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6/10 15:08:21
Name 기억의습작
Subject [질문] 자녀 주식 투자 방법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제 막 태어난 자녀를 위해 계좌 만들어주고
여기저기서 들어오는 용돈 등을 주식으로 조금씩 투자해주려 합니다.
아직 막연한 계획이긴 하지만 대학교 등록금에 보태는 20년 장기 투자? 정도로 생각하고 있구요.

지금 생각한 방법으로는 s&p 500에 꾸준히 적립식으로 투자하는게 제일 좋을 것 같은데

1. 코덱스, 타이거 etf 등의 국내 상품이 좋을지, 미국 직접 투자가 좋을지
2. 미국 직접 투자를 한다면 spy, ivv, voo 중에 어떤걸 추천하시는지
3. 위 방법 외에 삼전 주식 모으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의견은 어떠신지

주린이다보니 질문들이 두서없네요..
선배님들의 다양한 조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미리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_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봄날엔
21/06/10 15:10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이더리움 매달 분할 매수 진심으로 추천드립니다.
바나나맛슈터
21/06/10 15:29
수정 아이콘
아직도 비트코인 먹을게 있을까요...
봄날엔
21/06/10 16:06
수정 아이콘
길게 보면 오를 수밖에 없다고 봐요
보통 년 단위로도 못봐서 문제지..
아르네트
21/06/10 16:08
수정 아이콘
저도 비트코인 롱 옹호자긴 한데.. 최근 유동성 증가비율그래프랑 비트코인 그래프 보나까 생각이 애매해지더라구요. 유동성 더 푸는건 무리라고 봤을떄 비트코인이 오를 여지가 있을지...잘 모르겠네요
봄날엔
21/06/10 17:51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 주식 귀금속 파이를 때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는
아르네트
21/06/10 17:52
수정 아이콘
저도 디지털 금에 동의하는 바인데.. 음... 요샌 좀 가물가물하네요
봄날엔
21/06/10 18:06
수정 아이콘
흐흐 저도 시드 100프로가 전부 코인 현물은 아니니.. 백프로 확신이 있는 건 아닙니다. 한 70프로정도..?
김은동
21/06/10 15:23
수정 아이콘
S&P 500 추종하는거면 수수료 저렴한 ETF 로 할꺼같네요.
해외에 직접 투자하는게 나은지, 국내 상품이 나은지는 수수료보시고 정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수수료 적은게 최고입니다.
꿈트리
21/06/10 15:42
수정 아이콘
사실 정답은 없어서, ETF전문인 분들 의견으로는 연금저축/직투 반반으로 많이 권하시더군요.
종목은 그냥 S&P500만 하셔도 될 듯 합니다. 장기투자 수익율로는 나스닥100이 S&P500을 못이기더라구요.
21/06/10 15: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국내상품이냐 직접투자냐 선택하자면 사실 답은 없습니다.
나중에 매도할때 양도소득세차이가 가장 중요할것 같은데 20년뒤에 세금이 어떻게 매겨질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편한쪽으로 선택하면 될것 같습니다.
저라면 20년뒤에는 장기보유시 세금감면혜택이 있기를 바라며 국내상품에 투자할 것 같습니다. (가능성은 그리 높진않을것같지만요...)
2. spy,voo도 그다지 차이가 없습니다. 수수료가 적은 voo를 선택하거나, 거래량이 많고 역사가 오래된 spy를 선택하면 될것 같습니다.
ivv를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qqq를 절반 가져가는것도 괜찮아보입니다.
3. 삼전은 비추합니다. 아무리 삼전이 안정성이 높다고 하나, 개별 주식은 지수추종ETF보다는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로즈엘
21/06/10 15:45
수정 아이콘
1. 세금 고려해서 정하면 되는데, 금액이 적은거 같은데 직접 투자쪽으로 갈꺼 같습니다.
2. 수수료 낮은 것으로 정할꺼 같습니다. 셋다 같은 지수 추종이라서 큰 차이는 없어요.
3. 개별주를 모으는 건 전 비추천합니다. 장기적으로 오른 종목이 거의 없더군요.
아르네트
21/06/10 16:05
수정 아이콘
