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16 00:06:47
Name 격멸
Subject [질문] 현관문 결로 중문 효과 있나요? (수정됨)
복도식 아파트이고 복도에 창문은 없어서 바람이 바로 들어 오는 구조입니다.

제가 들어오기 전 주인이 현관문 안 쪽에 두꺼운 문풍지라고 해야 하나 단열지라고 해야 하나
그런 걸 붙혀 두셨더라구요.
이거 떼면 안되냐 그러니 겨울에 결로 현상 생겨서 현관문 주위 도배지 다 젖고 곰파이 까지 핀다고 그러더라고요.

근데 이게 두껍다 보니 문이 한 번에 안 닫히고 손잡히 잡고 문을 꾹 눌러 주고 한 2초 기다려야 닫힙니다.
이것도 은근히 귀찮고... 이번에 도배 한다고 다 떼버렸는데 다시 붙히기도 좀 그렇고 해서요.

그래서 알아보니 중문이 효과가 있다고 그러던데,

겨울에 중문이 있으면 현관이랑 중문 사이 온도차가 얼마 안나서
결로가 안 생기거나 덜 생길까요?

ps.지금은 결로가 나타나 곰팡이가 생기진 않았고, 다가오는 겨울에 대비하여 드리는 질문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16 00:19
수정 아이콘
있던결로를 중문으로 막을순 없습니다.
21/08/16 00:19
수정 아이콘
지금은 없어요.
21/08/16 00:55
수정 아이콘
중문이 사이즈나 구조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 60만원은 들어갑니다.
현관문은 사실상 집의 가장 바깥쪽인데, 아파트라고 하시니 그 주변은 어느 정도 '구획'으로 구분된 '신발장 공간'이 아닐까 싶은데요.
구획 구분이 된다면, 도배지 제거하시고 페인트를 칠하시는게 "금액" 생각하면 훨씬 싸게 먹힐 것 같습니다.
21/08/16 01:01
수정 아이콘
지금은 결로가 없구요.
신발장 공간 맞아요.
앞으로 겨울이 다가오니까 미리 예방 하는 차원에서 중문을 설치할까 했던 거에요.
효과가 있으면 돈은 문제가 아닙니다.
21/08/16 01: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다면 중문을 달면 더 안될 것 같은데요?
결로를 안생기게 하려면 무엇보다도 결로가 생기는 "벽체"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아야 안생기는 것인데,
중문을 설치하여 실내와 '차단'하면 실내 온기를 못받는 현관의 온도가 더 낮아질 것이고, 현관 벽체의 온도가 더 낮아질 것인데요?

현재 : 실내 - 현관문 - 실외인데, 중문 이후 : 실내 - 신발장공간 - 현관문 - 실외로 구분되며,
신발장 공간은 지금은 실외의 찬기운을 받으면서도 실내의 난방효과를 받고 있지만, 중문이 생기면 실외 찬기운은 그대로에 실내 난방효과만 줄어들게 되어,
신발장 공간의 찬기운기 더 강해지고, 그러면 신발장 벽체 온도가 더 낮아져서 결로가 더 심해질 것 같습니다.

신발장 공간에 중문을 설치하는 이유는, 현관 바깥에서 오는 열기/냉기나 소음을 막고 실내의 온기/냉기를 보존하려고 하는 것이기에,
외부에서 오는 찬기운을 그 바로 앞에서 저감하고자 중문을 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오직 현관의 결로만 바라보면, 1.현관문을 보수하여 현관문의 보온 수준을 높이거나, 2.현관 주변의 도배지를 뜯어내고 흡습제 페인트로 칠하거나, 4.겨울철 난방을 잘 돌려서 현관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안내려가게 관리하거나, 4.해당 층 전체를 설득해서 복도에 샤시 달거나.. 인 듯 하네요.
21/08/16 01:24
수정 아이콘
실내의 따뜻한 공기와 현관 쪽에 찬 공기의 온도차 때문에 결로가 생기니까
중문 달아서 중문 바깥쪽 즉 신발장공간과 현관 공간(한 공간)을 그냥 차게 두어서 결로 안 생길 줄 알았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보네요.
다시 한 번 알아 보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21/08/16 01:30
수정 아이콘
결로는 그냥 습기를 품은 공기가 차가워지면 발생하는 것이라서,
현관이 차가우면 현관에 생기는 것이고, 중문이 차가우면 중문에 생깁니다.
중문을 달고 해서 1단계 내부 2단계 중문 3단계 현관 이렇게 해봐야, 현관이 차가우면 그냥 현관에 생기는 거라서요.

