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17 09:55:15
Name 쉬군
Subject [질문] 저한테 맞는 투자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지금까지 이런저런 집안 사정때문에 투지금까지 투자에 관심이 없다가 (없다기 보다는 투자할 여력이 안되다가) 이제 약간의 여유가 생겼습니다.

이 돈을 그냥 통장에 묵혀놓기에는 약간 아쉬운 감이 있는데 투자를 할려니 뭘 하는게 좋을지 모르겠네요.

목적은 그냥 여윳돈 묵혀두면서 은행보다 약간이나마 더 수익을 냈으면 좋겠다.. 정도의 생각입니다.

코인이나 주식이 추천이 많긴 하던데 제가 진짜 소소한 금액으로 코인이랑 주식을 경험해본 결과 진짜 하루종일 차트만 들여다 보게되더라구요.

그리고 리스크 지는걸 극도로 싫어하는 성향이기도 하구요.

저같이 로우리스크를 지향하고 그냥 장기간 묵혀두면서 수익을 내고 싶은 사람에게는 어떤 투자 방법이 좋을까요?

아 금액은 월 ±100만원 정도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답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리고 투자중이신 분들은 다들 대박나시길 기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17 10: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고 묵혀두실거라면 펀드나, ETF(종목중에서도 SPY, QQQ등 운용자산이 큰것들 위주로)등 여러 주식을 모아서 가격이 나오는 상품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비정기적으로 구매를 하지마시고, 한달에 한번 얼마 딱 정해서 이날에 살수있게 설정을 해두신다던지, 그런 기능이 없는 증권사이트라면 스케줄 등록해두셔서 매번 까먹지말고 정기적으로 살수있도록요. 그래야 로우리스크로 적절한 리턴을 바라보실 수 있을 겁니다..
다만, 장은 언제나 오르락 내리락 한다는 생각을 가지시고, 사면 리스크가 아예 없이 무조건 조금이라도 수익이 나겠지 하는 기대는 버리시고,
정기적으로 사다보면 조금씩 우상향으로 적당한 수익을 바라볼수 있겠구나 하는식으로 생각해 보세용
21/08/17 20:45
수정 아이콘
일단 ISA 계좌까지는 만들었고 종목을 살펴보고 있는 중입니다.
저도 그냥 묻어두고 가끔씩 보는 정도, 그리고 매달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어서 찬찬히 보면서 결정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로즈엘
21/08/17 10:10
수정 아이콘
주식으로 신경 안쓰고 장기투자하려면 ETF가 적합하죠. 근데 분명 주식인 이상 하락장이 있는데, 이 시기에 대해서 복구된다고 생각하고, 버티거나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주식 구매를 하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ETF 보유시 하락한다고 신경쓰면서 이것저것 고민한다면 다른 투자 방법을 쓰신다 해도 계속 신경 쓰실꺼 같아요.
21/08/17 20:45
수정 아이콘
일단 ISA 계좌까지는 만들었고 종목을 살펴보고 있는 중입니다.
저도 그냥 묻어두고 가끔씩 보는 정도, 그리고 매달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어서 찬찬히 보면서 결정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1/08/17 10:17
수정 아이콘
미국 s&p500 etf 가 가장 무난하겠지만 리스크를 극도로 싫어하는 성향이라면 etf 조차도 하면 안되긴 합니다.

