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7/31 09:34:16
Name 원스
Subject [질문] 정통 스트라이커의 기준과 유명 정통 스트라이커가 누가 더 있을까요??
스연게의 김치찌개님의 역대 최고의 스트라이커 글을 보니 호날두와 메시가 없더라구요.
둘은 그 누구보다 골은 많이 넣었지만 정통 스트라이커가 아니라서 순위에 없다는 의견이 있던데요.

그렇다면 축구계?? 에서 볼 때 정통 스트라이커의 명확한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호날두는 어느 순간부터 확실한 공격수, 그것도 톱에서 뛰는 거 같은데 처음 시작이 스트라이커가 아니었다는 이유로
정통 스트라이커에 들어 갈 수 없는 건 가요??

김치찌개님의 글에 나와있던 호나우두, 앙리, 수아레즈, 레반도프스키를 빼고 정통 스트라이커라고 볼 수 있는 유명 선수는 누가 있을까요??

언뜻 생각 해 보기로는 즐라탄, 드록바, 셰브첸코, 해리케인, 루카쿠 정도가 떠오르는데요.
이 중에서 스트라이커가 아닌 선수가 있다면 왜 아니고, 다른 유명 선수들 중에 이 선수는 스트라이커가 맞다 싶은 선수가 더 있을까요??

그냥 그 글을 보다 문득 든 궁금점 입니다!!

답변 달아 주실 분들께 감사 말씀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손금불산입
21/07/31 10: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현대 축구에서 정통 스트라이커라는 개념은 허상에 가깝습니다. 명확하게 정의내리기도 힘들고 그런 유형의 선수도 거의 찾아보기 힘든 수준이 되었죠. 오래 전 사람들이 많이 지칭하던 개념을 구체화해보면 최전방에 주로 머무르면서 볼을 공급받아 적극적으로 슈팅을 노리고 실제로 그 골 결정력이 좋은 선수를 정통 스트라이커라고 칭해왔습니다만... 정작 최근 그러한 선수들은 거의 외면받는게 추세입니다. 최전방에 있는 선수는 포스트플레이, 키핑, 패스, 시야, 연계 등 아주 많은 롤을 모두 요구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컴플리트 포워드라는 말로 이러한 경향성을 설명하려는 사람들도 있고요.

메날두를 향해 스트라이커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이 둘이 괴물같은 득점력을 가동한 시기가 중앙이 아닌 측면이기 때문일 수 있겠죠. 이 둘이 세계 최정상의 자리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센터포워드 대신 측면 공격수가 그 이상의 득점을 담당하는 전술적인 변화가 일어났고 그것은 '정통'과는 거리가 멀거든요. 최전방 포워드가 측면 공격수보다 득점이 많아야하는 세상은 10여년 전에 끝났는데 아직도 이와 같은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축구팬들 중에 있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그런 것 같습니다. 이외에 메날두가 경기당 1골 수준의 미친 득점력을 갖추기 이전에는 독점 위주의 플레이스타일이 아니었고 득점보다 더 잘하는 플레이들이 많았던 선수라는 이유도 있을 것 같고요.

다만 이러한 것들도 의미가 없는게 애초에 위에서 언급되는 호나우두 같은 경우에도 최전성기 기준으로는 사람들이 흔히들 생각하는 최전방 스트라이커의 이미지와는 꽤 다른 플레이스타일을 보여주던 선수라... 인테르 시절에는 호나우두에게 공을 주면 박스 바깥부터 자기가 다 알아서 하는 그런 스타일이었거든요. 언급하신 많은 선수들 역시 그냥 센터포워드 자리에서 골을 많이 넣는다 정도를 제외하면 공통점이 없다시피 합니다. 주활동영역, 본인들의 강점, 그로 인한 플레이스타일이 모두 천차만별인 선수들입니다.

