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6 11:24:54
Name 불굴의토스
Subject [질문] 배구, 탁구, 배드민턴도 서브하는 쪽이 유리한가요?
테니스는 서브하는 쪽이 압도적으로 유리한것은 알고 있습니다.


배구,탁구,배드민턴도 서브권이 있어야 유리한가요?

경기를 보면 잘 체감이 안 돼서, 퍼센트같은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탁구는 서브치는 쪽이 조금 유리해보이긴 하더군요. 체감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06 11:28
수정 아이콘
제가 잘 아는 건 아니지만, 가장 덜 유리한 종목으로 줄 세우자면
배드민턴 < 배구 < 탁구 아닌가요?
醉翁之意不在酒
21/08/06 1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탁구는 서브하는쪽이 조금이 아니라 많이 유리하죠.
그래서 서브기술에 여러가지 제한을 두는거구요.

배드민턴은 탁구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서브에 여러가지 제한조건을 거는걸 보면 역시 서브가 유리하죠.
어찌됐건 서브하는 쪽이 경기 흐름을 주도하면서 시작할테니

배구는 당연히 받는 쪽이 선공을 하게 되니까 받는 쪽이 유리하구요.
봄날엔
21/08/06 11:36
수정 아이콘
탁구가 테이블 테니스 라서 테니스랑 비슷한 정도로 서브가 유리한 듯요..?
Extremism
21/08/06 11:42
수정 아이콘
테니스, 배구는 남자부에서 서브 득점으로 끝나는 경우가 꽤 있어서 유리한데 여성부 쪽은 조금 유리하지 그게 그거... 탁구는 남녀를 떠나 서브가 압도적으로 유리
21/08/06 11:45
수정 아이콘
다른 종목은 모르겠고 배구는 강한 서브, 까다로운 서브를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양상이 바뀌었지만 원래는 서브권 가진 쪽에서 득점내기 어려웠습니다.

배구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했냐면
서브권 가진 쪽에서 득점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한(또는 까다로운) 서브를 넣기 시작하니 그에 따라 리시브가 어려워졌고,
리시브가 제대로 안 된 공을 느린 오픈 공격으로 연결하면 2-3인 블로커가 따라와 막힐 확률이 높아졌죠.
그래서 소위 스피드 배구라고 하는 리시브가 거지같이 올라와도 세터가 최대한 빠르고 낮게 보내주고
좌우 C퀵과 파이프를 활용한 4인 공격 체제(좌, 우, 중앙, 백어택)를 통해 블로커가 붙기 전에 공격하는 패턴이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1/08/06 11:49
수정 아이콘
지금도 리시브하는 쪽이 득점이 더 높지 않나요?
한쪽이 서브만하고 한쪽이 리시브만 한다면 아마 더블 스코어 나올거같은데
21/08/06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론은 그래도 리시브가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입니다.
강한 서브를 구사할 수 있는 선수는 한정적인데다 2번의 기회가 있는 테니스에 비해 배구는 한 번이니까요.
또 강한 서브에 대항하여 소위 스피드 배구를 통해 리시브가 헤쳐나가고 있구요.

다만 과거에 비해 서브 쪽에서 해볼만 해 졌다는거죠.
나의규칙
21/08/06 11:54
수정 아이콘
옛날 배구나, 지금 한국 여자 배구는 확실히 리시브 쪽이 더 유리한 것 같은데

현재 세계적 수준의 남자 배구 같은 경우에는 잘 모르겠습니다. 서브를 -앞에 블로킹 없이 제대로 스파이크 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여기는 선수들이 워낙 많아져서 서브 좋은 선수가 계속해서 서브 넣을 수 있다면, 계속 서브권 선택하는 팀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Rorschach
21/08/06 11:52
수정 아이콘
서브가 그냥 규칙적으로 바뀌는 경우 (테니스/탁구/배드민턴)의 경우 서브 넣는 쪽이 좀 더 유리하고,
이긴 쪽이 서브를 하는 배구는 반대라고 보면 될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강한 서브에 의한 득점과 블로킹 득점이 큰 의미를 가지는 거죠.
욕심쟁이
21/08/06 12:33
수정 아이콘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200203/99513757/1
정확한 링크 가져왔습니다.
탁구>배드민턴>배구 입니다.
티모대위
21/08/06 14:41
수정 아이콘
배드민턴이 서버 쪽이 불리한건 처음알았네요
서버가 조금 유리할거라고 생각했는데, 큰 차이가 나진 않네요.
달달한고양이
21/08/06 12:43
수정 아이콘
남녀 다를 것 같은데 테니스는 여자도 서브하는 쪽이 위기일 때가 많은터라…남배구 서브 보니까 살벌하긴 하던데요 크
JP-pride
21/08/06 13:18
수정 아이콘
배드민턴도 경험상 서브넣는쪽이 선공권을 갖는경우가 많은거같아요
21/08/06 13:30
수정 아이콘
배구 서브에이스가있지만 서브범실도있고 받아내서 스파이크 때리는게 더 좋아서 불리하다고봄
싸구려신사
21/08/06 13:30
수정 아이콘
윽.. 이거보니 10여년전 영어 본문이 떠오르네요.

