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25 01:24:39
Name 기술적트레이더
Subject [질문] 차 기변 자주하시는 분들 감가 방어를 어떻게 하는가요?
차가 워낙 감가가 심하다보니 비싼 차 사면 3년에 2천씩 빠지는게 일도 아닌데 그 비용을 대부분 지불해가면서 타는건가요?

이번에 빨간색 쿠페를 샀는데 오래 탈 자신은 없고 3년 정도 타고 전기차로 갈까 생각중인데 생각보다 감가가 너무 커서 벌써부터 걱정입니다.

다들 어떻게 기변들 하고 계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츠야
21/05/25 03:35
수정 아이콘
저는 차를 자주 갈아 타지는 않습니다만 자주 갈아 타시는 분들 보면 신차는 감가상각이 너무 심해서 잘 고르지 않고 보증 남아있는 차 위주로 2, 3년 리스하다가 바꾸는 것 같습니다.
개좋은빛살구
21/05/25 08:26
수정 아이콘
차 감가를 생각하고, 2~4년마다 교체한다고 한다면 차량 구매보단 장기렌트 내지 리스가 낫다고 봅니다. 딱 이용료만 내고 반납하는거니까요
하우두유두
21/05/25 08:40
수정 아이콘
3년되면 반정도 까진다거 봐야죠.
위말씀대로라면 장기렌트나 리스로 비용처리하셔야..
21/05/25 08:55
수정 아이콘
거의 대부분 비용처리한다고 봅니다.
부자일수록 더..그냥 쌩돈 내고 기변하면서 타는 사람 드문 것 같아요.
21/05/25 09:46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감가곡선은 아래 그래프와 같이 초반부의 경사가 더 가파르기 때문에, 같은 가격의 차라도 신차에 가까운 차를 살수록 감가도 큽니다.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y+%3D+0.0029x2+-+0.8x+%2B+82+between+0+and+120

구체적인 감가곡선은 차마다 다르고, 아래 링크의 40-60개월 구간처럼 중간에 뚜렷하게 한번 쉬었다가 내려가는 차도 있기 때문에, 이런 구간을 공략하면 감가가 줄어듭니다.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y+%3D+0.000000017x%5E5+-+0.0000029x%5E4+-+0.00004x%5E3+%2B+0.026x%5E2+-+1.45x+%2B+75+between+0+and+120

그러나 차는 등록하는 순간 등록비용 7%가 증발하고, 또한 매각시 거래비용이 약 10% 정도 발생합니다(특수차에 가까운 차를 딜러에게 매입시킨다면 도합 20% 이상, 평범한 차라도 거래 방식에 따라 10-15% 가량은 날아갑니다). 교체주기가 짧으면 짧을수록 이렇게 즉시 증발하는 금액이 커지기 때문에, 감가율이 아무리 낮은 구간이라 하더라도 차를 매우 자주 바꾸면(예컨대 매 분기 1회), 한 5년만 그렇게 해도 차 가격의 수백퍼센트가 증발합니다. 대응 방법은 크게 원금 줄이기, 감가율 줄이기, 거래손실 줄이기 세가지입니다(보통 세가지 다 어느 정도 섞어서 함).

원금 줄이기는 비슷한 형편의 사람이 살법한 차보다 현저히 싼 차를 사는겁니다. 가령 원래 롤스로이스를 살만한 사람이라면, 5천만원짜리 차를 매 분기마다 바꾸면서 5년만에 총 300%를 날려봤자 팬텀 하나 샀을 때보다 오히려 총 감가가 적습니다. 마찬가지로 평범한 신차 뽑는 대신에 10년 이상 썩은 차를 자주 바꾸더라도 결국 신차를 한 번 구매한 것과 비슷합니다.

감가율 줄이기는 주로 앞서 언급한 감가율이 낮은 구간(두번쨰 링크의 40-60개월 부분) 또는 오히려 가격이 오르는 구간(110-120개월 부분)을 공략하는건데, 감가율이 낮은 구간 공략은 차종/시기 관련 선구안만 있으면 가능하지만, 오르는 구간 공략은 보통 구체적인 매물의 상태를 식별할 능력과 어느 정도 (염가)수리 능력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보통 싸게 정상화가 가능한 썩차를 사서 고치면서 타다 더 비싸게 형태라 그렇습니다.

드물게 아래처럼 일반차량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곡선(신차때부터 상승)을 가지는 차량도 있기는 하고, 이런 차의 경우 신차 정가구매를 할 수만 있으면 아무 생각 없이 그냥 타다 팔아도 돈이 오히려 벌립니다. 다만 이런 곡선은 주로 메이커에서 충성고객 포상(을 통한 판매진작)용으로 일부러 소비자잉여를 남겨두는 한정판 차에서 나오고, 포상을 받기 위해서는 평소에 자주 사주면서 돈 낭비를 많이 해야하는데다, 그 과정에서 잃는 돈이 포상으로 따는 돈보다 보통 더 크기 때문에 종합적으로는 결국 마이너스입니다.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y+%3D+-0.000000055x%5E5+%2B+0.000013x%5E4+-+0.0007x%5E3+-+0.005x%5E2+%2B+0.4x+%2B+130+between+0+and+120

거래비용 줄이기는 주로 리스승계 + 직거래 조합으로 즉시 증발하는 등록비용 7% 및 딜러비용+마진을 최소화하는 것인데, 썩차보다는 신차에 가까운 차, 싼차보다는 비싼차에서 많이 합니다. 다만 임자 만날 때까지 차분히 기다리다보면 1년 이상 들고 있어야 하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에 차가 여러대가 아니면 하기 어렵고, 차를 판매할 때마다 와서 시간만 낭비시키고 가는 사람이 여럿 오기 때문에 엄청 귀찮습니다. 결국 주변에 받아줄 지인/법인 등이 많은 사람일수록 유리합니다.

