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7/05 16:25:09
Name 잉차잉차
Subject [질문] 요리 입문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결혼하면서 다른 집안일 다 도와줄테니 요리만 시키지말라고 얘기할 정도로

요리하느니 굶는다는 마인드였는데,

집에 밥솥도 없을 정도로... 바깥 음식만 먹다보니깐

건강이 너무 안 좋아지는 거 같드라구요. 통풍도 생기고 ㅠㅠ


그래서 한 번 새로운 도전을 해볼까.. 해서 요리를 좀 배워보려는데요,

라면 말고는 아무것도, 심지어 밥도 할줄 모르는 쌩초보라 뭐부터 배워봐야할지 막막하네요.


혹시 요리 입문하려면 요정도가 쉽고 편하고 간단하다...라고 할만한게 있을까요?

주변 지인이 일단 계란 후라이부터 배우라고는 하더군요 크크크크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카세
21/07/05 16:27
수정 아이콘
tvn에서 하던 집밥 백선생 정주행 달리시죠. 한참 자취할 때 한 편씩 보면서 따라하는거 재밌었어요. 유튜브에서는 백종원님, 승우아빠님꺼로 많이 배웠습니다 요새 영상들보다는 예전꺼부터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개좋은빛살구
21/07/05 16:27
수정 아이콘
저는 유튜버 '욜로리아'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1주일에 1만원으로 생활하기 컨텐츠부터 시작해서 간간히 보는데 저같은 왕초보도 따라하기 쉽게 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jjohny=쿠마
21/07/05 16:48
수정 아이콘
계란후라이도 잘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팬에 기름 두르고 [약불]로 데우면서 불이 식재료를 익히는 감각을 익히기 좋을 것 같네요.

- 요리를 연습하려면 재료 정하기, 재료 손질하기(ex. 칼질), 재료 익히기(ex. 불조절) 등을 연습해야 합니다. 어차피 우리는 다 취미로 하는 거니까, 따로따로 연습하는 것보다는 한번씩 요리를 하면서 연습하는 게 유리할 겁니다.
- 하카세님 댓글처럼, 백종원, 승우아빠 등의 유튜브 채널 [초기 영상들] 보면서 잘 배울 수 있습니다.
- 특히 백종원 채널은 1인분이나 2인분 정도의 [재료 정량]을 영상 및 영상 하단의 본문에서 자세히 알려주기 때문에, 재료 준비 연습에 유리하고, 그 이후의 조리 과정도 다 코치해주니까 따라하기 좋습니다.
- 특히 칼질 같은 경우, 백종원 유튜브 채널에서 양파를 가지고 여러 가지 칼질을 따로 연습시켜주는 영상이 있으니 참고해보셔요 https://youtu.be/v0bbhfutwhs
잠이온다
21/07/05 16:50
수정 아이콘
먹고싶은걸 정하고 백종원 조리법같은걸 (재료의 범용성이 높고, 만들기 쉽고, 한국 입맛에 맞는 조리 방법을 가르쳐줌) 유튜브에서 보면서 하나씩 만들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아예 쌩 기초부터 하실거면 윗 댓글들이 더 유용하실 것같네요...
21/07/05 17:17
수정 아이콘
이게 흥미 없는 사람이 억지로 하면 엄청 안늘긴 해요
하루한끼 채널 음식이 엄청 쉽습니다
한번 해보시고 이 정도도 어렵다 하면 학원 가시는게 빠를 것 같네요
구청같은데서 하는거 엄청 싼 강좌 은근 많은데 코로나라 안할려나...
화요일에 만나요
21/07/05 18:18
수정 아이콘
쉬운 요리보다는 본인이 먹고 싶은 음식을 만들어본다는 느낌으로 하시고, 레서피에 약불-중불-강불을 무조건 따르셔야 합니다. 요알못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짓이 강불!강불!강불!이라서.. 너무 괴악하게 어렵고 복잡한 것 말고, 카레(엄청쉬움), 파스타라든가 에어프라이어에 돌리는 스테이크라든가(생고기나 얼린 고기 그냥 그대로 넣고 돌리라는 대로 돌리면 끝납니다. 사실 제일 쉬워요..) 김치볶음밥 같은 것들을 일단 레서피를 읽어 보고 시뮬레이션 해본 후에 각이 나오면 해보세요.
한두 개 정도 손에 붙으면 그 이후부터가 쉬워집니다. 응용이 되거든요
바둑아위험해
21/07/06 10:36
수정 아이콘
주변 평생교육원 같은 곳에 초보를 위한 간단한 요리 클래스 등록해보시는건 어떤가요!?
아빠가 하는 집밥..이었나 뭐 초보를 위한 클래스들도 몇 번 봤던 것 같은데...

