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6 10:25:59
Name 카페알파
Subject [질문] [철권] 조이스틱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번에 싼맛(?)에 철권7 구입 후 틈틈히 철권을 하고 있는데, 숫자단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네요. 그래서 저는 장인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고, 그러므로 도구탓(?)을 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조이스틱으로 하고 있는데, 이게 몇 년 전 마메 에뮬을 오락실 기분으로 하려고 구입한 거라서요. 솔직히 언제, 어느 사이트에서 샀는지도 기억나지 않는데, 인터넷에서 조이스틱에 관해 좀 알아보고 모양을 보니 이거 → https://www.istmall.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9016843 같더군요. (...)

해서, 에이, 기왕 하는 거 좋은 거 써볼까? 라는 생각에 아이에스티 메이크스틱프로 타키온을 써볼까 하다가, 가격이 좀 나가는 것 같아서, 일단 현재 조이스틱으로 좀 더 해보고 녹단까지는 올라간 후 바꾸는 게 좋겠다고 생각을 바꾸었습니다. 실제로 인터넷에서도 저가형 조이스틱으로 좀 해보다가 제대로 할 것 같다 싶으면 그 때 제대로 된 조이스틱을 장만하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어디서 보니까 제가 쓰는 MDF 조이스틱의 경우 레버가 구리 접점 레버라 특히 철권 등을 하려면 레버만은 바꾸는 게 좋다고 하더군요. 뭔지 모르지만, 일단 바꾸려고 알아보았습니다. 이런저런 레버의 저런이런 평을 보니까 삼덕사 303 모델이나 309 모델 중 고르면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버튼의 경우도 IST 기본버튼이 들어가 있다고 하는데, 산와버튼으로 바꿔볼까 생각 중이고요.

해서 조언 부탁드릴 내용입니다.

1. 현재 삼덕사 309M 과 303M 을 보고 있는데, 이 중 어느 것이 더 나을까요? 보니까 철권을 위해서라면 309M 가 더 낫고 범용으로 쓰면서 철권도 하기에는 303M 이 더 낫다고 하는데, 차이가 많이 날까요? 그리고 탄성을 25 와 35 중 어느 것이 더 나을까요? 그냥 중간값인 30? 이 외에 철린이에게 추천해 주실 만한 레버가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현재 제 손의 문제라고는 생각되는데, 버튼 두 개를 동시에 눌러야 되는 기술(던지기 등)이나 연속으로 시차 거의 없이 눌러야 되는 기술이 생각만큼 잘 안 들어갑니다. 혹시 이 문제가 버튼을 교체하면 (예를 들어 산와 OBSF-30RG 버튼이라든지) 더 나아질까요? 아니면 이건 진짜 손의 문제라 교체해도 별 소용 없을까요?

3. 비슷한 문제로 현재 대각을 써야 하는 커맨드가 잘 안 들어갑니다. 그래서 제 짧은 생각에는 8각 레버를 쓰면 더 나아질 것 같은데, 인터넷에 보니 8각 레버는 완전 비추에 쓸 물건이 못 된다는 말까지 있더군요. 무각레버가 철권에 제일 낫다는 말도 있고요. 근데, 생각해 보니 현재 제가 쓰는 MDF 조이스틱이 크라운 구리 접점식 레버라 별로 안 좋다던데, 이걸 삼덕사 레버 등으로 바꾸면 대각선 입력도 더 나아질까요?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대로 8각 레버가 대각선 입력도 정확하게 해 줄 듯 해서 더 좋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홀대받는 이유가 뭘까요?

조언/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ranceDJ
21/08/06 10:39
수정 아이콘
1. 303, 309는 중립 대각선의 차이일겁니다. 303은 중립이 넓고 대각선이 좁아서 대각선 입력을 좀 정밀하게 해야하고, 309는 반대로 중립이 좁고 대각선이 넓어서 대각입력은 쉬운데 중립잡기가 쉽지않을겁니다. 3번 보니깐 대각 입력 어려워하시면 303보단 309가 나으실것같습니다. 탄성은 기존에 오락실다녔을때 뻑뻑한거 헐렁한거 취향있있었으면 그대로하시면 되는데, 순수 철린이 격린이라면 저는 25 나 30 추천드립니다. 35부터 저는 뻑뻑하더라고요.
2. 버튼을 2개 동시 누르는건..손의 익숙함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철권 시스템 한가지 팁으로 만약에 손 2개를 눌러야하면, 손 하나를 미리눌러논상태에서 다른손을 누르면 동시 누르는걸로 인식되서 나갑니다.
3. 8각도 잘 쓰시는분들은 잘씁니다. 무각레버가 낫다는 평들이 있는건 아무래도 철권이 일정 수준 레벨로 올라가면 백대쉬라는게 중요한데 1n4 1n4이런식으로 입력하는게 무각이 '익숙'해서 그런거지 자기 손에 맞는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크라운 구리접점식보단 삼덕사 레버가 나아질것 같긴합니다만 자기 손과 감각에 익숙한게 최고입니다.
21/08/06 10:42
수정 아이콘
1. 잘 모르겠네요.. 취향차이일거같은데..

