줄서있는겁니다. 앉아서 쉽게 돈 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애초에 탑급 연예인 되기가 로또되기보다 힘들뿐더러 유지하기는 더더욱 힘들어서.. 국내에서 광고료 억대로 받는 연예인들 몇이나 되나 생각해보면 대충 얼마나 힘든지 답 나오죠.
20060828
21/09/11 17:38
수정 아이콘
이재용 청문회 립밤만 봐도 알 수 있죠
21/09/11 18:11
수정 아이콘
그 돈을 안쓰고 '알릴수 있는 다른 방법' 이 있다면 해결되겠지만..

그냥 홍보/마케팅 같은걸 어느 업계던 가셔서 한번만 체험해보셔도 생각이상으로 돈이 많이 든다는걸 알게 됩니다..


심지어 업계 탑인 코카콜라 / 신라면 뭐 이런것들조차도 그 자리를 유지하려고 계속 마케팅을 하는데...
싶어요싶어요
21/09/11 19:13
수정 아이콘
선전비에 비하면 연예인 몸값은 그렇게까지 큰건 아니지않나요. 광고를 안하면 제품이 안팔리니... 광고가 효율이 좋냐 하면 또 그건 아니지만 방법이 없죠.
21/09/12 00:16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200 [질문] 스타듀밸리 하신분들에게 질문 [5] 원장12458 21/09/13 12458
158199 [질문] 유치가 빠졌는데, 임플란트를 해야 할지.. [9] 아난8708 21/09/13 8708
158198 [삭제예정] 전세계약금으로 주택담보대출 상환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18] 삭제됨6930 21/09/13 6930
158197 [질문] 생애 첫 차로 전기차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 동싱수싱11808 21/09/13 11808
158196 [질문] 화장품알못입니다. 도와주세요. [14] BlazePsyki15381 21/09/13 15381
158195 [질문] 건보료 기준으로 지원금 못받는 분들은 억울하지 않으신가요? [22] Navigator9693 21/09/13 9693
158194 [질문] 한심하게도 중고나라 소액이지만 사기당했습니다 [18] 롯토11008 21/09/13 11008
158192 [질문] 19금 성인 드라마나 영화 추천부탁드려요 [12] Splendid13467 21/09/13 13467
158191 [질문] 골프 처음 치시는 분들 다들 손가락 아프신가요? [12] 소디8472 21/09/13 8472
158190 [질문] 롤 프로씬에서 포지션별 중요도가 어떻게될까요? [8] 김솔9389 21/09/13 9389
158189 [질문] Remarkable 태블릿 사용해보신 분 계신가요? [3] 휵스11865 21/09/13 11865
158188 [질문] 식당 복국 복 종류에 따라 국물도 다른지요? [2] 초보저그11142 21/09/13 11142
158187 [질문] 안경과 마스크에 관한 질문입니다. [11] 좋은마음11382 21/09/13 11382
158186 [질문] 아까 저녁에 올라온 유게 글 질문입니다. (격투 게임 한일전) [4] Zakk WyldE10752 21/09/13 10752
158185 [질문] bgm 제목을 찾습니다!!! (파일첨부) [3] 굼치14625 21/09/12 14625
158184 [질문] 퇴근하면 완전히 잠수타는 직원 [49] 검정머리외국인20515 21/09/12 20515
158183 [질문] 10년전 모니터는 FHD모니터가 아닌가요? [5] 삭제됨14351 21/09/12 14351
158182 [질문] 카운터 사이드 트로피 관련.. [1] 에린의음유시인14261 21/09/12 14261
158181 [질문] 아파트에서 주방 후라이팬 말고 배란다에서 고기 구울 수 있을까요 [21] 농심너구리9705 21/09/12 9705
158180 [질문] 여자친구랑 자꾸 싸웁니다. [21] 종이컵19338 21/09/12 19338
158179 [질문] s10e vs 12미니 배터리타임 [6] Neoguri10201 21/09/12 10201
158178 [질문] 모더나 화이자 백신 알레르기반응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HamaHama8556 21/09/12 8556
158177 [질문] 라이젠 4세대 이륙 가능한가요? [12] 자두삶아9743 21/09/12 9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