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23 16:47:22
Name 요한슨
Subject [질문] 쇼메이커 커리어 최고로 뽑히는 대회는 뭘까요?

20 스프링 이전까지는 팀 전체적으로 지금같은 평가가 아니었으니 제외



1. 20 서머 - 정규시즌 MVP 미드캐리로써의 포텐이 완전히 터진 대회

2. 20 롤드컵 - 너구리와 보여줬던 쌍끌이 캐리의 정석

3. 21 스프링 - 쇼시경으로 대표되는 미친 조이로 올프로 퍼스트에 등극한 시즌

4. 21 MSI - 팀원들이 오락가락 하는 가운데서도 묵묵히 본인의 역할을 다하다

5. 21 서머 - 미드뿐만 아니라 원딜로도 본인 몫과 기량을 입증



저 개인적으론   1 > 4 > 2 > 3 > 5  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자몽
21/08/23 16:52
수정 아이콘
대회 티어 순이 아닐까요?

지역 대회에서 아무리 잘해도 세계 대회에서 이긴것만 못하다고 보거든요 (훗날에 남는건 대회 커리어 뿐이니까요)

커리어가 아니라 폼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에바 그린
21/08/23 16:56
수정 아이콘
4번이죠. 토너먼트 들어서 힘이 빠졌고, 결승에서 크라인한테 판정패당하면서 비록 준우승에 그쳤지만,
그 이전 조별리그 및 럼블스테이지에서 팀을 멱살잡고 끌어올리는 캐리력으로 쇼메이커의 자질논란(?)을 종식시키기엔 충분했죠.

