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10 17:53:06
Name Keepmining
Subject [질문] MZ세대 간(?) 세대차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수정됨)
아마 이 게시판에서 대답을 듣기가 쉽지는 않은 주제인것 같긴 합니다만..;
세대차이 관련 유머게시판 글을 보다가 MZ세대로 일컬어지는 소위 '젊은/어린 사람들'간에서 나뉘는 세대차이에 대해 궁금해져서 질문드립니다. 90 / 00 간 차이라고 해 둡시다.
먼저 저는 90년대 초반생임을 밝힙니다.


MZ세대를 큰 틀로 묶어서 기성 세대와의 기본적 간극은 MZ세대가 사회초년생으로 진출하고 난 뒤의 경험담과 저서들로 비교적 정리가 잘 되어 있는데, 현 30대/20대/10대 간의 내부적 차이에 대해서는 사회학적으로 딱히 일반론적 성격을 가진 내용을 찾지 못해서,
혹시 각자 간접적으로라도 경험담이 있으신지 (학부모로서의 경험, 자영업자가 20대 초반을 알바로 받아본 경험 등..) 여쭤보려고 합니다.

주로 90년대생 00년대생 세대차이 이런 키워드로 검색하면 큰 골자에서의 내용 말고 그냥 '라떼는 플로피 디스크란게 있었는데, 요즘애들은 싸이월드도 몰라?' 정도의 가벼운 유머자료만 있더라구요.
저도 많은 후배들을 깊게 얘기해보진 못해서 잘 모르지만 90년대 후반생 후배들을 봤을때, 굳이 문화코드나 유행가, 유행가수, 유행게임 같은걸 강요하지만 않는다면 일상 대화에서 사고방식 차이가 튀어나와 부담스러울 정도로 다르지는 않다고 느끼긴 했습니다.
뭔가 굳이 일반론화 시킬 수 있는 세대차이(?)가 나는 점이라고 한다면..

- 학원가 생활과 입시경쟁은 90년대 초반생보다 '더 치열'해졌다. 라떼는 선행학습 2~3년 정도 하는 애들은 특목고 준비하는 영재들 뿐이었는데, 수도권 학원가 등을 필두로 해서 그 사교육 인플레가 더 심해진 것 같다. 살벌하다..
- 두발규제 완화와, 토요일 등교 폐지로 인한 주말 사생활 비중 증가를 더 일찍 맛본것 때문인지, 라떼보다 더 어린 나이부터 패션감각에 민감해하는 것 같다. 라떼는 대강 중학교때까지는 남자애들이 헤어스타일, 브랜드옷 같은건 인싸들만 알고 일상대화를 하는 수준이었던 것 같은데, (고등학교때도 별반 다르지 않고) 90후반대부터는 학창시절부터 꾸밈에 대한 의식과 기준이 더 첨예하다.
- 선후배간 군기문화 의식 같은거는 세대차이보다는 그냥 개인차가 심한 것 같다. 젊꼰은 어디에나 있다.
- 대학 입시 관념에서 수도권 선호, 지방 거점대 비선호 경향이 꽤 많이 심화된 것 같다. 00년대 후반 이후의 노골적인 수도권 공화국 현상이 확실히 반영되는 것 같다. 라떼는 대전 포항 지방공대 거르고 KY가겠다는 사람을 본 적이 없었는데, 90후반대 출생 아이들 입시에서는 유의미한 역전현상이 감지되었다고 한다.

뭔가 더 집어낼 만한 부분이 있을까요? 저~ 윗세대와의 극명한 차이 (집단주의vs개인주의 같은거...) 만큼 큰 차이는 없겠지만 혹시라도 짚어볼 만한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10 18:06
수정 아이콘
보통 mz세대가 m세대와 z세대를 묶은거라서,
Z세대의 특징으로 찾아보시면 될 것 같네요.
가장 쉬운 나무위키는 이쪽...
https://namu.wiki/w/Z%EC%84%B8%EB%8C%80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알파세대 쪽에 가까운데
그쪽은 아직 사회진출할 나이가 안되어서
예측만 있을 뿐 분석은 적은 듯
별바다
21/08/10 22: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90년대 중반생인데
00년대생들은 일본애니로 대표되는 서브컬쳐문화를
터부시하는게 많이 줄어든거 같아요
지금도 지나친 씹덕친구들은 좀 그렇겠지만
저때는 그냥 좀만 그런 티내도 심하게 그랬던 거 같네요
올바른 개인주의가 취향존중의 형식으로 나타나는건지
아님 걍 유투브나 sns등 각종 매체의 발달로 어릴때부터 그쪽 만화를 많이 봐서 익숙해진건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441 [삭제예정] 자전거 한대 사려고요 추천 받습니다 [3] 삭제됨9496 21/08/13 9496
157440 [질문] 핸드폰 구입 관련 질문드립니다. [2] LG우승9702 21/08/13 9702
157439 [질문] 직장인 해외영업 발령시 영어공부 어떻게할지.. [4] 하나둘셋10601 21/08/13 10601
157438 [질문] 플스5 게임 좀 골라주세요 [14] Venom8930 21/08/13 8930
157437 [질문] 순수외국인이 해당나라 국어 과목을 가르칠수있나요? [11] 시오냥9313 21/08/13 9313
157436 [질문] 전세계약도 실거래가 등록을 하죠? [6] 김곤잘레스12111 21/08/13 12111
157435 [질문] 임요환 vs 이윤열 GSL 다시 볼 수 있는 곳 없나요? [2] 김경호9274 21/08/13 9274
157434 [삭제예정] 저소득층/흙수저 등에 대해 분석이나 칼럼들을 모은 곳 [2] 삭제됨7833 21/08/12 7833
157432 [질문] 맛있는 와플 믹스 추천해주세요 [3] 샨티11628 21/08/12 11628
157431 [질문] 경력직 수습 기간 및 근로계약서 질문 드립니다. [10] 무료통화18141 21/08/12 18141
157430 [질문] 퀀트투자 프로그래밍 공부시작하는법 [6] 안희정10859 21/08/12 10859
157429 [질문] PS4를 일체형PC로 모니터용으로 이용 방법? [10] 상록수13330 21/08/12 13330
157428 [질문] 백신 관련 질문입니다. [4] BlazePsyki10432 21/08/12 10432
157426 [질문] 유료 기사 제공 사이트 추천 부탁드려요 Springboot8823 21/08/12 8823
157425 [질문] 차량 긁힘 문제 상황판단 좀 부탁드립니다 . [3] 파르릇9598 21/08/12 9598
157424 [질문] 머지사태를 보고 든 의문 [4] 레드빠돌이11848 21/08/12 11848
157423 [질문] 머지포인트 사태를 보고 그냥 궁금한 것.. [29] 일정9778 21/08/12 9778
157422 [질문] 아파트 매매시 취등록세 및 기타 확보해야할 현금이 뭐가 있을까요? [10] 잘생김용현12183 21/08/12 12183
157421 [질문] 주택 구매시 전세대출 환수 관련 문의드립니다 [3] 봄春9062 21/08/12 9062
157420 [질문] 닌텐도 스위치 타이틀 구매 질문 [17] 먼산바라기7370 21/08/12 7370
157419 [질문] 코로나 검사 관련 질문 [2] 던지진않습니다9490 21/08/12 9490
157418 [질문] 차량 구매 시 대금 납부 질문 [8] 이혜리11292 21/08/12 11292
157417 [질문] 굿즈 상품 제작 디자인 관련 질문입니다. [1] 시라노 번스타인9375 21/08/12 93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