그런데 이참에 생각을 바꿔보는게 좋겠죠.
21/08/17 20:45
수정 아이콘
일단 ISA 계좌까지는 만들었고 종목을 살펴보고 있는 중입니다.
저도 그냥 묻어두고 가끔씩 보는 정도, 그리고 매달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어서 찬찬히 보면서 결정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월급루팡의꿈
21/08/17 10:33
수정 아이콘
100만원이라면 70정도를 매달 정해진 달에 QQQ를 삽니다. 30정도는 달러로 바꿔놓기만 하고 있다가 혹시 고점대비 10% 혹은 그 이상 떨어졌을때 기계적으로 삽니다.
그냥 누가 저한테 장기적으로 돈을 맡긴다면 이렇게 하고 싶습니다. 어떠신가요.
21/08/17 20:46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방법도 꽤 괜찮아 보이긴 합니다.
달러 환전은 생각해보진 않았는데 그것도 고려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월급루팡의꿈
21/08/17 20:51
수정 아이콘
달러환전을 그 즉시하는 것은 이것또한 변동성이 꽤 있는 달러를 기계적으로 사기 위함입니다. 쌀때 많아 사놓을수도 있겠죠.
70정도라는 비율은 적당히 조절해보시구요..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다시피 지금 엄청 고점이라.. (QQQ 기준 320일때부터 이 생각을 했다는게 문제이긴 합니다.. )
21/08/17 20:55
수정 아이콘
주변에도 월 어느정도씩 달러를 사두시는 분이 계시더라구요.
괜찮은 방법이라는 생각을 하긴 했었습니다.
투자 타이밍이 썩 좋지는 않은게 맞나봐요. 고점이라는 이야기를 해주시는 분들이 꽤 계셔서..
그래도 천천히라도 우상향한다면 꾸준히 구매하면서 장투를 생각하고 있어서 고민해봐야 겠습니다. 흐흐
21/08/17 10:50
수정 아이콘
리스크가 싫으면 적금 하셔야죠.
21/08/17 20:46
수정 아이콘
제가 리스크를 극도로 싫어한다고 적긴했는데 말씀하신대로 노리스크를 생각한건 아니긴 했습니다 흐흐
안그래도 적금 상품도 뒤져보고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1/08/17 20:48
수정 아이콘
리스크를 극도로 싫어하시면 안정적인 투자처를 찾아서 몰빵하시기 보다는,
적금/투자의 비율을 조절해서 쉬군님이 리스크를 감당할만큼의 비율을 결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적금90/주식투자10 이런 식으로요.
21/08/17 20:52
수정 아이콘
네 우선 ETF쪽 정보를 좀 모아보고 적금이랑 병행도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비율은 계산기 좀 두들겨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요기요
21/08/17 12:09
수정 아이콘
ETF 좋죠.
그런데 리스크를 극도로 지기 싫어한다면 이티엪도 하지 마셔야 합니다.
저만 해도 올해 ETF 2개 들어갔다가 5개월 지나서 손절했습니다. 당연히 제가 어리석죠. 길게 수년 이상을 바라보며 들어가보는 ETF를 수개월 하락 횡보에 겁을 먹고 나왔습니다.
리스크와 스트레스 감당 못한다면 은행뿐입니다..
21/08/17 20:47
수정 아이콘
제가 리스크를 극도로 싫어한다고 적긴했는데 말씀하신대로 노리스크를 생각한건 아니긴 했습니다 흐흐
아마 위에 추천해주신 분들 말씀대로 ETF 큰 종목 위주로 꾸준히 묻어두고 신경 안쓰는 방식을 생각중이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꿈트리
21/08/17 12:29
수정 아이콘
IRP계좌에서 예금드시면 됩니다. 이자소득세 과세이연이 되고 지방은행에서 가끔 높은 금리 올려 좋습니다.
21/08/17 20:48
수정 아이콘
오 IRP 계좌도 있군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꿈트리
21/08/18 08:06
수정 아이콘
추가로 TDF라는 펀드도 있는데요, 채권비율이 조정됩니다.
미국장에 투자하는 펀드이고 채권비율이 높아 어떻게보면 ETF보다 더 안정적입니다.
kb가 총보수율이 젤 저렴합니다.
21/08/17 13:18
수정 아이콘
나스닥 매월 배당하는 ETF에 적립식 투자해보는게 어떨까 싶네요. 종류는 찾아보시면 글로벌 고배당 주식에 투자하거나 부동산 등 여러 개가 있습니다.
21/08/17 20:49
수정 아이콘