스트라이커 개념은 농구로 따지면 송태섭을 위시로 한 퓨어 포인트가드 논쟁과 비슷하다고 이해하시면 편할 것 같네요. 사람들은 보통 이럴 것이다, 이래야 한다 같은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데 정작 찾아보면 그러한 선수들은 효율도 떨어질 뿐더러 거의 실재하지 않는...
뻐꾸기둘
21/07/31 11:41
수정 아이콘
대중적 측면에서는 보통 최전방에서 수비와 직접 부딪히는 9번을 정통 스트라이커로 인식하죠.
21/07/31 13:38
수정 아이콘
그냥 스트라이커의 요건은 따로 없고 중앙밖에 못하면 스트라이커라고 부르지않나싶네요..
오히려 다재다능하면 정통 스트라이커가 아닌듯.
21/07/31 23:07
수정 아이콘
소위 정통파 스트라이커는 예전부터 이어진 전형적인 센터포워드를 말하는 용어긴 한데 펄스나인이 등장한 이후로는 사실상 그 역할은 많이 사라졌죠.
지금은 측면이나 톱후방에서 활동하지 않고 톱에서만 활약하는 선수를 말한다고 봅니다.
정확하게 부합하는 선수는 없지만 너와 내가 같이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의 선수들이겠죠.
마갈량
21/08/02 08:52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9번은 직선적인 무브를 가져가며 찬스를 득점으로 중앙에서 연결하는 타입을 생각하긴하죠.
메시날두는 둘다 측면에서 시작했지만 레알시절 호날두도 중앙에 가까웟고 메시도 2선을 아우르는 펄스나인이엿죠
예시로 들어주신 루카쿠도 체격이랑다르게 측면에서부터 중앙을 공략하는 방식으로 지금 전성기맞이햇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256 [질문] TV 구입을 하려고 하는데 비교 부탁드리겠습니다. [23] 강북스타일13378 21/08/06 13378
157255 [질문] 품질 좋은 과일 인터넷 구매처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따루라라랑8751 21/08/05 8751
157254 [질문] 부모님 모시고 춘천역 근처에 갈만한데가 어디있을까요 [6] TAEYEON7586 21/08/05 7586
157253 [질문] 컴알못 견적한번만 평가해주세요 [7] 크랜베리8481 21/08/05 8481
157252 [질문] 서울시, 혹은 전국구 보쌈 맛집 아시나요? [9] 리얼포스8824 21/08/05 8824
157251 [질문] 밤새려는데 에너지 드링크 관련 질문......!! [8] 도로시-Mk28869 21/08/05 8869
157250 [질문] 타투에 대한 인식이 좋아졌나요? [59] KOZE16009 21/08/05 16009
157249 [질문] 중고폰 구입할때 주의사항 질문드립니다. [7] BBangDDuk7173 21/08/05 7173
157248 [질문] 제주도 남자 혼자 여행 [1] 훈남아닌흔남9123 21/08/05 9123
157247 [질문] 엑셀을 배우고 싶습니다. [6] kogang20018631 21/08/05 8631
157246 [질문] MAC에서 스타 실행 오류 질문 [4] 김정각9413 21/08/05 9413
157245 [질문] 노래 제목이랑 영상 찾습니다 [2] 늅늅이6895 21/08/05 6895
157244 [질문] FPS 멀티하기에 ps5 xsx 뭐가 좋은가요? [2] Tesla7183 21/08/05 7183
157243 [질문] 키보드에 맺히는 습기는 무엇일까요? [2] 이라세오날8335 21/08/05 8335
157242 [질문] 금연한지 2년이 지났는데 가래가 아직도 나옵니다 [8] AKbizs11412 21/08/05 11412
157241 [질문] PC 견적 문의 부탁드립니다. [2] 햇여리8287 21/08/05 8287
157240 [질문] NBA에서는 정규시즌 MVP와 파이널 MVP중 어느 것을 더 높게 쳐주나요? [41] AaronJudge999848 21/08/05 9848
157239 [질문] 마파두부가 먹고 싶어요. [9] 모찌피치모찌피치9699 21/08/05 9699
157238 [질문] 5G요금제 vs 알뜰폰 lte 요금제 [17] 먼산바라기10141 21/08/05 10141
157237 [질문] 에어컨 바람과 편도선 부음의 상관관계 [4] 비밀친구10365 21/08/05 10365
157236 [질문] 손가락/손목 통증으로 병원 가야 할까요 [16] 유정7224 21/08/05 7224
157235 [질문] 종이책 스캔할때 PDF의 텍스트를 벡터폰트로 바꾸는 방법아시는 분 계실까요 [2] 읽음체크10445 21/08/05 10445
157234 [질문] 주차 자리 양보? 나른한오후7368 21/08/05 73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