요약하면 결국 본인이 직접 나까마 겸 수리공(내지는 부품조달상)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라, 이렇게 안 하고 그냥 돈으로 해결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하다보니 이런 부분을 대신 처리할 법인 또는 부하를 두게된 사람도 있고요. 그리고 여기까지는 해마다 차를 여러대 사는 사람 기준의 이야기이고, 3년마다 사는건 특별히 차를 자주 바꾸는 것이 아니라 가장 보편적인 교체주기 양대축 중 하나이기 때문에 보통은 그냥 바꿉니다.
레너블
21/05/25 09:52
수정 아이콘
오.. 신차가 감가가 더 크군요...
되팔때까지 생각하면 중고차보다 신차가 더 낫다고생각했는데...
NoGainNoPain
21/05/25 10:45
수정 아이콘
사자마자 중고가 되기 때문에 거기서 감가가 한번 크게 됩니다.
그 다음에는 보증기간 만료 전후로 해서 감가가 심하게 한번 오죠.
양지원
21/05/25 10:02
수정 아이콘
그냥 감가 개쳐맞고 바꿉니다.. 젠쿱, jcw 3door, a45, g70 3.3, 벨엔수동 등등 감가계의 기라성 같은 차량들로만 바꿔 타고 있습니다...ㅠㅠ
콩탕망탕
21/05/25 14:28
수정 아이콘
대단하시네요. 한편으로 부럽기도 하고, 한편으로 저도 속이 쓰리기도 하네요
21/05/25 10:27
수정 아이콘
오래타면 감가가 점점 줄어들어요. 좋은차사서 오래타세요
회색사과
21/05/25 10:55
수정 아이콘
약간 마이너한 중고차 사서 거의 손해 없이 팔기도 하더라구요.

동기는 중고 m3 사서 1년 곱게 타고 산 가격에 되팔았습니다.

사람들 많이 타는 차는 연식/키로수 대비 가격이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는데 m 같은 건 매물이 별로 없으니 상대적으로 싼 거 사서 값 잘 받고 팔면 거의 손실없다더라구요. (Bmw 인증 중고차로 사고 팔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525 [질문] 도로주행 비상등 정차 질문입니다. [1] 삭제됨6794 21/05/31 6794
155524 [질문] 게시글 삭제된 건 누구한테 말해요? [1]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7035 21/05/30 7035
155523 [질문] 만화 추천 받습니다. [51] 연애잘합니다9730 21/05/30 9730
155522 [질문] 혈당체크기 추천해주세요. [6] 부기영화7325 21/05/30 7325
155521 [질문] 쿠팡이츠 배송예상시간보다 30분이 늦어지고 있는데.. [11] 잉차잉차8725 21/05/30 8725
155520 [질문] 소개팅 후 첫만남에서 주로 뭘 하시나요? [9] 웬디8262 21/05/30 8262
155519 [질문] 버터로 할 수 있는 요리가 뭐가 있을까요 [15] 아몬7505 21/05/30 7505
155518 [질문] 짧은머리 스타일 어떤게 있나요? [5] 연애잘합니다9143 21/05/30 9143
155517 [질문] 이 노래 좀 찾아주세요~!!(난이도 하, 영상있음) [3] 10KG빼기11163 21/05/30 11163
155516 [질문] 청년 전세자금대출 관련 질문드립니다. [9] 강북스타일9310 21/05/30 9310
155515 [질문] 요즘도 전문직이라고 결혼정보회사 알바(우대) 이런게 있나요? [15] 아츠푸10726 21/05/30 10726
155514 [질문] 국힘 영남 의원들이 이준석을 끌어내릴 가능성? [4] 깃털달린뱀8271 21/05/30 8271
155513 [질문] 롤 크리티컬 에러 뜨셨던 분 계실까요? [2] 시은8730 21/05/30 8730
155512 [질문] 야구 스위치타자 관련해서 질문이 있는데요... [8] 잘가라장동건7199 21/05/30 7199
155511 [질문] 초보운전 네이게이션 질문입니다 [2] SlaSh.8654 21/05/30 8654
155510 [질문] 부동산 계약시 도장없이 싸인으로해도되나요? 도장만드는데는 얼마나걸리나요? [8] 레너블8830 21/05/30 8830
155509 [질문] 넷플, 왓차 애니 추천해주세요 [9] 자콰마7735 21/05/30 7735
155508 [질문] 운전할 때 핸들 아랫 구멍에 손 넣는 분 없나요? [11] 길갈8388 21/05/30 8388
155507 [질문] 푸시업(팔굽혀펴기)하면서 목 뒤쪽에 둔한(?) 통증이 생깁니다..; [3] nexon6453 21/05/29 6453
155506 [질문] 에어프라이어+트레이더스 질문 입니다. [6] 원스6842 21/05/29 6842
155505 [질문] 노랑 카레 말고 일본식 갈색 카레는 어떻게 만드나요? [15] 꺄르르뭥미10571 21/05/29 10571
155504 [질문] 그 등받이 쿠션? 침대? 뭐라고 검색해야할까요? [6] 레너블7538 21/05/29 7538
155503 [질문] 인터넷으로 산 열무김치에 쉰내가 납니다. [6] 개떵이다10396 21/05/29 103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