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4 14:20:42
Name akroma
Subject [질문] 투자-채권 거래 관련
안녕하세요

요즘 많은 분들이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의 중요성을 말씀하시는데요.

그 구성의 양대 축이 주식과 채권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식같은경우 저같은 일반인들도 HTS를 통해서 쉽게 접근이 가능한데..

채권의 경우에도 HTS통해 매매는 가능하지만 그 종류(국채,미국채,지방채,회사채등)도 많고 초보 입장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일단, HTS를 통해 매매한다고 했을때 코스피의 삼전처럼 쉽게 찍먹해 볼수 있는 채권이 어떤것인지 그외 채권 거래에서 주의할점? 같은게 있다면 가르쳐 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미리 답변 감사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샤한샤
21/08/04 14:35
수정 아이콘
채권을 직접투자하는 일반인은 거의 없을것으로 생각하구요
자산 포트폴리오의 양대 축? 하는데 집을 빼놓을 수 있나요? 집이 1번일 것입니다 보통..

채권 투자 하는 사람 자체가 많지 않지만 보통 있다면, 미국 채권을 많이 하죠
한국 주식/부동산과 미국 채권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분산 의미가 있거든요
(미국주식 직구하는거랑 방법 똑같음)

미국 채권은 일반적으로 TLT : 30년+ 국채, IEF : 7~10년 국채 많이들 하는 것 같구요, LTPZ : 30년+ 물가연동채 TIP : 10인가 15인가 물가연동채
이정도 선에서 대부분 정리될거같네요..
아 이머징 국채 하시는 분들도 있던데 저는 이건 왜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1/08/04 14:42
수정 아이콘
풀대출땡겨서 집사는건 어떻게 보면 기본이라...빼놓고 말했네요.

말씀대로면 언급해주신 미국채를 알아봐야겠군요.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샤한샤
21/08/04 16:02
수정 아이콘
아 그런데 대출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채권 사는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게다가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는 직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이 직장 자체를 채권이라고 볼 수도 있거든요?
그런 경우에도 저는 채권 사는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21/08/04 16:12
수정 아이콘
말씀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주식과 같이 가져갈만한 상품으로 금이나..달러같은것도 괜찮을까요?
가상화폐도 10%이하 비중으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샤한샤
21/08/04 16:28
수정 아이콘
디씨 자산배분갤러리 가보니까 요즘 대세는 황금나비인가보더라구요?

미국 대형주 / 미국 소형가치주 / 미국 장기채 / 미국 중기채 / 금 을 동일비중으로 가져가는거라고 합니다.

저는
QLD / 한국 소형가치주 / / 금 / 이더리움(약간의비트코인) 이렇게 넣고 있습니다.
제 직장이 사실상 fixed income 역할을 해줘서..
21/08/04 16:30
수정 아이콘
자산배분갤도 있군요.. 한번 보겠습니다.
21/08/04 15:50
수정 아이콘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KINDEX 국고채 10년
저 2개 ETF 조금 들고있습니다.
직접 채권을 사는거랑 다른점은, 만기까지 들고갔을때 원금보장이 안 된다정도의 차이만 알고있습니다. 초보입니다
21/08/04 16:29
수정 아이콘
말씀 감사합니다.
제리드
21/08/04 16:15
수정 아이콘
채권을 직접 매매하는 것은 일반인에게 쉽지 않고, 보통 포트폴리오에 채권을 담고 싶은 경우 채권에 투자하는 ETF나 펀드를 매수하시면 됩니다.
보통 연금계좌 등에서 국내주식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미국채권을 담으려고 하는 경우 'TIGER 미국채10년선물' 상품이 가장 무난하며, 미국 시장의 경우 TLT, SPLT, VGLT 등이 있습니다. (미국 장기채)
'KODEX 200미국채혼합' 처럼 애초에 주식과 채권을 배분한 ETF를 매수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시장의 경우 AOA, AOR 같은 ETF가 해당이 되겠네요
21/08/04 16:19
수정 아이콘
말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257 [질문] [철권] 조이스틱 조언 부탁드립니다. [6] 카페알파11797 21/08/06 11797
157256 [질문] TV 구입을 하려고 하는데 비교 부탁드리겠습니다. [23] 강북스타일13360 21/08/06 13360
157255 [질문] 품질 좋은 과일 인터넷 구매처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따루라라랑8725 21/08/05 8725
157254 [질문] 부모님 모시고 춘천역 근처에 갈만한데가 어디있을까요 [6] TAEYEON7568 21/08/05 7568
157253 [질문] 컴알못 견적한번만 평가해주세요 [7] 크랜베리8458 21/08/05 8458
157252 [질문] 서울시, 혹은 전국구 보쌈 맛집 아시나요? [9] 리얼포스8799 21/08/05 8799
157251 [질문] 밤새려는데 에너지 드링크 관련 질문......!! [8] 도로시-Mk28836 21/08/05 8836
157250 [질문] 타투에 대한 인식이 좋아졌나요? [59] KOZE15971 21/08/05 15971
157249 [질문] 중고폰 구입할때 주의사항 질문드립니다. [7] BBangDDuk7150 21/08/05 7150
157248 [질문] 제주도 남자 혼자 여행 [1] 훈남아닌흔남9102 21/08/05 9102
157247 [질문] 엑셀을 배우고 싶습니다. [6] kogang20018598 21/08/05 8598
157246 [질문] MAC에서 스타 실행 오류 질문 [4] 김정각9389 21/08/05 9389
157245 [질문] 노래 제목이랑 영상 찾습니다 [2] 늅늅이6867 21/08/05 6867
157244 [질문] FPS 멀티하기에 ps5 xsx 뭐가 좋은가요? [2] Tesla7149 21/08/05 7149
157243 [질문] 키보드에 맺히는 습기는 무엇일까요? [2] 이라세오날8308 21/08/05 8308
157242 [질문] 금연한지 2년이 지났는데 가래가 아직도 나옵니다 [8] AKbizs11369 21/08/05 11369
157241 [질문] PC 견적 문의 부탁드립니다. [2] 햇여리8261 21/08/05 8261
157240 [질문] NBA에서는 정규시즌 MVP와 파이널 MVP중 어느 것을 더 높게 쳐주나요? [41] AaronJudge999825 21/08/05 9825
157239 [질문] 마파두부가 먹고 싶어요. [9] 모찌피치모찌피치9674 21/08/05 9674
157238 [질문] 5G요금제 vs 알뜰폰 lte 요금제 [17] 먼산바라기10094 21/08/05 10094
157237 [질문] 에어컨 바람과 편도선 부음의 상관관계 [4] 비밀친구10337 21/08/05 10337
157236 [질문] 손가락/손목 통증으로 병원 가야 할까요 [16] 유정7193 21/08/05 7193
157235 [질문] 종이책 스캔할때 PDF의 텍스트를 벡터폰트로 바꾸는 방법아시는 분 계실까요 [2] 읽음체크10412 21/08/05 104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