(물론 양식, 자격증코스 이런건 초보에게 잘 도움 안되긴 할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6485 [질문] 아이를 낳는 거 추천하시나요? [30] 흥선대원군10112 21/07/06 10112
156484 [질문] 꼭 필요한 상비약이 뭐 있을까요? [7] 깃털달린뱀7527 21/07/06 7527
156483 [질문] [주식] 나스닥 지수 추종이 충분한 "분산투자" 일까요? [17] 따루라라랑10670 21/07/06 10670
156482 [질문] 자동차 2대 명의, 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2] 삭제됨9157 21/07/06 9157
156481 [질문] 파이썬 프로그래밍 실무 질문입니다 [7] 인생은서른부터7584 21/07/06 7584
156480 [질문] 외국국적 자녀의 어린이집 비용.. 도움을 구합니다 [30] 파란무테13293 21/07/06 13293
156479 [질문] 특정 폴더를 자동으로 백업하는 방법 [3] 분당선9201 21/07/06 9201
156478 [질문] 건알못이 섬광의 하사웨이봐도 될까요? [9] 예슈화쏭8661 21/07/06 8661
156477 [질문] 국민 나라사랑체크카드 교통비 청구할인 적용 [8] 어센틱12044 21/07/06 12044
156476 [질문] 로스트아트 초보자 질문 입니다(직업추천 등) [6] 아이시스 8.011225 21/07/06 11225
156475 [질문] 고속 무선충전기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2] 아타락시아111349 21/07/06 11349
156474 [질문] 섬광의 하사웨이) 다른 건담 볼 시리즈? [5] 핏빛8879 21/07/06 8879
156473 [질문] 사적모임 인원수 문의입니다. [8] 마인부우10198 21/07/06 10198
156472 [질문] 백신 항체 검사 [3] 간손미12612 21/07/06 12612
156471 [질문] 이비인후과에서 코청소 해주시나요? [6] 유유할때유10775 21/07/06 10775
156470 [질문] 19] 애무 전희 어떻게 해야하나요? (삭제예정) [16] 호아킨13251 21/07/06 13251
156469 [질문] 안방에 놓을 침대로 적절한 티비 사이즈는 어느 정도일까요? [11] LG의심장박용택8758 21/07/06 8758
156468 [질문] 스타 초보 실력에 맞게 매치가 가능한가요? [6] 오렌지망고14019 21/07/06 14019
156467 [질문] 화이자 1차 접종 직후 장거리 운전? [10] 하리네14980 21/07/06 14980
156466 [질문] 최훈 작가 야구 만화를 무슨 순으로 봐야하나요? [5] interconnect9429 21/07/06 9429
156465 [질문] 건조기도 물 빠지는 배수구가 있는 곳에 설치 해야 하나요?? [11] 원스12745 21/07/05 12745
156464 [질문] 택뱅리쌍에서 김택용과 이영호를 뺀다? [70] 어바웃타임14417 21/07/05 14417
156463 [질문] LP 턴테이블이 소리가 안납니다 ㅠㅠ [3] bifrost12699 21/07/05 126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