우선 ETF쪽으로 찬찬히 알아보고 있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21/08/17 17:32
수정 아이콘
리스크를 싫어하면 투자를 하시면 안되고
수익도 바라시면 안됩니다
세상에 그런건 없습니다
21/08/17 20:50
수정 아이콘
제가 리스크를 극도로 싫어한다고 적긴했는데 말씀하신대로 노리스크를 생각한건 아니긴 했습니다 흐흐
제가 감당할 수준으로 찾아봐야될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21/08/17 20:33
수정 아이콘
지금은 좋은 타이밍이 아닌 것 같습니다.
가장 무난한 게 s&p500 추종 etf인데 그것도 너무 올라서…
입장투가 아닌 진장투라면 그나마 가장 나은 선택같습니다.
21/08/17 20:50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비슷한 이야기를 해주신 분도 계셨는데 그래서 찬찬히 알아보면서 결정할려구요.
추천 감사합니다.
21/08/18 13:30
수정 아이콘
초 저리스크 ETF라면 VT가 있긴 합니다....근데 은행보다 이자 더 주면서 리스크 없는 상품은 없더라고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604 [질문] 사촌여동생에게 큰 도움을 받았는데 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6] kogang200119052 21/08/19 19052
157603 [질문] 윈도우10에 갑자기 테스트 모드라는 글자가 떴는데요 [5] 삭제됨10622 21/08/19 10622
157602 [질문] 투자관련 PGR 글 하나만 찾아주실 수 있으실까요?? [2] 인간성승헌8535 21/08/19 8535
157601 [질문] 신혼부부 부동산 재테크 질문입니다. [17] 부처13484 21/08/19 13484
157600 [질문] 저사양 노트북으로 게임할때 문제점 [8] 기동전사건담11938 21/08/19 11938
157599 [질문] 지금 칩셋 품귀현상이 심한가요? [1] 초갼8471 21/08/19 8471
157598 [질문] 외장하드 추천해 주실 거 있나요? [6] 겨울愛10700 21/08/19 10700
157597 [질문] 본의아니게 백신을 세번 맞을 것 같은데 문제는 없겠죠? [4] 프라이드랜드2112256 21/08/19 12256
157596 [질문] 취업시 연봉 언제 물어보세요? [10] 다이어트14655 21/08/19 14655
157595 [질문] 아이가 푸는 수학 문제입니다. [20] 영혼의 귀천15837 21/08/19 15837
157594 [질문] 전세권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큐브큐브8900 21/08/19 8900
157593 [질문] 이사 갈 때 신경 써야 하는 사소한 것들 조언 부탁 드립니다. [7] 원스12295 21/08/19 12295
157592 [질문] 연금보험 잘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31] 모나크모나크15574 21/08/19 15574
157591 [질문] 거실에서 PC게임을 하고싶어요! [12] 신류진11044 21/08/19 11044
157590 [질문] 주차 관련. 이런 경우 차를 빼줘야 할까요? [12] 브루스웨인8035 21/08/19 8035
157589 [질문] 전셋집 창문유리에 금이 갔는데 비용지불책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 애플9446 21/08/19 9446
157588 [질문] 로아 1350->1415 어떻게찍을까요? [8] 키모이맨10481 21/08/19 10481
157587 [질문] 헬스 인바디도 어느정도 오류가 있을까요?( 근손실 관련) [14] 삭제됨10091 21/08/18 10091
157586 [질문] 펀드는 누가 사는걸까요???? [18] 비타에듀10431 21/08/18 10431
157585 [질문] 코로나19 백신접종 예약 관련 문의드립니다. [7] acdang8886 21/08/18 8886
157584 [질문] 샤오미도 화웨이 처럼 보안 문제가 있을까요? [10] 맛있는새우7465 21/08/18 7465
157583 [질문] 엔비디아 드라이버 버전 추천좀 해주세요. 진인환10025 21/08/18 10025
157582 [질문] 자동차 접촉 사고가 났는데요 어떻게 대처 해야 될지 몰라 질문드립니다. [13] 밴더16012 21/08/18 160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