현관에 생기는 결로를 막는 법은 현관을 덥히는 방법입니다.
리얼월드
21/08/16 01:34
수정 아이콘
예상뿐이니 결정은 본인이 하세요 ㅠㅠ
현관은 아니지만 주방 베란다쪽 중문 열면 베란다에 결로 생기는데, 중문 닫으면 결로 안생기더라고요
같은 이유로 중문이 있으면 괜찮치 않을까 싶습니다
21/08/16 09:51
수정 아이콘
현관 결로 예방법은 2가지 뿐입니다.

1. 현관 주변 단열
현관 문 주변 기본 구조상 단열재를 신규로 설치 할 수 없는 구조 일 경우 현관 주변 단열 , 방수 페인트 처리 하시면 됩니다.

2. 현관문 (방화문 교체)
고려하실 점은 / 내부 단열, 방화 심재로 100K 이상 (120K 이상 권장) 밀도의 미네랄 울 (그라스울은 습기에 약합니다.)
현관 구조와 밀실하게 잘 맞는 구조 입니다.

현관 단열은 사실 위 2가지 방법 이외에는 벽 구조체를 변경하지 않는 한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위에 다른 분들이 말씀해 주신바와 같이 중문 구조는 단열과는 무관합니다. 일반 복도식 아파트에 중문구조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616 [질문] 폴드3 케이스 및 악세서리 어떤걸 준비해야 할까요? [4] Secundo8901 21/08/20 8901
157615 [질문] 애플 에어드랍 질문드립니다. (아이맥->아이패드 pdf 전송실패) [7] 대왕세종20278 21/08/19 20278
157614 [질문] 방역 4단계 3인이상 집합금지 걸리면?? [5] AKbizs13514 21/08/19 13514
157613 [질문] 한 달 정도 공부해서 딸 수 있는 자격증 있을까요? [13] 실버벨10123 21/08/19 10123
157612 [질문] 구글 플레이어 결제 환불 가능한가요? (해킹) [1] 산울림9688 21/08/19 9688
157611 [질문] 평소 자주 먹는 음식 가운데 생각보다 더(?)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은 어떤게 있을까요? [15] Closing10164 21/08/19 10164
157610 [삭제예정] 아이패드 프로5 vs 갤탭 7 + [20] 아니그게아니고10273 21/08/19 10273
157608 [질문] 오픈형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류닌8950 21/08/19 8950
157607 [질문] 연석을 밟았는데 타이어 바꿔야 할까요? [5] I.O.I12550 21/08/19 12550
157605 [질문] 갤럭시 워치4 카톡 답장이 안돼요. 지금이대로9333 21/08/19 9333
157604 [질문] 사촌여동생에게 큰 도움을 받았는데 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6] kogang200119017 21/08/19 19017
157603 [질문] 윈도우10에 갑자기 테스트 모드라는 글자가 떴는데요 [5] 삭제됨10608 21/08/19 10608
157602 [질문] 투자관련 PGR 글 하나만 찾아주실 수 있으실까요?? [2] 인간성승헌8518 21/08/19 8518
157601 [질문] 신혼부부 부동산 재테크 질문입니다. [17] 부처13461 21/08/19 13461
157600 [질문] 저사양 노트북으로 게임할때 문제점 [8] 기동전사건담11917 21/08/19 11917
157599 [질문] 지금 칩셋 품귀현상이 심한가요? [1] 초갼8458 21/08/19 8458
157598 [질문] 외장하드 추천해 주실 거 있나요? [6] 겨울愛10684 21/08/19 10684
157597 [질문] 본의아니게 백신을 세번 맞을 것 같은데 문제는 없겠죠? [4] 프라이드랜드2112241 21/08/19 12241
157596 [질문] 취업시 연봉 언제 물어보세요? [10] 다이어트14625 21/08/19 14625
157595 [질문] 아이가 푸는 수학 문제입니다. [20] 영혼의 귀천15788 21/08/19 15788
157594 [질문] 전세권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큐브큐브8881 21/08/19 8881
157593 [질문] 이사 갈 때 신경 써야 하는 사소한 것들 조언 부탁 드립니다. [7] 원스12272 21/08/19 12272
157592 [질문] 연금보험 잘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31] 모나크모나크15501 21/08/19 155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