2. 연습모드등에서 키로그를 보시면서 연습을 먼저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손문제로 인한 오입력은 내가 어느부분에서 어떻게 잘못입력하는지 로그로 파악하신후
고치는 연습을하면 생각보다 쉽게 고쳐집니다.
버튼의경우 이것도 정말 사람마다 맞는 버튼이 또 있다보니.. 여러종류를 써보시는 방법밖에는 없는것 같네요

3. 대각입력의 정확함은 4각이 넘사벽입니다만 우리나라에서 4각으로 철권하는분들은 별로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반대로 우리나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4각인걸로 알고있구요
8각이 쓰레기란말은 절대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충분히 쓸만합니다 그냥 익숙함의 차이인거죠..
철권쪽은 잘하지 못해서 도움드리기 어렵지만 중립존이 넓고 탄성을 좋게한 무각레버가 철권쪽에서는 가장 사랑받고 있는걸로 압니다.
21/08/06 10:45
수정 아이콘
그냥 한방에 메이크스틱 미니(타키온) 정도로 가시는 게 낫지 않나 싶네요. 레버는 각자의 손크기/손모양만큼이나 맞는 게 다를 수밖에 없는지라 단적으로 뭐가 좋다고 하기가 난감합니다. 저는 풍신레버3 잘 쓰고 있습니다만 다른 분들도 좋게 느끼실지는 모르겠네요.
2. 평소에도 한 버튼이 잘 안눌리거나 하는 경우 아닌 이상 손의 문제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3. 대각선 입력은 레버 교체로 상당한 변화 있습니다.
Like a stone
21/08/06 10:51
수정 아이콘
1. 오히려 303보다 309가 중립, 대각선 범위가 더 넓을겁니다. 여러모로 봐서 철권 한정이라면 303보단 309 추천드립니다. 탄성은 취향차이긴 하지만 예전엔 35 이상도 자주 썼는데 나이먹으니 손목이 아프더라구요. 현재는 35에 가까운 30을 쓰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30 추천드립니다. 좀 빡빡한거 좋아하시면 35도 추천 드리구요.

2. 버튼 입력 문제는 거진 익숙함의 문제라 봅니다. 윗분들 댓글대로 누적(하나를 미리 누르고 있으면서 다른 버튼 누르는 방식)이라든가 핫키를 지정해서 쓰시는 방법도 있지만 보통 프렉티스에서 입력 내역 복기 해보시면 뭐가 문제인지 로그상으로 다 나옵니다. 연습의 문제라 봅니다.

3. 레버는 단언합니다. 개취입니다. 국내 제외하고 거진 4각이나 패드를 쓰고 국내에서만 주로 무각을 선호하죠. 아무래도 저 중립존 떄문에 국내에선 무각이 더 사랑받고 있겠지만 그냥 손에 익은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PS. 개인적으론 MDF 말고 조금 상위인 다른 스틱으로 교체해보는게 좋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레 권해봅니다.
이츠씽
21/08/06 11:10
수정 아이콘
스팀이시면 버튼 동시 입력은 그냥 동시 입력 단축키 쓰시는 게 편합니다
이자크
21/08/06 23:58
수정 아이콘
질문 묻어가서 죄송한데 앞,뒷대쉬 편하게 할 수 있는 레버가 탄성이 높은 레버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321 [삭제예정] 뭔가 가족문제? 푸념입니다.. [17] 삭제됨12008 21/08/08 12008
157320 [질문] 임신한 보조배터리(스웰링)가 다시 원복하는경우도 있나요? [5] AKbizs12608 21/08/08 12608
157319 [질문] 격겜 조이스틱 허벅지에 놓고 쓰는거 질문. [2] AKbizs7050 21/08/08 7050
157318 [질문] 주변에서 '이제' '~인 것 같아요'란 표현 많이 들으시나요? [25] 잉차잉차10877 21/08/08 10877
157317 [질문] 자동차 고민 질문입니다. [33] 삭제됨15931 21/08/08 15931
157316 [질문] 컴퓨터의 급사 원인? [11] phoe菲15172 21/08/08 15172
157315 [질문] 영잘알 님들 도와주세요 [7] metaljet8804 21/08/08 8804
157314 [질문] 출산 예정 아들 작명 관련 [18] 치폴레이9224 21/08/08 9224
157313 [질문] 하루종일 높은 집중력을 유지하는 사람들의 비밀은 뭔가요? [20] 티타늄12777 21/08/08 12777
157312 [질문] 친구가 본인 자식 이름 까먹으면 섭섭하신가요? [28] 쁘띠도원12618 21/08/08 12618
157311 [질문] 가난한 게이밍용 PC 견적 질문입니다 [11] 퍼블레인13545 21/08/08 13545
157310 [질문] 구형 전투복 버리는 법 [3] 허느14741 21/08/08 14741
157308 [질문] 바람의 검심 (최종 더 비기닝)에서 [6] I.O.I8433 21/08/08 8433
157307 [질문] 소비자 트렌드 리포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테네브리움7113 21/08/08 7113
157306 [질문] 중국에서 클라우딩 컴퓨터를 이용해서 국내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가요? [5] 할매순대국10519 21/08/08 10519
157305 [질문] 체온이 37도~38도 왔다갔다 합니다 [6] 회색9925 21/08/08 9925
157304 [질문] 스위치 위쳐3 해보신 분들 [5] KOS-MOS10560 21/08/07 10560
157303 [질문] 스포츠 각 종목에서 넘사벽이였던 선수들이 궁금합니다. [26] 레너블10168 21/08/07 10168
157302 [질문] 오피스2019 홈&스튜던트 정품 구매 후 설치문제 질문드립니다. [3] 여의10587 21/08/07 10587
157301 [질문] 차가 시동이 안걸릴때가 있는데 어디가 문제일까요 ㅠㅠ [10] 달달합니다7985 21/08/07 7985
157300 [질문] 연봉 대비 적정 차량 구매 가격은 얼마 일까요? [37] 토끼공듀10519 21/08/07 10519
157299 [질문] 종합비타민 보관 냉장고에 해도 괜찮나요 ? [7] -Aka9544 21/08/07 9544
157298 [질문] 넷플릭스 볼만한거 추천 부탁드려요 [12] StondColdSaidSo9698 21/08/07 96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