기억은 안나지만 어느종목에서 (아마 테니스였던듯) 강한서비스 후에 겨우 공받아 넘기면 스매싱을 날려버려서 서브한쪽이 넘나 강했었더라.. 라는 글을 해설지를 통해 확인하고서 속이쉬원했던...
아웅이
21/08/06 13:40
수정 아이콘
저도 봤어요 크크크 수능특강이었지 싶은데
테니스가 서브포함 3번만에 모든 경기가 끝나는 양상이라 재미없어졌다고..
ANTETOKOUNMPO
21/08/06 17:16
수정 아이콘
1. 서비스가 유리한 경우 : 서비스를 순서대로 번갈아 함.
2. 서비스가 불리한 경우 : 득점한 팀이 서브 함.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물론, 배구같은 경우 강한 서브를 구사하는 경우 유리한 부분도 있지만 실패확률도 꽤 되어서 아직까지는 리시브 측이 유리하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몇몇 종목에 대해서는 테니스, 탁구는 1번의 사례이고, 배드민턴, 배구는 2번의 사례네요.
불굴의토스
21/08/06 17:36
수정 아이콘
모두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351 [질문] 얀센 백신 맞은 30대는 이번에 신청 대상 아닌건가요? [7] 치카치카11570 21/08/09 11570
157350 [질문] 상가 임대사업자 회계사무소에 월 회비내고 관리받기 필요할까요? [6] 얼티멧클론10054 21/08/09 10054
157349 [삭제예정] 코로나 백신 부작용 검사비 관련 질문입니다. [4] MaillardReaction10540 21/08/09 10540
157348 [질문] 혹시 이 사무용품 이름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3] 산양12030 21/08/09 12030
157347 [질문] 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과 비슷한 프로그램 뭐가 있을까요? [3] WhiteBerry8923 21/08/09 8923
157346 [질문] 도서관 장서 정기구입 주기 [10] ELESIS11169 21/08/09 11169
157345 [질문] 치아 스케일링도 의사가 잘하나요? [15] 어바웃타임10862 21/08/09 10862
157344 [질문] PC 유튜브 화면 깨짐 저만그런가요? 윤정9813 21/08/09 9813
157343 [삭제예정] 유게에 네이버 풀매수글? [30] 만두13718 21/08/09 13718
157342 [질문] 2년전 전체리모델링후 천장도배(사진유) 뜯어졌는데 비용청구 문의드립니다. [3] Mamba8218 21/08/09 8218
157341 [질문] 여권 재발급 vs 만료 후 신규발급 [6] 한량기질10153 21/08/09 10153
157340 [질문] 지금 스타1인기가많을까요? 스타2인기가 많을까요? [16] 시오냥11803 21/08/09 11803
157339 [질문] 중고차 판매시 서류 [8] 모르는개 산책10416 21/08/09 10416
157338 [질문] 대출해서 우량주 or 배당주 투자하기? [23] 난할수있다11081 21/08/09 11081
157337 [질문] 제주도 가족 여행 사회적 거리두기 [6] 쉽지않다13623 21/08/09 13623
157336 [질문] 자전거 바지 질문입니다. [2] 바람의 빛8931 21/08/09 8931
157335 [질문] 자동차 보혐료 할증관련 질문드려요. [2] 언니네 이발관9606 21/08/09 9606
157334 [질문] 일하다가 멘붕왔네요...하하... [3] 나른한오후9138 21/08/09 9138
157333 [질문] 벡터 질문입니다 [1] 모스티마12397 21/08/09 12397
157332 [질문] 4년 만에 하스스톤 복귀... 뭘 사야 할까요? [4] 벨로티10221 21/08/09 10221
157331 [질문] 배틀넷은 생각없고 추억겸 깐포지드 캠페인+컴까기나 하며 놀려는데 [5] Cand10775 21/08/09 10775
157330 [질문] 요즘은 코로나 확진자 어디서 치료하나요? [2] 싸구려신사7869 21/08/09 7869
157329 [질문] 치과마다 고통의 차이가있나요? [15] 제드9530 21/08/09 95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