굳이 하나를 더 꼽는다면 저는 제외한다고 하신 19서머-롤드컵으로 이어지는 기간이 쇼메이커라는 선수가 꽃 피우기 시작한 시기라서 기억에 남네요. 이때가 내가 먹고 캐리할거야 마인드였던 시절인데 캐리력을 제대로뽐냈죠. 위에 적어주신 너구리랑 쌍끌이가 가장 돋보인건 이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스위치 메이커
21/08/23 17:00
수정 아이콘
당연히 20 롤드컵이죠
애플리본
21/08/23 17:01
수정 아이콘
딱 말씀하신대로네요. 1번은 팀적으로도, 개인으로도 매우 파괴적인 시즌. 그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것 같던 시기. 4번은 팀은 우승하지 못했지만 본인이 증명한 대회
묻고 더블로 가!
21/08/23 17:1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MSI 네요
그전까지는 쇼메이커를 개인적으로 안티캐리형 미드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생각을 완전히 부숴준 대회
Nasty breaking B
21/08/23 17:23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 개인만 보면 21 MSI가 최고 퍼포먼스였다고 생각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1/08/23 17: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4번이라고 생각합니다
미드 한정 퍼포먼스 역대급이었다고 봐요 하필 마지막 결승에서 삐끗한게 아쉽긴 한데... 17페이커 생각났어요
15페이커 18루키나 19도인비도 매우 매우 훌륭했지만 그 퍼포먼스가 20서머 롤드컵 때 너구리같은 느낌이었다면(본인도 매우 뛰어나게 잘했지만 같은 팀원들도 다 잘했던) 17롤드컵 페이커나 21MSI 쇼메는 진짜 일당백 최후의 명장 수준이었음...ㅠ
담원기아 조별 및 럼블스테이지, 그리고 4강까지도 쇼메 없었으면 담원기아 진작 탈락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요
그 다음이 20 서머-롤드컵-21 스프링 순이라고 보구요
21/08/23 17: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4번 MSI때가 가장 좋았습니다 저 시점을 기준으로 미드라이너 총역량에서 쇼메>쵸비 근소 우위라고 생각을 바꿨습니다
Bronx Bombers
21/08/23 17:41
수정 아이콘
올해 MSI는 쇼메이커 그 활약 없었으면 진짜 담원 준결승도 못 갔을겁니다.
다른 라인이 다 메롱인 상태에서(심지어 준수하던 고스트도 조별리그 이후로는 영 아니었는데) 혼자 독야청청 빛났죠
21/08/23 17:58
수정 아이콘
4번 이후로 쇼메 저평가하는 의견이 많이 사그라든 것 같아요. 그 전에는 쵸비 > 쇼메라는 의견도 심심치 않게 보였는데 그 쵸비롤을 국제대회에서 내내 보여줘버려서.
뻐꾸기둘
21/08/23 21:52
수정 아이콘
개인 퍼포먼스는 12MSI였던듯.
다시마두장
21/08/23 23:12
수정 아이콘
저도 1,4번 봅니다.
팀과 함께 강함이 봇물처럼 터져나오던 시기, 팀이 부진할 때 홀로 빛났던 시기죠.
후자는 5연갈로 팀의 멱살을 끌어올렸던 페이커의 그것이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755 [질문] 저 같은 케이스가 피공포증? 주사공포증? 어디에 포함되는지 모르겠네요. [3] 요한슨12451 21/08/26 12451
157754 [질문] 영문 보고서 템플릿 or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고싶어요 난할수있다14391 21/08/26 14391
157753 [질문] 수질 부적합 생수는 버리는 편이 낫나요? [4] LG의심장박용택13099 21/08/26 13099
157752 [질문] 매불쇼 들으시는분 질문.. (오세훈관련) [7] 하나둘셋11295 21/08/26 11295
157750 [질문] 50만 행 정도의 데이터를 엑셀로 그래프 그릴 때 필요한 pc 사양? [10] 차라리꽉눌러붙을12120 21/08/26 12120
157749 [질문] 컴퓨터 이상 현상 관련 해결 방법 질문입니다. [3] 원스11765 21/08/26 11765
157748 [질문] 컴퓨터가 재부팅 현상이 계속되는데 왜 그럴까요? [10] 6733 21/08/25 6733
157747 [질문] 출퇴근길 코스 질문 입니다. [8] 원스7390 21/08/25 7390
157746 [질문] 토익 추천 부탁드립니다. (주말반) [2] 최강한화11022 21/08/25 11022
157745 [질문] 인천 부평의 별미칡냉면 아시는분 계신가요? [7] 조말론9605 21/08/25 9605
157744 [질문] [e북리더기]e북리더기로 웹소설보기 [4] 엉망저그10728 21/08/25 10728
157743 [삭제예정] 지방거주 외국인 한국어학당 [2] 삭제됨8738 21/08/25 8738
157742 [질문] 정부가 공공임대를 자꾸 늘리는 이유가 뭘까요? [65] 바둑아위험해17180 21/08/25 17180
157741 [질문] 방화동 사시는 분들 어떠신가요? [6] 호아킨11617 21/08/25 11617
157740 [질문] 컴퓨터로 고화질컨텐츠 볼 수있는게 뭐있을까요? [4] 스물다섯대째뺨12104 21/08/25 12104
157739 [삭제예정] 키압 차이 좀 날까요? [16] 삭제됨13186 21/08/25 13186
157738 [삭제예정] 부동산 매도 관련 잔금처리, 등기 등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7] 삭제됨10546 21/08/25 10546
157737 [질문] 마이크로파를 차단하려면 뭘로 막아야될까요? [10] 하얀마녀10672 21/08/25 10672
157736 [질문] 무직 이나 자영업자는 연금저축 보험 혜택이 없죠? [2] LG의심장박용택18250 21/08/25 18250
157735 [질문]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2 어떤 플랫폼이 좋을까요? [8] 니쥬12238 21/08/25 12238
157734 [질문] 코스피200 선물매매의 성격에 대해 궁금합니다.. [16] nexon10169 21/08/24 10169
157733 [질문] 메인보드 수리 의뢰하여 수리 완료후 발견된 문제에 대하여 [6] 틀림과 다름13914 21/08/24 13914
157732 [질문] 아파트 리모델링 비용 [15] 해먹10821 21/08/24 108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