VT가 가장 무난하다고 봅니다. 이유는 아이에게 준다는 가정하에 현금화까지 30년은 걸릴텐데. 너무 변수가 많아요
Grateful Days~
21/06/10 16:10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생각으로 10년 1500만원 아이한테주고 비과세한도내에서 20년 보고 ETF하려고 하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1/06/10 16:26
수정 아이콘
전 이번 하락에 아이이름으로 예금해오던 돈 중 일부를 떼어서 이더리움에 넣어놨습니다.
기억의습작
21/06/10 16:30
수정 아이콘
그새 많은 답변 주셨네요. 정독하고 폭풍검색해서 현명한 판단하도록 할게요. 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21/06/10 17:11
수정 아이콘
코인은 하지마세요,
하더라도 1퍼정도만 하시길
지구사랑
21/06/10 18:48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 볼수록 VT가 무난합니다.
양스독
21/06/10 19:22
수정 아이콘
지금 아이 명의로 코인거래 가능할지는 모르겠는데
되면 저는 나중에 제 아이한테 비트 꾸준히 사줄꺼같습니다.
21/06/10 22:44
수정 아이콘
국장은 kodex 미국 s&p500TR 미장은 voo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956 [질문] 쇼핑몰 홈페이지 개발 관련 문의입니다 [3] croissant7663 21/06/15 7663
155955 [질문] 지인이 펍 개장했는데 개업식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요한슨10965 21/06/15 10965
155954 [질문] 육아)아기엄마가 스트레스가 심한데 어떻게 풀어줘야할까요? [14] Mikopap11214 21/06/15 11214
155953 [질문] 2년 다되가는 미개봉 화장품 사용해도 될까요? [3] 키키모하7404 21/06/15 7404
155952 [질문] 직장인 분들 몇시에 일어나고 몇시에 출근하고 얼마나 걸리세요?? [42] 부처9221 21/06/15 9221
155951 [질문] 삶의 이유가 있으세요? 왜 사세요? [38] 흥선대원군11712 21/06/15 11712
155950 [질문] 장범준 VS 성시경 [42] 교자만두10401 21/06/15 10401
155949 [질문] 10년만에 제주도에 갑니다.... 갈만한데가 어디 있을까요?? [5] 하얀마녀9384 21/06/15 9384
155948 [질문] 이중으로 현관을 하나 더 설치하고 싶은데 명칭이 뭘까요?? [3] 개념은?8946 21/06/15 8946
155947 [질문] 얀센 백신 맞은 후 엉치뼈쪽 통증 Mraz7080 21/06/15 7080
155946 [질문] 페르소나 5 반드시 로얄로 해야할까요 [8] 회색8159 21/06/15 8159
155945 [삭제예정] 세무사? 회계사? 법무사? [5] 삭제됨8469 21/06/14 8469
155944 [질문] 헬린이 운동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백색왜성9388 21/06/14 9388
155943 [질문] 골프 아이언 세트와 드라이버 [9] 구르미네6960 21/06/14 6960
155942 [질문] 제주도 항공권 구매 어디서 하세요????? [8] 롯토9794 21/06/14 9794
155941 [질문] 0칼로리 탄수화물이 가능한가요? [8] 모아15201 21/06/14 15201
155940 [질문] 38도 무조건 선별검사소 가야 되나요? [3] 여행가요9608 21/06/14 9608
155939 [질문] 운전석 유리 흰색점? [4] 사신군8542 21/06/14 8542
155938 [질문] 백신 맞으면 7월부터 5인이상 집합금지에서 자유로워지는게 맞나요? [6] 손예림9085 21/06/14 9085
155937 [질문] 텐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만두9149 21/06/14 9149
155936 [질문] 태아보험 사은품 사기 관련 고소 여부 [2] 해피앤딩8860 21/06/14 8860
155935 [질문] 서울에 이주정도 묵을 추천하실만한 호텔 있을까요? [2] 하얀소파8637 21/06/14 8637
155934 [질문] [부산지역]세라젬 V4 그나마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 [5] BK_Zju10896 21/06/14 108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